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환자의학

요로 감염(UTI) 패혈성 쇼크(Septic Shock)에서 추천되는 경험적 항생제

비비닥 2025. 3. 19. 16:48
반응형

요로 감염(UTI)이 심해져 패혈성 쇼크(Septic Shock)로 진행되면, 신속한 광범위 경험적 항생제 투여가 필수적입니다. 이때, 내성 균주(MDR) 및 패혈증 원인균을 고려한 초기 경험적 항생제 선택이 중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UTI 패혈성 쇼크에서 추천되는 경험적 항생제 및 치료 전략을 살펴보겠습니다!

요로 감염(UTI) 패혈성 쇼크(Septic Shock)에서 추천되는 경험적 항생제


✅ UTI 패혈성 쇼크에서 가장 흔한 원인균 🦠

💡 대부분의 원인균은 장내세균(Enterobacteriaceae)이며, 다제내성균(MDR)도 고려해야 함

균종 발생 비율 특징
🔹 대장균 (Escherichia coli) 60~80% 가장 흔한 원인균, ESBL 가능성
🔹 클렙시엘라 (Klebsiella pneumoniae) 10~15% ESBL, CRE 가능성
🔹 프로테우스 (Proteus mirabilis) 5~10% 요석 형성 가능성 높음
🔹 장알균 (Enterococcus spp.) 5~10% 반코마이신 내성(VRE) 고려
🔹 녹농균 (Pseudomonas aeruginosa) 5% 이하 다제내성 위험 있음

👉 다제내성균(MDR, ESBL, CRE, VRE) 감염을 고려하여 초기 경험적 항생제를 선택해야 합니다.


🏥 UTI 패혈성 쇼크에서 추천되는 경험적 항생제 💊

🔹 1. 저위험군(ESBL & MDR 위험 낮음)

1차 선택:

  • 세프트리악손(Ceftriaxone) 1~2g IV QD
  • 세포탁심(Cefotaxime) 2g IV q8h

녹농균(Pseudomonas) 감염 가능성 있는 경우:

  • 세페핌(Cefepime) 2g IV q8h
  • 세프타지딤(Ceftazidime) 2g IV q8h

👉 MDR 위험이 낮다면 3세대 세팔로스포린이 1차 선택!


🔹 2. 고위험군(ESBL 감염 위험 있음)

1차 선택 (ESBL 커버 필요 시):

  • 메로페넴(Meropenem) 1g IV q8h
  • 이미페넴/시라스타틴(Imipenem/Cilastatin) 500mg IV q6h
  • 도리페넴(Doripenem) 500mg IV q8h

ESBL 위험이 낮거나 경증의 경우:

  • 피페라실린/타조박탐(Piperacillin/Tazobactam) 4.5g IV q6h
    (단, ESBL 감염 시 효과 떨어질 수 있음)

👉 ESBL 감염 위험이 있는 경우, 카바페넴(메로페넴 등)이 가장 효과적!


🔹 3. 다제내성균(CRE, 카바페넴 내성균) 감염 의심 시

1차 선택 (CRE 감염 가능성 높은 경우):

  • 세프타졸리딘/타조박탐(Ceftazidime/Avibactam) 2.5g IV q8h
  • 메로페넴/바보박탐(Meropenem/Vaborbactam) 2g IV q8h
  • 폴리믹신B(Polymyxin B) 또는 콜리스틴(Colistin) 추가 고려

👉 CRE 감염 시, 기존 카바페넴 치료로 효과가 부족하므로 새로운 항생제 조합 사용 필요!


🔹 4. 장알균(Enterococcus) 감염 의심 시 (VRE 고려)

반코마이신 감수성(Enterococcus faecalis) → 반코마이신 사용 가능
반코마이신 내성(VRE) 감염 의심 시 → 리네졸리드(Linezolid) 또는 도시바시신(Daptomycin) 사용

균종 1차 선택 대체 항생제
반코마이신 감수성 (VSE) 반코마이신 IV 암피실린 IV
반코마이신 내성 (VRE) 리네졸리드 IV 도시바시신 IV

👉 장알균 감염이 의심될 경우, 반코마이신 감수성 여부를 빠르게 확인해야 함!


🩺 경험적 항생제 선택 요약 (요로 패혈증 치료 전략)

위험군 경험적 항생제 (1차 선택 대체 항생제
저위험군 (MDR 위험 낮음) 세프트리악손 1~2g IV QD 세페핌, 세프타지딤
고위험군 (ESBL 위험 있음) 메로페넴 1g IV q8h 피페라실린/타조박탐
CRE 감염 의심 (카바페넴 내성균) 세프타졸리딘/타조박탐 폴리믹신B, 콜리스틴
장알균 감염 의심 (VRE 포함) 리네졸리드 IV 도시바시신 IV

👉 초기 항생제 선택은 지역 내 내성률(Antibiogram) 및 환자의 위험 인자를 고려하여 결정해야 합니다!


🚨 결론: UTI 패혈성 쇼크에서 항생제 선택 가이드

저위험군 → 세프트리악손, 세페핌 사용 가능
ESBL 감염 가능성 → 메로페넴(카바페넴) 사용
CRE 감염 의심 시 → 세프타졸리딘/타조박탐, 메로페넴/바보박탐 고려
장알균 감염(VRE 포함) 의심 시 → 반코마이신 or 리네졸리드 사용

👉 빠른 경험적 항생제 투여가 패혈성 쇼크 환자의 생존율을 높이는 핵심!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