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환자의학 9

아미오다론의 작용 기전: 다중 이온 채널 조절제의 역할

🔍 아미오다론(Amiodarone)이란?아미오다론은 부정맥(심장 리듬 이상) 치료에 사용되는 강력한 항부정맥제입니다. 주로 심방세동(AF), 심실성 부정맥(VT, VF)과 같은 치명적인 부정맥을 치료하는 데 활용되며, 다양한 이온 채널을 조절하는 독특한 기전을 가집니다.아미오다론은 클래스 III 항부정맥제로 분류되지만, 실제로는 클래스 I, II, III, IV의 특성을 모두 보유하여 다중 이온 채널 조절제(multichannel blocker)로 작용합니다. 이를 통해 심장의 전기 신호를 안정화하고 불규칙한 심박동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아미오다론의 작용 기전: 다중 이온 채널 조절아미오다론은 칼륨(K⁺), 나트륨(Na⁺), 칼슘(Ca²⁺) 채널 및 베타 수용체(β-receptor)를 차단하여 항..

중환자의학 2025.02.08

중환자실(ICU) 환자의 부종과 알부민의 관계

중환자실(ICU) 환자에서 부종(edema)은 흔한 문제이며, 이는 알부민(albumin)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알부민은 혈장 단백질의 주요 구성 요소로, 혈장 삼투압 유지와 체액 균형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부종과 알부민의 관계, 저알부민혈증의 영향, 알부민 보충의 효과와 한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1️⃣ 부종이란?부종(edema)은 조직에 과도한 체액이 축적되는 현상을 의미합니다.중환자실 환자에서 부종은 다음과 같은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수액 과부하(fluid overload): 대량의 정맥 수액 공급으로 인해 체액이 혈관 밖으로 이동저알부민혈증(hypoalbuminemia): 삼투압이 저하되어 체액이 혈관에서 조직으로 이동염증 반응: 패혈증, 감염 등에 의해 혈관 ..

중환자의학 2025.02.07

중환자실에서 PPV와 Fluid Responsiveness

중환자실(ICU)에서는 혈역학적 안정성 유지가 매우 중요합니다. 특히, 저혈압이나 저관류 상태(쇼크, 패혈증 등)에서 체액 반응성(fluid responsiveness)을 평가하여 적절한 수액 치료 여부를 결정해야 합니다.이 과정에서 PPV(Pulse Pressure Variation, 맥압 변동)는 기계환기 중인 환자의 fluid responsiveness를 평가하는 중요한 지표로 사용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PPV의 개념과 함께 fluid responsiveness 평가 및 임상 적용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1️⃣ PPV(Pulse Pressure Variation)란?PPV는 기계환기 중인 환자에서 맥압(Pulse Pressure, PP)이 호흡 주기에 따라 변동하는 정도를 의미합니다.맥압(PP) =..

중환자의학 2025.02.07

디곡신(Digoxin), 언제 사용할까?

디곡신(Digoxin)은 심장에 작용하는 강심제(inotropic agent)로, 심부전과 심방세동 치료에 사용됩니다. 하지만 최근에는 더 안전하고 효과적인 대체 약물(예: 베타 차단제, 항부정맥제)이 많아지면서 사용이 줄어들고 있는 추세입니다.그렇다면, 디곡신은 어떤 경우에 사용해야 할까요? 이번 글에서는 디곡신의 적응증, 기전, 사용 시 주의점, 부작용 및 모니터링 방법을 정리해보겠습니다. 😊1. 디곡신, 어떤 경우에 사용할까? 🔍디곡신은 주로 심부전(Heart Failure)과 심방세동(Atrial Fibrillation, AF)에서 사용됩니다.✅ 1) 심부전 (Heart Failure, HF) 치료좌심실 수축 기능이 저하된 심부전(HFrEF, LVEF ≤ 40%) 환자에서 증상 완화 목적으로 ..

중환자의학 2025.02.06

대사성 산증이 교정될 때, 칼륨 수치는 어떻게 변할까?

대사성 산증(Metabolic Acidosis)은 혈액의 pH가 감소하고, 혈중 H⁺(수소 이온) 농도가 증가하는 상태입니다. 이 과정에서 칼륨(K⁺) 수치가 변동하며, 산증이 교정될 때도 칼륨의 이동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이번 글에서는 대사성 산증과 칼륨(K⁺) 수치 변화의 관계를 알아보고, 산증 교정 시 칼륨을 어떻게 관리해야 하는지 살펴보겠습니다. 😊1. 대사성 산증에서 칼륨 수치는 어떻게 변할까? 🧪대사성 산증이 발생하면 체내 수소 이온(H⁺) 농도가 증가하며, 이에 따라 세포 안팎의 칼륨 균형이 변화합니다.🔹 대사성 산증에서 칼륨 수치 증가(K⁺↑) 원리✔️ H⁺-K⁺ 교환 기전:산증이 발생하면 H⁺ 이온이 세포 내로 들어가면서, 보상 작용으로 K⁺가 세포 밖(혈액)으로 이동결과적으로 혈중..

중환자의학 2025.02.06

대사성 산증 환자에게 중탄산염 투여 시 주의할 사항

대사성 산증(Metabolic Acidosis)은 혈액의 pH가 7.35 미만으로 떨어지는 상태로, 신장질환, 패혈증, 당뇨성 케톤산증(DKA)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중탄산염(중탄산 나트륨, NaHCO₃)은 대사성 산증 치료에 사용되지만, 무분별한 투여는 위험할 수 있습니다. 적절한 투여 기준과 주의 사항을 이해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이번 글에서는 대사성 산증에서 중탄산염 사용의 적응증, 투여 시 주의할 점, 부작용 및 관리 전략을 정리해보겠습니다. 😊1. 중탄산염 투여 적응증 📌중탄산염은 모든 대사성 산증 환자에게 투여하는 것이 아니라, 특정한 경우에만 신중하게 사용해야 합니다.✅ 중탄산염 투여를 고려할 수 있는 경우심한 대사성 산증 (pH ≤ 7.1)중증 신부전으로 인해 산 ..

중환자의학 2025.02.06

ESBL과 AmpC: 항생제 내성의 주요 유형 비교

항생제 내성은 현대 의학에서 중요한 문제 중 하나입니다. 특히 확장형 베타락타마제(ESBL, Extended-Spectrum Beta-Lactamase)와 AmpC 베타락타마제(AmpC Beta-Lactamase)는 그람음성균에서 흔히 발견되는 주요 항생제 내성 기전입니다.이 글에서는 ESBL과 AmpC의 차이점, 내성 기전, 주요 균종, 치료 전략 등을 비교해 보겠습니다. 😊1. ESBL과 AmpC란? 🤔✅ ESBL (확장형 베타락타마제, Extended-Spectrum Beta-Lactamase)3세대 세팔로스포린(ceftriaxone, ceftazidime 등)과 일부 페니실린을 분해할 수 있는 효소**플라스미드(Plasmid)**를 통해 수평적으로 전파됨 → 병원 내 감염의 주요 원인클라불란산..

중환자의학 2025.02.06

중환자실 환자의 부종 제거 방법

중환자실(ICU) 환자들은 심부전, 신부전, 패혈증, 간부전, 저알부민혈증, 수액 과부하 등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부종(edema)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심한 부종은 조직 관류를 저하시키고, 장기 기능에 영향을 줄 수 있어 신속하고 적절한 치료가 필요합니다.이번 글에서는 중환자실 환자의 부종 제거 방법, 원인별 접근법, 치료 전략 및 주의사항을 알아보겠습니다. 😊1. 중환자실 환자의 부종 원인 🔍부종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려면 먼저 원인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1) 심혈관계 원인✔️ 심부전(Congestive Heart Failure, CHF) → 정맥 정체로 인한 체액 축적✔️ 저혈압으로 인한 수액 과부하 → 심박출량 감소로 조직 부종 악화✅ 2) 신장 기능 저하✔️ 급성 신부전(AKI), 만..

중환자의학 2025.02.06

중환자실 환자의 심방세동 조절을 위한 약물 치료

심방세동(Atrial Fibrillation, AF)은 중환자실(ICU)에서 흔히 발생하는 부정맥 중 하나로, 심박수와 혈역학적 상태를 불안정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특히, 패혈증, 급성 호흡부전, 심근경색 등의 질환이 동반된 환자에서 심방세동이 발생하면 예후가 나빠질 수 있어 신속하고 적절한 약물 치료가 필요합니다.이번 글에서는 중환자실 환자의 심방세동 조절을 위한 약물 치료 가이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1. 심방세동 조절의 목표 🎯ICU 환자의 심방세동 치료 목표는 크게 **심박수 조절(rate control)**과 **리듬 조절(rhythm control)**로 나눌 수 있습니다.✅ 심박수 조절심박수를 안정적인 범위(일반적으로 80~110 bpm)로 유지혈역학적으로 안정적인 환자에서 우선적으로 고..

중환자의학 2025.0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