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PRES(Posterior Reversible Encephalopathy Syndrome, 가역성 후두부 뇌병증 증후군) 은 고혈압, 신장 질환, 면역억제제, 패혈증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급성 신경학적 증후군입니다.
주로 후두엽(Occipital lobe)과 두정엽(Parietal lobe)이 영향을 받아 시각 이상과 의식 저하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적절한 치료 시 회복 가능하기 때문에 "가역성(Reversible)"이라는 이름이 붙었습니다. 하지만 치료가 늦어지면 뇌출혈이나 영구적 신경 손상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1. PRES의 원인
PRES는 여러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으며, 대표적인 원인은 고혈압성 뇌병증과 내피세포 손상입니다.
✅ 고혈압성 뇌병증
- 급격한 혈압 상승 → 뇌혈관 자율조절 기능 저하 → 혈관 내피 손상
- 뇌부종 발생 → 신경 손상
✅ 내피세포 손상 (Endothelial Dysfunction)
- 면역억제제(사이클로스포린, 타크로리무스)
- 패혈증 및 감염성 쇼크
- 자가면역 질환 (전신홍반루푸스, 항인지질증후군)
✅ PRES를 유발할 수 있는 위험 인자
- 고혈압 위기 (Hypertensive crisis)
- 면역억제제 사용 (Cyclosporine, Tacrolimus)
- 신부전 및 혈액투석 환자
- 자가면역 질환 (SLE, 항인지질증후군 등)
- 패혈증 및 패혈성 쇼크
- 자간증(Eclampsia, 임신 관련 고혈압성 질환)
2. PRES의 주요 증상
PRES는 급성 혹은 아급성(수시간~수일) 으로 신경학적 증상이 나타납니다.
증상 유형 | 주요 특징 |
시각 장애 | 시야 흐림, 복시, 시야 결손(반맹, 피질성 실명) |
뇌전증(경련) | 전신 강직-간대발작(Tonic-Clonic Seizure) 발생 가능 |
의식 저하 | 혼돈, 기면 상태, 혼수 |
두통 | 지속적이며 심한 두통 |
운동 및 감각 이상 | 반신부전, 감각 저하, 실조증 |
📌 초기 증상은 두통과 시각 장애가 흔하며, 심할 경우 발작과 혼수 상태로 진행할 수 있습니다.
3. PRES의 진단 방법
🔹 뇌 MRI (가장 중요한 진단법)
- T2/FLAIR 영상에서 양측 후두엽과 두정엽에 고신호(hyperintensity) 병변이 나타남
- 병변은 주로 뇌부종(vasogenic edema)이며, 출혈 없이 가역적
🔹 CT 검사
- MRI보다 민감도가 낮지만, 급성기 병변을 확인하는 데 사용 가능
🔹 혈압 측정
- PRES 환자의 상당수에서 고혈압(180/100mmHg 이상) 이 동반됨
🔹 혈액검사
- 신기능 평가 (BUN, 크레아티닌)
- 면역질환 검사 (ANA, 항인지질 항체 등)
- 감염 및 패혈증 여부 확인
4. PRES의 치료 및 관리
✅ 1) 원인 교정이 가장 중요
- 고혈압 조절: 목표 혈압을 서서히 낮추되, 과도한 저혈압을 피함 (Nicardipine, Labetalol 사용)
- 면역억제제 중단: 사이클로스포린, 타크로리무스 등의 사용을 중단하거나 감량
- 신부전 환자 치료: 전해질 불균형 및 대사 이상 교정
- 패혈증 치료: 항생제 사용 및 혈역학적 안정화
✅ 2) 증상 조절
- 발작 예방: 벤조디아제핀(Lorazepam), 항경련제(Levetiracetam) 사용
- 뇌부종 치료: 필요 시 만니톨(Mannitol) 또는 스테로이드 고려
✅ 3) 예후 및 회복
- 조기 치료 시 대부분 수일~수주 내에 증상이 호전됨
- 하지만, 치료가 늦어지면 영구적인 신경 손상(시각 장애, 운동 장애) 또는 뇌출혈 위험이 증가할 수 있음
5. PRES의 예후 및 합병증
✅ 대부분 가역적이지만, 일부 환자는 영구적인 신경학적 후유증을 남길 수 있습니다.
✅ 합병증 발생 가능성
- 지속적인 경련(status epilepticus)
- 뇌출혈
- 영구적 시야 장애
- 혼수 및 사망 (드문 경우)
📌 조기 진단과 빠른 치료가 핵심입니다!
6. 결론: PRES 요약
✅ PRES는 후두부 및 두정엽의 뇌부종을 특징으로 하는 가역적 신경 증후군
✅ 고혈압 위기, 면역억제제, 신부전, 자간증 등이 주요 원인
✅ 주요 증상: 시각 이상, 발작, 의식 저하, 두통
✅ MRI에서 후두엽 및 두정엽의 고신호 병변 확인 가능
✅ 치료는 원인 교정, 혈압 조절, 발작 예방이 핵심
✅ 대부분 수일~수주 내에 회복 가능하나, 치료 지연 시 영구적 신경 손상 위험
📌 PRES는 적절한 치료 시 회복될 수 있는 질환이므로, 신속한 진단과 관리가 중요합니다!
반응형
'중환자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근간대성 발작(Myoclonic Seizure)에서 포스페니토인(Fosphenytoin) 사용 여부 (0) | 2025.02.22 |
---|---|
심정지 후 자발적 순환 회복(ROSC) 후 발생하는 근간대성 발작(Myoclonic Seizure) 조절 방법 (0) | 2025.02.22 |
프로포폴 주입 증후군(PRIS, Propofol Infusion Syndrome)이란? (0) | 2025.02.22 |
펜타닐(Fentanyl) 사용 시 혈압 감소 정도 (0) | 2025.02.22 |
근이완제 로큐로니움(Rocuronium)과 베큐로니움(Vecuronium)의 차이점 (0) | 2025.0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