의학 지식

항생제 사용의 지표: Procalcitonin(PCT)

비비닥 2025. 2. 24. 04:08

Procalcitonin(PCT)은 감염 여부와 중증도를 평가하는 바이오마커로, 특히 세균 감염과 패혈증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PCT 기반의 항생제 사용 가이드라인을 적용하면 불필요한 항생제 사용을 줄이고, 환자의 예후를 개선할 수 있다는 결과가 보고되고 있습니다.

항생제 사용의 지표: Procalcitonin(PCT)

 


🩸 Procalcitonin이란?

Procalcitonin(PCT)은 칼시토닌(Calcitonin)의 전구체로, 세균 감염 시 급격히 상승하는 특징이 있습니다.

  • 정상 상태: PCT는 0.05ng/mL 이하로 매우 낮은 농도로 존재
  • 세균 감염 발생 시: TNF-α, IL-6 등의 염증성 사이토카인에 의해 PCT가 급격히 증가
  • 바이러스 감염: 인터페론 감작으로 인해 PCT 상승이 억제됨

✅ 즉, PCT는 세균 감염과 바이러스 감염을 감별하는 데 유용하며, 패혈증과 중증 감염의 조기 진단에도 활용됩니다.


📊 Procalcitonin 수치 해석

PCT 수치(ng/mL) 의미 항생제 사용 여부
< 0.05 정상 ❌ 사용 불필요
0.05 - 0.5 국소 감염 가능성 🔍 추적 관찰
0.5 - 2.0 전신성 감염(패혈증 가능) ⭕ 사용 고려
> 2.0 중증 감염, 패혈증 고위험 🚨 적극적 항생제 치료
> 10 심각한 패혈증, 패혈성 쇼크 🚑 응급 치료 필수

⚠ 하지만, 항상 임상적 맥락에서 해석해야 하며, 단독 지표로 사용해서는 안 됩니다.


💉 Procalcitonin과 항생제 중단 결정

PCT는 항생제 치료 중단 시점을 결정하는 데도 유용합니다.

일반적인 원칙:

  • PCT가 80% 이상 감소 또는 0.5ng/mL 이하로 떨어지면 항생제 중단 고려
  • 패혈증 환자의 경우 PCT ≤ 0.25ng/mL일 때 중단 가능

임상 적용 사례:
1️⃣ 폐렴 환자:

  • 초기에 PCT > 0.5 → 세균성 폐렴으로 판단하여 항생제 투여
  • 치료 후 PCT가 0.25 이하로 감소 → 항생제 중단 가능

2️⃣ 패혈증 환자:

  • 초기 PCT > 2.0 → 광범위 항생제 사용
  • 48~72시간 후 PCT가 80% 감소 → 항생제 감량 고려

📌 연구에 따르면, PCT 기반으로 항생제를 중단한 경우 항생제 사용 기간을 2~3일 단축하면서도 재발률과 사망률을 증가시키지 않음이 입증되었습니다.


🔍 Procalcitonin vs. 다른 감염 지표

 

지표 특징 장점 단점
CRP(C-reactive protein) 염증 반응 시 증가 민감도 높음 감염 원인 구별 어려움
ESR(적혈구 침강 속도) 만성 염증성 질환에서도 상승 비특이적 진단 가치 낮음
WBC(백혈구 수치) 감염 시 증가 쉽게 측정 가능 면역저하 환자에서는 변화 없음
PCT(Procalcitonin) 세균 감염에서 급격히 상승 패혈증 조기 진단 가능, 항생제 사용 가이드 비용이 높음

📌 PCT는 CRP보다 감염 특이성이 높고, 패혈증 조기 진단과 항생제 중단 결정에 더 효과적입니다.


⚠️ Procalcitonin을 해석할 때 주의할 점

1️⃣ 비감염성 질환에서도 상승 가능

  • 심한 외상, 화상, 다발성 장기 부전(MODS)
  • 수술 후 반응성 염증
  • 신생아에서 일시적 상승 가능

2️⃣ 세균 감염이라도 PCT 상승이 미미할 수 있음

  • 국소 감염(경증 폐렴, 요로감염 등)
  • 면역저하 환자(호중구 감소증 등)

✅ 결론: Procalcitonin의 임상적 활용

세균 감염과 바이러스 감염 감별
패혈증 조기 진단 및 항생제 치료 필요성 평가
항생제 중단 결정에 도움
불필요한 항생제 사용을 줄여 항생제 내성 예방

👉 하지만, 임상적 상황과 함께 종합적으로 판단해야 하며, 단독 진단 지표로 사용해서는 안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