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중환자의학 140

에피네프린 + 리도카인 혼합 국소마취제 제조법

국소마취 시 리도카인(Lidocaine)에 에피네프린(Epinephrine)을 혼합하면 혈관 수축 효과로 인해 출혈 감소 및 마취 지속 시간 연장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이는 특히 절개, 봉합, 작은 피부 수술에서 유용합니다.이번 글에서는 에피네프린이 포함된 리도카인 국소마취제 제조법을 정리하겠습니다!✅ 에피네프린 + 리도카인 혼합의 장점✔ 혈관 수축 효과 → 출혈 감소✔ 국소마취 지속 시간 연장✔ 리도카인 전신 흡수 속도 감소 → 전신 부작용 위험 감소🧪 에피네프린 + 리도카인 혼합 제조법🔹 1% 리도카인 + 1:100,000 에피네프린 제조✅ 1% 리도카인 (Lidocaine 1%): 10mg/mL✅ 에피네프린 1:100,000 (Epinephrine 1:100,000): 0.01mg/mL💡..

중환자의학 2025.03.19

요로 감염(UTI) 패혈성 쇼크(Septic Shock)에서 추천되는 경험적 항생제

요로 감염(UTI)이 심해져 패혈성 쇼크(Septic Shock)로 진행되면, 신속한 광범위 경험적 항생제 투여가 필수적입니다. 이때, 내성 균주(MDR) 및 패혈증 원인균을 고려한 초기 경험적 항생제 선택이 중요합니다.이번 글에서는 UTI 패혈성 쇼크에서 추천되는 경험적 항생제 및 치료 전략을 살펴보겠습니다!✅ UTI 패혈성 쇼크에서 가장 흔한 원인균 🦠💡 대부분의 원인균은 장내세균(Enterobacteriaceae)이며, 다제내성균(MDR)도 고려해야 함 균종 발생 비율 특징 🔹 대장균 (Escherichia coli)60~80%가장 흔한 원인균, ESBL 가능성🔹 클렙시엘라 (Klebsiella pneumoniae)10~15%ESBL, CRE 가능성🔹 프로테우스 (Proteus mira..

중환자의학 2025.03.19

COPD 환자에서 볼륨 조절 환기(VCV)가 유리한 이유

만성 폐쇄성 폐질환(COPD,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환자는 기도 저항 증가 및 공기 갇힘(Air trapping)이 특징적입니다. 기계환기 시 폐포 과팽창(Overdistension) 및 호기 유출 지연(Expiratory flow limitation, EFL) 문제를 최소화하면서도 효과적인 환기 전략이 필요합니다.이번 글에서는 COPD 환자에서 볼륨 조절 환기(VCV)가 유리한 이유를 살펴보겠습니다!✅ COPD 환자에서 VCV가 유리한 이유1️⃣ PaCO₂ 조절이 용이함 (일정한 환기량 유지) 🩸✅ COPD 환자는 이산화탄소 저류(Hypercapnia) 경향이 있어, 일정한 환기량을 보장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VCV는 설정된 일회호흡량(Tidal vo..

중환자의학 2025.03.19

기계환기에서 압력모드 vs. 볼륨모드: 적응증 비교

기계환기(Mechanical ventilation)는 환자의 호흡을 보조하거나 대체하는 중요한 치료법으로, 크게 압력 조절(Pressure-controlled ventilation, PCV)과 볼륨 조절(Volume-controlled ventilation, VCV) 모드로 나뉩니다.각 모드는 환자의 상태에 따라 선택적으로 적용되며, 이번 글에서는 압력모드와 볼륨모드의 적응증과 차이점을 정리하겠습니다.🔹 1. 압력 조절 환기(Pressure-Controlled Ventilation, PCV)✅ 특징목표 **압력(Peak inspiratory pressure, PIP)**을 설정하여 환기일정한 압력으로 공기를 공급하지만 유입되는 용적(Tidal volume, Vt)은 변동될 수 있음폐 순응도(compli..

중환자의학 2025.03.19

중심정맥관 감염(CRBSI)이 의심될 때, 가장 먼저 해야 할 조치!

중심정맥관 관련 혈류 감염(CRBSI, Catheter-Related Bloodstream Infection)은 중환자실(ICU) 및 병원 내 감염에서 중요한 문제로, 신속한 진단과 적절한 치료가 필수적입니다.이번 글에서는 중심정맥관 감염이 의심될 때 가장 먼저 해야 할 조치와 치료 전략을 살펴보겠습니다.✅ 중심정맥관 감염(CRBSI)이 의심될 때, 가장 먼저 해야 할 일!🔹 1. 감염 징후 확인 & 신속한 혈액 배양 검사 시행! 🦠🩸💡 가장 중요한 첫 단계는 혈액 배양 검사!✅ 감염 징후 확인발열(≥38°C), 오한, 혈압 저하, 패혈증 증상카테터 삽입 부위 발적, 통증, 삼출물(고름), 종창✅ 혈액 배양 검사(Blood culture) 시행말초 정맥 혈액 배양(Peripheral blood c..

중환자의학 2025.03.19

요로 감염(UTI)의 가장 흔한 균과 치료 전략

요로 감염(UTI, Urinary Tract Infection)은 방광염(cystitis), 신우신염(pyelonephritis), 요패혈증(urosepsis) 등의 형태로 발생하며, 가장 흔한 세균 감염 중 하나입니다.이번 글에서는 요로 감염을 일으키는 가장 흔한 균과 효과적인 치료 전략을 알아보겠습니다!✅ 요로 감염의 가장 흔한 원인균 🦠💡 대부분의 요로 감염은 장내 세균(Enterobacteriaceae)에 의해 발생하며, 가장 흔한 원인균은 Escherichia coli(E. coli)입니다.균종 발생 비율 특징 균종  발생 비율 특징 🔹 대장균 (Escherichia coli)70~90%가장 흔한 원인균, 장내 정상균🔹 포도당 비발효균 (Klebsiella pneumoniae, Prot..

중환자의학 2025.03.19

메트로니다졸(Metronidazole)은 어떤 감염에서 사용할까?

메트로니다졸(Metronidazole)은 혐기성균(Anaerobes) 및 일부 원충(Protozoa)에 효과적인 항균제입니다. 세균성 감염뿐만 아니라 원충 감염까지 치료 가능한 독특한 항생제로, 다양한 감염성 질환에서 사용됩니다.이번 글에서는 메트로니다졸이 필요한 감염의 종류, 작용 기전, 주요 사용 사례 등을 알아보겠습니다! 🚑✅ 메트로니다졸이 효과적인 감염은?💡 메트로니다졸은 혐기성균 및 원충 감염이 의심될 때 사용합니다. 감염 유형 주요 원인균  대표적인 질환 혐기성 세균 감염Clostridium spp., Bacteroides spp., Fusobacterium spp., Peptostreptococcus spp.장내 감염(복막염, 간농양), 혐기성 패혈증, 치과 감염Clostridioid..

중환자의학 2025.03.18

반코마이신 vs. 테이코플라닌: 공통점과 차이점 비교

반코마이신(Vancomycin)과 테이코플라닌(Teicoplanin)은 글리코펩타이드 계열(Glycopeptide) 항생제로, 주로 그람 양성균(Gram-positive bacteria) 감염 치료에 사용됩니다. 두 약물은 MRSA(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 MRSE(메티실린 내성 표피포도상구균), 클로스트리디오이데스 디피실리(Clostridioides difficile) 감염증 등에서 유용하지만, 약리학적 특성과 임상 적용에서 몇 가지 차이점이 있습니다.이번 글에서는 반코마이신과 테이코플라닌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하여 정리해보겠습니다.✅ 반코마이신 & 테이코플라닌의 공통점1️⃣ 작용 기전 (Mechanism of Action) 🔬세포벽 합성 억제(Cell wall synthesis inhibi..

중환자의학 2025.03.18

중환자실에서 Shivering(오한) 조절 방법

Shivering(오한)은 중환자실(ICU)에서 저체온, 마취 회복, 패혈증, 약물 금단 등의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으며, 체온 조절과 대사율 증가와 관련이 있습니다. 그러나 과도한 Shivering은 산소 소비량 및 에너지 요구량을 증가시켜, 특히 심혈관 및 중증 환자에서 위험할 수 있습니다.이번 글에서는 중환자실에서의 Shivering을 효과적으로 조절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Shivering이 발생하는 주요 원인💡 Shivering은 일반적으로 체온이 저하될 때 발생하지만, 비(非)저체온성 원인도 존재합니다.저체온(Hypothermia, ≤35°C)치료적 저체온(TTM), 수술 후 체온 저하마취 회복(Anesthesia Emergence)프로포폴, 세보플루란 등 마취제 중단 후 발생패혈증(S..

중환자의학 2025.03.18

Seizure vs. Shivering, 어떻게 구분할까?

중환자실(ICU)이나 응급 상황에서 환자가 불수의적 근육 운동(Involuntary movements)을 보이면, 이는 발작(Seizure)인지 오한(Shivering)인지 구별해야 합니다. 두 증상은 비슷해 보일 수 있지만, 원인과 치료법이 완전히 다르므로 빠르고 정확한 감별이 중요합니다.✅ Seizure(발작) vs. Shivering(오한) 비교 구분 Seizure (발작) Shivering (오한) 원인뇌의 비정상적 전기적 활성 증가체온 조절 과정에서 근육 떨림발생 기전뉴런의 과흥분으로 인해 전신 또는 국소적 경련 발생체온이 저하되거나 마취, 패혈증 등으로 인해 발생운동 형태리드미컬하고 강한 수축-이완 반복, 대개 대칭적잔떨림(tremor)처럼 보이며 불규칙적의식 상태일반적으로 의식 저하 or..

중환자의학 2025.03.1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