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감염내과 14

Meropenem의 치료 기간, 얼마나 써야 할까요?

Meropenem은 강력한 광범위 베타락탐계 항생제로, 주로 중증 감염이나 다제내성균 감염 치료에 사용됩니다. 탄페넴계 항생제 중 하나로, 그람양성균, 그람음성균, 혐기성균까지 폭넓게 커버하는 능력이 있어 중환자실(ICU)에서 자주 처방됩니다. 그러나 치료 효과만큼이나 중요한 것은 적절한 치료 기간을 설정하는 것입니다. 너무 짧으면 치료 실패, 너무 길면 내성이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죠.그렇다면, Meropenem의 권장 치료 기간은 얼마일까요? 🦠💉📅 일반적인 Meropenem 치료 기간 가이드감염 종류에 따라 권장 치료 기간은 다릅니다. 아래는 대표적인 감염에 대한 Meropenem 사용 권장 기간입니다:감염 질환권장 치료 기간비고복강내 감염4~7일수술 또는 배액 병행 시 단축 가능요..

중환자의학 2025.05.04

ESBL 양성 E. coli에 타조박탐/피페라실린이 효과 있을까?

감염 내과나 중환자실에서 흔히 접하는 ESBL(Extended-Spectrum Beta-Lactamase) 양성 E. coli는 치료가 쉽지 않은 대표적인 다제내성균입니다. 이 균주는 광범위 베타락탐 분해효소를 만들어, 기존 항생제에 대한 내성을 나타내는데요. 많은 분들이 질문하는 것 중 하나는:“타조박탐/피페라실린(Piperacillin/Tazobactam)은 ESBL 양성 E. coli에 효과가 있나요?” 입니다.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대부분의 경우 효과적이지 않으며, 중증 감염에서는 특히 사용을 피해야 합니다.🦠 ESBL 양성 E. coli란?ESBL은 3세대 세팔로스포린(예: 세프트리악손, 세포탁심)이나 페니실린 계열 항생제를 분해하는 효소를 생성하는 E. coli 또는 Klebsiella 등에서..

중환자의학 2025.05.03

복강내 농양 치료 중 Meropenem 사용 시 Metronidazole도 필요할까?

복강내 농양(intra-abdominal abscess)은 호기성 + 혐기성 혼합 감염이 흔하기 때문에, 항생제 선택 시 균종에 대한 포괄적 커버가 매우 중요합니다.이런 상황에서 자주 받는 질문 중 하나는:“Meropenem을 투여 중인데, 혐기성 커버를 위해 Metronidazole도 같이 줘야 하나요?”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일반적으로 Metronidazole을 추가로 투여할 필요는 없습니다.🧬 Meropenem의 항균 범위Meropenem은 광범위 카바페넴계 항생제로, 다음과 같은 균종에 매우 우수한 효과를 가집니다:대부분의 그람음성균 (E. coli, Klebsiella 등)일부 그람양성균특히 중요한 점:✅ Bacteroides fragilis를 포함한 혐기성균까지 강력하게 커버즉, 복강내 감염..

의학 지식 2025.05.03

Ertapenem vs Meropenem 💊 — 항균력과 경험적 요법 측면 비교

Ertapenem과 Meropenem은 모두 카바페넴 계열의 광범위 항생제입니다.하지만 이 두 약물은 항균 스펙트럼, 투여 간격, 임상 적용 범위에서 차이를 보이며, 임상에서 어떤 약을 사용할지 판단할 때 중요한 기준이 됩니다.이번 글에서는 Ertapenem과 Meropenem의 항균력 차이와 경험적 요법(empiric therapy)으로서의 사용 측면을 중심으로 정리해드립니다. 🧠🧬 항균력 비교항균 범주ErtapenemMeropenem그람양성균 (G+)대부분 커버대부분 커버그람음성균 (G−)대부분 커버대부분 커버Pseudomonas aeruginosa❌ 비활성✅ 강력한 효과Acinetobacter spp.❌ 비활성✅ 효과 있음혐기성균 (Bacteroides 포함)✅ 커버✅ 커버ESBL-produci..

중환자의학 2025.05.03

Meropenem Extended Infusion 💉 — 방법과 사용해야 하는 상황은?

Meropenem은 강력한 카바페넴계 항생제로, 중증 감염이나 다제내성균(특히 ESBL, PSA)에 자주 사용됩니다.최근에는 Meropenem을 "Extended Infusion"(지속적 또는 연장 정주)으로 투여하는 방식이 점점 더 선호되고 있습니다.그 이유는 약물의 약동학/약력학(PK/PD)을 최적화하여 치료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이번 글에서는 Meropenem Extended Infusion의 방법, 적용 대상, 이점에 대해 정리해드립니다. 🧠💊 Extended Infusion이란?Extended infusion은 Meropenem을 짧게 30분~1시간 내에 bolus로 투여하는 대신,3시간 이상에 걸쳐 천천히 정맥으로 주입하는 방법입니다.📌 목적: β-lactam 항생제의 핵심..

중환자의학 2025.05.03

비정형 폐렴부터 쯔쯔가무시까지, Doxycycline 어디에 쓰일까?

감염내과나 응급실에서 자주 듣는 항생제 이름 중 하나가 바로 Doxycycline(독시사이클린)입니다.“폐렴에도 쓰고, 열 날 때도 쓰고… 이 약 어디에 다 쓰는 거죠?”사실 Doxycycline은 테트라사이클린 계열의 광범위 항생제로, 다양한 비정형 세균 감염과 리케차성 질환에 효과가 있어 감염병 진단이 애매한 상황에서도 유용하게 쓰이는 약물입니다.이번 글에서는 Doxycycline이 어떤 질환에 쓰이는지, 용량과 주의사항까지 총정리해드릴게요. 😊💡 Doxycycline은 어떤 약인가요?항균 범위: 그람양성균, 그람음성균, 비정형 세균, 리케차, 클라미디아 등흡수율: 경구 복용 시 생체이용률 90% 이상작용 기전: 30S 리보솜 소단위에 결합해 단백질 합성 억제🧬 특히 세포 내에 기생하는 병원체에..

의학 지식 2025.04.21

중증 열성 혈소판감소 증후군이란? 언제 의심해야 할까? 치료 방법은?

최근 뉴스나 병원에서 ‘중증 열성 혈소판감소 증후군(SFTS, Severe Fever with Thrombocytopenia Syndrome)’이라는 병명을 들어보셨나요? 이름부터 무서운 이 질환은 진드기 매개 바이러스 감염병으로, 심할 경우 사망에 이를 수 있어 매우 주의가 필요한 질병입니다. 특히 야외 활동이 잦은 계절(봄~가을)에 위험도가 높아지므로, 미리 알고 예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SFTS의 원인, 주요 증상, 의심 상황, 치료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려드릴게요. 🧬🦠SFTS는 어떤 병인가요? 🦟중증 열성 혈소판감소 증후군(SFTS)은 SFTS 바이러스(SFTSV) 감염에 의해 발생하며, 주로 작은소피참진드기에 물려 감염됩니다. 진드기 자체는 매우 작아서 눈에 잘 띄지 않지..

의학 지식 2025.04.19

쯔쯔가무시는 흔한 병일까? 진단 방법과 치료는?

가을철 야외활동을 즐기다 보면 풀숲이나 들판에서 벌레에 물리는 일이 생기곤 합니다. 이때 조심해야 할 대표적인 감염병 중 하나가 바로 쯔쯔가무시병입니다. 이름이 낯설고 특이해서 드물게 느껴질 수 있지만, 우리나라에서도 비교적 흔히 발생하는 감염병이에요. 특히 농촌이나 야외에서 활동하는 분들에겐 꼭 알아두어야 할 질환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쯔쯔가무시병의 감염 경로, 증상, 진단, 치료법에 대해 자세히 알려드릴게요. 🐜🌿쯔쯔가무시병이란? 🦠쯔쯔가무시병은 Orientia tsutsugamushi라는 세균에 감염되어 발생하는 급성 발열성 질환입니다. 이 병원균은 털진드기 유충에 의해 사람에게 전파되며, 주로 9~11월 사이에 집중적으로 발생합니다.✅ 감염 경로는?털진드기 유충이 사람 피부를 물며 감염진드기..

의학 지식 2025.04.19

APN 치료의 항생제 가이드라인: 급성 신우신염, 어떻게 치료할까?

급성 신우신염(Acute Pyelonephritis, APN)은 상부 요로감염의 대표 질환으로, 고열과 옆구리 통증, 배뇨통 등 전신적 감염 증상이 동반됩니다. 원인균의 대부분은 장내 세균, 특히 E. coli이며, 빠르고 적절한 항생제 치료가 회복과 합병증 예방의 핵심입니다. 오늘은 최신 가이드라인을 바탕으로 한 APN의 항생제 치료 전략을 상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APN 치료의 기본 원칙항생제 치료는 즉시 시작해야 합니다 (가능하면 소변배양 전 채취).치료는 환자의 상태, 입원 여부, 내성률 등을 고려해 선택합니다.경증-중등도 vs 중증(APN with sepsis)로 나눠 치료 방침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2. 외래 치료 vs 입원 치료: 어떤 항생제를 써야 할까?✅ 외래 치료가 가능한 경..

의학 지식 2025.04.18

뇌수막염이 의심되는 환자에게 스테로이드 투여, 가이드라인에 있을까?

뇌수막염(Meningitis)은 빠르게 진행할 수 있는 치명적인 질환으로, 초기 치료 전략이 예후를 크게 좌우합니다. 항생제 투여는 물론이고, 경우에 따라 스테로이드(dexamethasone)가 병용되기도 하는데요. 그렇다면, 뇌수막염이 의심만 되는 단계에서도 스테로이드를 사용하는 것이 과연 가이드라인에 포함되어 있을까요? 🤔💉 1. 뇌수막염 치료에서 스테로이드의 역할스테로이드는 염증 반응을 억제하여 뇌압 상승, 뇌부종, 청신경 손상 등의 합병증을 줄이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특히 세균성 뇌수막염에서 이런 효과가 가장 뚜렷하게 나타나며, 주된 목적은 청력 손실 예방과 신경학적 후유증 감소입니다.2. 스테로이드 사용은 언제, 어떻게?✅ 가이드라인 핵심 요약 (2023년 기준)IDSA (미국 감염..

중환자의학 2025.04.1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