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중환자의학 140

중환자실 환자의 부종, 어떻게 줄일 수 있을까?

생명을 위협하는 부종, 효과적인 관리 전략 총정리 중환자실(ICU)에 입원한 환자들에게서 흔히 관찰되는 증상 중 하나가 심한 부종(Edema)입니다.수술 후, 패혈증, 심부전, 신부전, 간부전 등 다양한 원인으로 체액 불균형이 발생하면서피부, 폐, 복부, 심지어 뇌까지 부종이 생길 수 있어 회복과 생존율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그렇다면 중환자의 부종을 줄이기 위한 최선의 전략은 무엇일까요?이번 글에서는 중환자실 환자의 부종 관리에 대한 최신 지침과 치료 방법을 정리해드립니다. 🏥부종의 원인부터 정확히 파악하자 🔍중환자의 부종은 단순한 체액 저류를 넘어서 다기관 기능 저하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습니다.다양한 원인별로 접근이 달라져야 하며, 아래와 같은 기전을 중심으로 진단과 치료가 이뤄집니다.원인설명..

중환자의학 2025.03.28

뇌손상 후 발생하는 Myoclonic Seizure, 어떻게 치료해야 할까?

뇌손상 이후 환자에게 갑작스러운 근육 수축이나 경련이 반복적으로 나타난다면, myoclonic seizure(간대성 발작)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특히 저산소성 뇌손상(hypoxic brain injury)이나 외상성 뇌손상 이후에 흔히 관찰되는 증상 중 하나로, 치료 및 예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이런 뇌손상 후 myoclonic seizure의 적절한 치료는 무엇일까요?Myoclonic Seizure란 무엇인가요? 🧐Myoclonic seizure는 "짧고 급격한 근육 수축"으로 나타나는 간헐적인 경련성 움직임입니다. 전신 또는 일부 근육에서 발생하며, 의식 소실이 동반되기도 하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특히 급성 뇌손상 후 나타나는 myoclonus는 대부분 다음의 두..

중환자의학 2025.03.26

중환자실에서의 혈소판 수혈 기준은?

중환자실(ICU)은 생명이 위급한 환자들이 집중 치료를 받는 공간입니다. 이곳에서는 혈액검사 결과 하나하나가 생명을 좌우할 수 있으며, 혈소판 수혈 기준 역시 그중 하나로 매우 중요하게 작용합니다. 혈소판은 출혈을 막는 데 필수적인 혈액 성분으로, 수치가 비정상적으로 낮아지면 치명적인 출혈 위험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혈소판 수치, 왜 중요할까요?혈소판은 정상적으로 150,000~400,000/μL 범위 내에 존재합니다. 중환자실 환자들은 패혈증, 약물 부작용, 출혈, 간부전, 항암 치료 등의 이유로 혈소판이 급격히 감소할 수 있는데요, 이런 상태를 혈소판 감소증이라 합니다. 혈소판이 너무 낮으면 자발적인 출혈이 일어날 수 있고, 심하면 생명을 위협하는 뇌출혈이나 위장관 출혈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중환자의학 2025.03.26

패혈성 쇼크 환자의 기관삽관 시 약물 선택 가이드

패혈성 쇼크(septic shock)는 감염으로 인해 전신 염증 반응과 혈관 확장, 모세혈관 누출이 발생하면서 심각한 저혈압과 장기 부전이 동반되는 응급 상황입니다. 이러한 환자에게 기관삽관(intubation)을 시행할 때는, 단순한 기도 확보를 넘어, 혈역학적 안정성 유지가 핵심 과제입니다. 잘못된 약물 선택은 삽관 직후 심정지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매우 신중해야 합니다.이 글에서는 패혈성 쇼크 상태의 기관삽관 시 사용할 수 있는 약물들을 단계별로 정리해드립니다 💊 ✅ 단계별 약물 사용 전략1️⃣ 전처치 약물 (Pre-treatment Agents)패혈성 쇼크 환자의 경우, 전처치 약물은 선택적으로 사용됩니다. 다만 과도한 진통제나 심장 억제 약물은 저혈압을 악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용량 조절이 필..

중환자의학 2025.03.24

중환자실에서의 신장 보호 전략

중환자실(ICU)은 중증 환자들이 집중적인 치료를 받는 공간으로, 신장 보호는 환자의 생존율과 회복에 중요한 영향을 미칩니다. 급성 신손상(AKI)은 중환자실에서 흔히 발생하며, 이는 입원 기간 증가, 투석 필요성, 사망률 상승과 연관됩니다. 따라서 신장 보호를 위한 체계적인 전략이 필수적입니다. 🏥신장 손상의 주요 원인중환자실에서 신장 손상을 유발하는 주요 요인은 다음과 같습니다:혈역학적 불안정성: 저혈압이나 쇼크로 인해 신장 혈류 감소신독성 약물 사용: 특정 항생제(아미노글리코사이드), 조영제 등패혈증: 전신 염증 반응으로 인한 신장 관류 저하수액 과부하: 과도한 수액 투여로 인한 부종과 신장 부담이러한 요인을 예방하고 신장 기능을 보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중환자실에서의 신장 보호 전략1. 적절한 ..

중환자의학 2025.03.23

고장성 식염수 & 만니톨 사용 시 두개내압(ICP) 조절을 위한 삼투압(osmolality) 모니터링 방법

고장성 식염수(Hypertonic Saline, HTS) 및 만니톨(Mannitol)은 두개내압(ICP) 상승 치료에 효과적이지만, 과도한 삼투압 증가로 인한 부작용(신부전, 전해질 이상, 탈수 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따라서 혈장 삼투압(serum osmolality, Osm)과 혈청 나트륨(Na+)을 정기적으로 모니터링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이번 글에서는 고장성 식염수 및 만니톨 사용 시 삼투압 모니터링 방법과 주의사항을 정리하겠습니다.1. 혈장 삼투압(Serum Osmolality, Osm) 정상 범위지표정상 범위혈장 삼투압 (Serum Osmolality, Osm)275~295 mOsm/kg혈청 나트륨 (Na⁺)135~145 mEq/L📌 ICP 치료 시 목표 혈장 삼투압:만니톨 치료 시: 30..

중환자의학 2025.03.22

만니톨(Mannitol) vs 고장성 식염수(Hypertonic Saline)

두개내압(ICP) 조절 시 주의해야 할 사항ICP 상승 치료에서 가장 흔히 사용되는 약물은 만니톨(Mannitol)과 고장성 식염수(Hypertonic Saline, HTS)입니다. 두 약물 모두 삼투압을 이용하여 뇌부종을 감소시키고 ICP를 낮추는 효과가 있지만, 사용 시 반드시 주의해야 할 점이 있습니다.이번 글에서는 만니톨과 고장성 식염수를 사용할 때 주의해야 할 사항을 정리하겠습니다.1. 만니톨(Mannitol) 사용 시 주의사항✅ 1) 탈수 및 저혈압 위험만니톨은 삼투성 이뇨제로, 신장을 통해 수분을 배출하여 혈액량 감소를 유발할 수 있음심한 탈수 → 저혈압 발생 가능 → 뇌관류압(CPP) 감소 주의혈압이 낮은 환자에서는 만니톨 대신 고장성 식염수를 고려✅ 2) 신부전 환자에서 금기만니톨은 신장..

중환자의학 2025.03.22

두개내압(ICP) 조절을 위한 약물 총정리

두개내압(Intracranial Pressure, ICP) 상승은 뇌출혈, 뇌부종, 외상성 뇌손상(TBI) 등에서 발생하며, 즉각적인 치료가 필요합니다. ICP가 20mmHg 이상으로 지속되면 뇌 탈출(herniation) 위험이 증가하여 사망률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이번 글에서는 ICP를 조절하는 주요 약물과 기전, 사용법, 주의사항을 정리하겠습니다.1. 삼투성 이뇨제 (Osmotic Diuretics)✅ 1) 만니톨(Mannitol)📌 가장 널리 사용되는 ICP 감소 약물특징설명작용 기전삼투압을 증가시켜 혈관 내로 수분 이동 → 뇌부종 감소용량0.251g/kg IV, 46시간 간격효과 발현15~30분 내지속 시간4~6시간부작용저혈압, 탈수, 전해질 불균형, 급성 신부전📌 투여 후 혈장 삼투압(>3..

중환자의학 2025.03.22

뇌간 손상 시 동공이 확장되는 이유

뇌간(Brainstem)은 생명 유지와 직결된 중요한 부위로, 동공의 크기와 빛 반사를 조절하는 신경이 이곳을 지나갑니니다. 특히 뇌간 손상 시 동공이 확장(동공산대, Pupillary dilation)되는 증상이 흔히 나타나는데, 이번 글에서는 그 원인을 알기 쉽게 설명하겠습니다. 🧠👁️1. 뇌간(Brainstem)의 역할과 동공 조절뇌간은 중뇌(Midbrain), 교뇌(Pons), 연수(Medulla oblongata)로 구성되며, 이 중에서도 중뇌(Midbrain)에 위치한 동안신경(제3뇌신경, Oculomotor Nerve, CN III) 이 동공 크기와 빛 반사를 조절합니다.✅ 동안신경(제3뇌신경, CN III)동안신경에는 부교감신경 섬유가 포함되어 있어, 동공 괄약근을 지배합니다.부교감신경..

중환자의학 2025.03.22

저산소성 뇌손상 환자의 뇌 탈출(Herniation) 징후

저산소성 뇌손상(Hypoxic Brain Injury)은 뇌로 가는 산소 공급이 감소하여 신경세포가 손상되는 상태입니다. 심한 경우, 뇌부종이 발생하면서 두개내압(ICP, Intracranial Pressure)이 증가하고, 최악의 경우 뇌 탈출(Brain Herniation)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뇌 탈출이 진행되면 뇌간(Brainstem)이 압박되어 의식 저하, 호흡 이상, 심혈관 기능 이상 등의 심각한 신경학적 징후가 나타납니다. 이 글에서는 저산소성 뇌손상 환자에서 뇌 탈출 발생 시 나타나는 주요 징후를 정리하겠습니다.1. 뇌 탈출(Herniation)의 종류와 특징뇌 탈출은 뇌 조직이 정상적인 해부학적 위치에서 밀려나면서 발생하며, 유형에 따라 증상이 다르게 나타납니다.유형특징적인 증상대뇌낫 아..

중환자의학 2025.03.2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