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소마취 시 리도카인(Lidocaine)에 에피네프린(Epinephrine)을 혼합하면 혈관 수축 효과로 인해 출혈 감소 및 마취 지속 시간 연장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이는 특히 절개, 봉합, 작은 피부 수술에서 유용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에피네프린이 포함된 리도카인 국소마취제 제조법을 정리하겠습니다!

✅ 에피네프린 + 리도카인 혼합의 장점
✔ 혈관 수축 효과 → 출혈 감소
✔ 국소마취 지속 시간 연장
✔ 리도카인 전신 흡수 속도 감소 → 전신 부작용 위험 감소
🧪 에피네프린 + 리도카인 혼합 제조법
🔹 1% 리도카인 + 1:100,000 에피네프린 제조
✅ 1% 리도카인 (Lidocaine 1%): 10mg/mL
✅ 에피네프린 1:100,000 (Epinephrine 1:100,000): 0.01mg/mL
💡 제조법:
- 1% 리도카인 20mL(200mg) + 1:1,000 에피네프린 0.2mL(200μg, 0.2mg) + 생리식염수(NS) 19.8mL → 총 40mL
👉 최종 농도:
- 리도카인 1% (10mg/mL)
- 에피네프린 1:100,000 (0.01mg/mL)
🔹 2% 리도카인 + 1:200,000 에피네프린 제조
✅ 2% 리도카인 (Lidocaine 2%): 20mg/mL
✅ 에피네프린 1:200,000 (Epinephrine 1:200,000): 0.005mg/mL
💡 제조법:
- 2% 리도카인 10mL(200mg) + 1:1,000 에피네프린 0.05mL(50μg, 0.05mg) + 생리식염수(NS) 9.95mL → 총 20mL
👉 최종 농도:
- 리도카인 2% (20mg/mL)
- 에피네프린 1:200,000 (0.005mg/mL)
🚨 주의할 점!
✔ 말초혈관이 적은 부위(손가락, 발가락, 코끝, 귀 등)에는 사용 금지!
✔ 심혈관 질환 환자에서는 저농도(1:200,000) 사용 권장
✔ 최대 용량:
- 리도카인 단독: 300mg (1% 리도카인 30mL)
- 리도카인 + 에피네프린: 500mg (1% 리도카인 50mL)
👉 에피네프린 농도를 조절하여 출혈 감소 효과를 최적화하세요! 💉
'중환자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 트라넥사민, 출혈에 어떻게 작용할까? (0) | 2025.03.20 |
|---|---|
| 조영제 독성(Nephrotoxicity) 완화 방법 (0) | 2025.03.19 |
| 요로 감염(UTI) 패혈성 쇼크(Septic Shock)에서 추천되는 경험적 항생제 (0) | 2025.03.19 |
| COPD 환자에서 볼륨 조절 환기(VCV)가 유리한 이유 (0) | 2025.03.19 |
| 기계환기에서 압력모드 vs. 볼륨모드: 적응증 비교 (0) | 2025.03.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