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염내과 24

메로페넴(Meropenem)의 주요 부작용

메로페넴(Meropenem)은 강력한 광범위 항생제로, 주로 중증 감염(폐렴, 복막염, 패혈증 등)에 사용됩니다. 이 약물은 카바페넴계 항생제 중 하나로, 다양한 그람양성균, 그람음성균, 혐기성균에 효과가 있습니다. 하지만 강력한 약물인 만큼 메로페넴의 부작용도 반드시 주의해야 합니다.💊 메로페넴의 주요 용도감염 종류예시 질환호흡기 감염병원성 폐렴, 중증 기관지염 등복부 감염복막염, 담낭염, 충수염 등요로 감염신우신염, 복잡성 요로감염 등패혈증원인 미상의 전신성 감염증 등피부 및 연조직 감염욕창, 당뇨병성 족부 감염 등⚠️ 메로페넴의 주요 부작용메로페넴은 대체로 안전한 약물로 알려져 있지만, 아래와 같은 부작용이 보고되고 있습니다. 특히 고용량 사용 시나 장기 투여 시에는 더욱 주의해야 합니다.1. 소..

중환자의학 2025.05.31

2025년 기준 Pseudomembranous colitis의 표준 치료법은?

Pseudomembranous colitis(위막성 대장염)는 주로 항생제 사용 후 발생하는 Clostridioides difficile 감염(CDI)에 의해 유발됩니다. 최근 몇 년간 치료지침은 꾸준히 업데이트되었고, 2025년 기준으로는 보다 효과적이면서 재발률을 낮추는 전략들이 강조되고 있습니다.위막성 대장염이란?위막성 대장염은 대장 점막에 염증과 함께 노란색 혹은 흰색의 위막이 형성되는 질환입니다. 대개 광범위 항생제 사용 이후 발생하며, 특히 Clostridioides difficile라는 독소를 분비하는 균에 의해 유발됩니다. 주요 증상은 심한 설사, 발열, 복통, 탈수 등입니다. 최근 고령자나 면역저하자에서 발생률이 증가하고 있으며, 치료에 대한 접근도 더욱 신중해지고 있습니다.2025년 최..

의학 지식 2025.05.29

위막성 대장염(PMC)을 잘 유발하는 대표적인 항생제는?

위막성 대장염(Pseudomembranous colitis, PMC)은 주로 광범위 항생제 사용 이후 장내 정상 세균총이 파괴되면서, Clostridioides difficile의 과성장 및 독소 분비로 인해 발생합니다. 항생제 자체는 직접 감염을 일으키는 원인이 아니지만, 세균총의 균형을 깨뜨리는 방식으로 간접적으로 질병을 유발합니다.2025년 기준으로, 다음과 같은 항생제들이 PMC 발생과 가장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PMC 유발 가능성이 높은 대표 항생제항생제 계열대표 약물설명세팔로스포린Ceftriaxone, Cefotaxime광범위한 작용 범위로 장내 유익균까지 억제클린다마이신(Clindamycin)Clindamycin가장 PMC 유발률이 높은 항생제 중 하나플루오로퀴놀론Cip..

의학 지식 2025.05.29

AmpC 변이(AmpC Mutation), 항생제 내성의 숨은 전략

항생제 내성의 원인 중 하나로 최근 주목받는 것이 바로 AmpC β-lactamase입니다.특히 그람음성균에서 흔하게 나타나는 AmpC mutation(변이)은 기존 항생제를 무력화시키고, 치료 실패로 이어질 수 있는 중요한 기전이에요.이번 글에서는 AmpC 변이가 무엇인지, 어떻게 내성을 유발하는지, 임상에서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를 알기 쉽게 정리해드릴게요. 💡AmpC β-lactamase란? 🔬AmpC β-lactamase는 그람음성균이 만들어내는 효소로, 페니실린계·세팔로스포린계 항생제를 분해하여 무력화시킵니다.기본적으로는 낮은 수준에서 발현되지만, 유전자 변이(mutation)로 인해 과발현되거나 발현이 조절되지 않을 경우, 강력한 내성을 나타낼 수 있어요.AmpC mutation이란?AmpC..

중환자의학 2025.05.28

메로페넴 AST, 감수성 해석과 임상 적용법 총정리

메로페넴(Meropenem)은 강력한 광범위 카바페넴계 항생제로, 주로 다제내성 그람음성균(MDR GNB) 감염에 사용됩니다.세균의 내성 증가로 인해, 메로페넴 사용 전 감수성 검사(AST: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Testing)는 매우 중요합니다.이번 글에서는 메로페넴 AST의 검사 방법, MIC 기준, 해석 시 주의점까지 쉽게 정리해드릴게요! 😊메로페넴의 작용 범위 요약메로페넴은 다음과 같은 균에 활성을 가집니다:그람음성균: E. coli, Klebsiella spp., Enterobacter spp., Pseudomonas aeruginosa 등그람양성균: 일부 Streptococcus spp., MSSA혐기성균: Bacteroides fragilis 등그러나 ESBL..

중환자의학 2025.05.28

테이코플라닌 감수성 검사(AST), 제대로 알고 사용하기

테이코플라닌(Teicoplanin)은 MRSA와 같은 그람 양성균 감염에서 사용되는 글라이코펩타이드 항생제입니다.반코마이신과 유사한 작용기전을 가지지만, 약동학적 장점과 신독성 감소 등으로 일부 환자에서 더 선호되기도 하죠.하지만 테이코플라닌은 항균제 감수성 검사(AST: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Test)에 있어 몇 가지 독특한 점이 있습니다.이번 글에서는 테이코플라닌의 감수성 검사 기준과 해석, 주의사항까지 정리해드릴게요! 🧫AST란 무엇인가요? 🔬항균제 감수성 검사(AST)는 특정 균주가 어떤 항생제에 감수성(susceptible) 또는 내성(resistant)이 있는지를 판별하는 검사입니다.테이코플라닌의 경우도 감염 원인균(MRSA 등)에 대해 이 검사를 통해 약물 ..

의학 지식 2025.05.28

반코마이신과 테이코플라닌, 가장 중요한 차이점은?

반코마이신(Vancomycin)과 테이코플라닌(Teicoplanin)은 둘 다 글라이코펩타이드 계열 항생제로, 주로 MRSA(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를 포함한 그람 양성균 감염 치료에 사용됩니다. 비슷한 계열의 약물이지만, 실제 임상에서는 중요한 차이점이 있어 선택 시 고려가 필요합니다.그 중에서도 가장 핵심적인 차이는 약동학적 특성(반감기와 투여 방식)입니다. 💊✅ 가장 중요한 차이점: 반감기와 투여 빈도구분반코마이신테이코플라닌반감기약 6시간약 70~100시간투여 빈도하루 23회 (q812h)하루 1회 또는 주 1~2회투여 경로정맥 주사(IV)만 가능정맥(IV) 또는 근육(IM) 주사 가능➡️ 핵심 요약:테이코플라닌은 반감기가 길어 투여 횟수가 적고, 유지가 간편합니다.이는 특히 외래 치료나 장..

의학 지식 2025.05.28

반코마이신 500mg vs 1g? 신기능에 따른 적정 용량 가이드

반코마이신(Vancomycin)은 강력한 그람 양성균 감염 치료제로 특히 MRSA 감염에서 자주 사용됩니다.하지만 용량 설정은 환자의 신장 기능, 체중, 감염 정도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500mg?”, “1g?” 같은 고정된 용량으로 접근하는 것은 위험할 수 있어요.이번 글에서는 신기능(CrCl, eGFR)에 따른 반코마이신 적정 용량을 이해하기 쉽게 정리해드릴게요! 😊기본 용량 원칙 ⚖️반코마이신은 전신 감염 치료 시 체중 기반 용량으로 계산하며, 보통 다음 기준을 사용합니다:정상 신기능 환자👉 15~20mg/kg/회 x 2~3회/일 (q8h 또는 q12h)👉 70kg 성인 기준 약 1g IV q12h가 평균적✅ 단, 정확한 투여는 신기능(CrCl)을 고려한 개별화가 필수입니다!신기능에 따른 ..

의학 지식 2025.05.28

반코마이신 TDM, 꼭 해야 하는 이유는?

반코마이신(Vancomycin)은 강력한 그람 양성균 항생제로 특히 MRSA 감염 치료에 흔히 사용됩니다. 하지만 치료 농도와 독성 농도의 경계가 좁아 혈중 약물 농도 모니터링(TDM: Therapeutic Drug Monitoring)이 꼭 필요합니다.이번 글에서는 반코마이신 TDM이 왜 중요한지, 언제 어떻게 측정해야 하는지, 최신 권고 기준까지 정리해드릴게요.💉 효과적으로, 그리고 안전하게 반코마이신을 사용하는 방법입니다!반코마이신 TDM이 필요한 이유 🔍반코마이신은 다음과 같은 이유로 TDM이 필수적인 항생제입니다:이유설명치료 농도 범위가 좁음너무 낮으면 효과 부족, 너무 높으면 신장 독성 발생개인 간 약동학 차이 큼신장 기능, 체중, 나이 등에 따라 약물 대사 차이 큼신장 독성 가능성고농도 ..

의학 지식 2025.05.28

Pip-Tazo는 혐기성균을 커버할까? Metronidazole 병용이 필요 없는 이유

임상에서 복부 감염, 폐렴, 패혈증 등 다양한 감염 질환 치료 시 자주 사용되는 항생제가 바로 Pip-Tazo(피페라실린/타조박탐)입니다. 이 약제는 넓은 항균 스펙트럼을 자랑하지만, 많은 의료진들이 “혐기성균도 충분히 커버할까?”, “Metronidazole(메트로니다졸)을 병용해야 할까?”라는 질문을 자주 던지곤 합니다.이번 글에서는 Pip-Tazo의 혐기성균에 대한 커버리지와 Metronidazole 병용 여부에 대해 의학적으로 명확히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 Pip-Tazo의 항균 범위Pip-Tazo는 피페라실린(Penicillin 계열)과 타조박탐(β-lactamase 억제제)의 복합제로, 그람양성균, 그람음성균, 혐기성균까지 모두 커버하는 광범위 항생제입니다.✅ 주요 커버 범위그람양..

중환자의학 2025.05.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