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환자의학

신경이완제 악성 증후군 (Neuroleptic Malignant Syndrome, NMS)

비비닥 2025. 2. 24. 14:28
신경이완제 악성 증후군(Neuroleptic Malignant Syndrome, NMS)은 도파민(Dopamine) 차단제 사용 후 발생하는 치명적인 신경계 이상 반응입니다.
주로 항정신병약(Antipsychotics, Neuroleptics) 복용 환자에서 발생하며, 고열, 근육 강직, 자율신경 이상, 정신 상태 변화가 특징입니다.

 

신경이완제 악성 증후군 (Neuroleptic Malignant Syndrome, NMS)


📌 1. NMS의 원인 (주요 유발 약물)

✅ (1) 1세대 항정신병약 (Typical Antipsychotics, D2 차단 강함)

  • Haloperidol
  • Fluphenazine
  • Chlorpromazine

Dopamine D2 수용체 강력 차단 → 가장 흔한 원인

✅ (2) 2세대 항정신병약 (Atypical Antipsychotics, 낮은 위험)

  • Risperidone
  • Olanzapine
  • Clozapine (위험도 낮음)

D2 차단 효과가 약하지만, NMS 발생 가능

✅ (3) 도파민 차단 효과가 있는 기타 약물

  • Metoclopramide (소화기약, 위장운동 촉진제)
  • Promethazine (항구토제, 항히스타민제)
  • Tetrabenazine (헌팅턴병 치료제)

비정신과 약물도 도파민 차단 작용이 있다면 NMS를 유발할 수 있음!


🩺 2. NMS의 주요 증상 (Clinical Features)

"FALTER"로 기억하기!

증상 설명
Fever (고열) > 38.5~40°C, 지속적 발열
Autonomic instability (자율신경 이상) 혈압 변동, 빈맥, 발한, 호흡 이상
Leukocytosis (백혈구 증가) 염증 반응 (WBC > 15,000)
Tremor (떨림) 불수의적 근경련 가능
Elevated CPK (근손상) CK 상승 (> 1,000 U/L), 횡문근융해 위험
Rigidity (근육 강직) "Lead pipe rigidity" (연관 강직)

가장 중요한 특징:

  • 고열 + 심한 근육 강직 (Lead pipe rigidity) + 자율신경 이상

📌 발병 시점: 항정신병약 시작 후 수일~수주 내 발생 (급성 진행)

📌 유사 질환 감별:

  • 세로토닌 증후군(Serotonin Syndrome): 근강직(Clonus) 대신 반사 항진(Hyperreflexia)
  • 악성 고열(Malignant Hyperthermia): 마취제(Succinylcholine) 노출 후 발생

🔬 3. NMS의 진단 (Laboratory Findings)

검사 소견

CK (Creatine Kinase) 🚨 > 1,000 U/L (횡문근융해 위험)
WBC (백혈구 수치) 상승 (염증 반응)
Myoglobinuria (소변 내 미오글로빈) 🚨 횡문근융해증 동반 가능
Serum Electrolytes 고칼륨혈증 (K⁺ 증가), 저칼슘혈증
Liver Enzymes (AST/ALT) 상승 가능

📌 NMS 의심 시 CK 검사 필수! (근육 손상 여부 확인)


💊 4. NMS의 치료 (Management)

1️⃣ 즉시 원인 약물 중단 (Immediate Discontinuation of Offending Drug)

  • 항정신병약(Antipsychotics) 즉시 중단!
  • 도파민 차단 효과가 있는 모든 약물(예: Metoclopramide)도 중단

2️⃣ 집중적인 지지 치료 (Supportive Care)

  • 수액 공급 (Hydration) → 횡문근융해 예방
  • 해열제(Antipyretics, 예: Acetaminophen) 사용 가능
  • 산소 공급 및 기계환기 필요 시 고려

3️⃣ 약물 치료 (Pharmacologic Therapy)

약물 작용 기전  사용 목적
Dantrolene 근이완제 (근소포체 Ca²⁺ 방출 억제) 심한 근강직 완화
Bromocriptine D2 수용체 효능제 도파민 회복 → 증상 개선
Amantadine 도파민 증가 효과 대체 요법

📌 Dantrolene + Bromocriptine 병용 시 회복이 빠름!

4️⃣ 신경이완제 재투여 고려 (Restarting Antipsychotics)

  • 증상 호전 후 최소 2주 이상 지난 후 저용량으로 시작
  • Clozapine, Quetiapine 같은 D2 차단이 약한 약물 선택 추천

⚠️ 5. NMS와 감별해야 할 유사 질환

질환 주요 특징 차이점
Serotonin Syndrome 고열, 반사 항진(Hyperreflexia), Clonus NMS는 "Lead pipe rigidity", SS는 Clonus
Malignant Hyperthermia 마취제(Succinylcholine) 사용 후 발생 유전적 소인, Dantrolene 치료 동일
Catatonia (긴장증) 운동 정지, 강직, 거부증 Lorazepam 반응 시 Catatonia 가능성 ↑

📌 NMS vs. Serotonin Syndrome 비교 요약

 

항목 NMS Serotonin Syndrome
근육 강직 심한 연관 강직 (Lead pipe rigidity) 근간대성 경련(Clonus)
반사 (Reflexes) 정상 또는 감소 증가 (Hyperreflexia)
고열 흔함 (T > 38.5°C) 흔함 (T > 38.5°C)
원인 약물 항정신병약 (Dopamine 차단제) SSRI, MAOI, TCA, Tramadol
치료 약물 Dantrolene, Bromocriptine Cyproheptadine (세로토닌 차단제)

📌 주요 차이점: 근육 반사 감소(NMS) vs. 반사 항진(SS)


✅ 결론: NMS 핵심 요약

도파민 D2 차단제(항정신병약) 사용 후 고열 + 근육 강직 + 자율신경 이상 발생
CK 상승 (>1,000 U/L), 백혈구 증가, 횡문근융해 위험
즉시 원인 약물 중단 + 지지적 치료 필수
Dantrolene (근강직 완화) + Bromocriptine (D2 효능제) 사용 가능
Serotonin Syndrome과 감별 필요 (NMS는 근강직, SS는 Clonus 반사 항진 특징적)

👉 빠른 진단과 치료가 필수! 치료 지연 시 사망률이 높으므로 신속한 대응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