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패혈증 24

중환자실에서의 신장 보호 전략

중환자실(ICU)은 중증 환자들이 집중적인 치료를 받는 공간으로, 신장 보호는 환자의 생존율과 회복에 중요한 영향을 미칩니다. 급성 신손상(AKI)은 중환자실에서 흔히 발생하며, 이는 입원 기간 증가, 투석 필요성, 사망률 상승과 연관됩니다. 따라서 신장 보호를 위한 체계적인 전략이 필수적입니다. 🏥신장 손상의 주요 원인중환자실에서 신장 손상을 유발하는 주요 요인은 다음과 같습니다:혈역학적 불안정성: 저혈압이나 쇼크로 인해 신장 혈류 감소신독성 약물 사용: 특정 항생제(아미노글리코사이드), 조영제 등패혈증: 전신 염증 반응으로 인한 신장 관류 저하수액 과부하: 과도한 수액 투여로 인한 부종과 신장 부담이러한 요인을 예방하고 신장 기능을 보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중환자실에서의 신장 보호 전략1. 적절한 ..

중환자의학 2025.03.23

중심정맥관을 2주 뒤에 PICC로 교체해야 하는 이유

중심정맥관(Central Venous Catheter, CVC)은 장기 사용 시 감염 및 혈관 합병증 위험이 증가할 수 있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2주 후에는 말초삽입 중심정맥관(PICC, Peripherally Inserted Central Catheter)로 교체하는 것이 권장됩니다.1. 감염 위험 감소 🦠중심정맥관 관련 혈류감염(CLABSI, Central Line-Associated Bloodstream Infection)의 위험은 사용 기간이 길어질수록 증가합니다.2주 이상 CVC 유지 시 감염 위험 급격히 증가피부 및 카테터 내강을 통한 세균 또는 진균 감염 가능성감염 발생 시 패혈증(Sepsis) 및 다발성 장기부전(MOF) 위험 증가✅ PICC는 말초에서 삽입하므로 감염 위험이 상대적으로 ..

중환자의학 2025.03.21

감염 이야기: 곰팡이(이스트; Yeast) 혈증의 진단과 치료

1. 곰팡이(이스트) 혈증이란?곰팡이 혈증(Yeast Fungemia)이란 곰팡이(특히 이스트 균; Candida spp.)가 혈류에 침입하여 전신 감염을 일으키는 상태를 말합니다.일반적으로 칸디다 혈증(Candidemia)이라는 용어가 더 자주 사용되며, 이는 곰팡이 균 중 하나인 칸디다(Candida) 속이 원인균으로 가장 흔하기 때문입니다.곰팡이 혈증은 면역력이 약한 환자에서 패혈증(Sepsis)으로 진행할 위험이 높은 치명적인 감염으로 간주됩니다. 조기에 발견하지 못하면 다발성 장기 부전(MOF)과 높은 사망률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2. 곰팡이 혈증의 원인과 위험 요인 🏥🔹 원인균칸디다속(Candida spp.): 가장 흔한 원인균Candida albicans (가장 흔함)Candida gl..

중환자의학 2025.03.21

중심정맥관 감염(CRBSI)이 의심될 때, 가장 먼저 해야 할 조치!

중심정맥관 관련 혈류 감염(CRBSI, Catheter-Related Bloodstream Infection)은 중환자실(ICU) 및 병원 내 감염에서 중요한 문제로, 신속한 진단과 적절한 치료가 필수적입니다.이번 글에서는 중심정맥관 감염이 의심될 때 가장 먼저 해야 할 조치와 치료 전략을 살펴보겠습니다.✅ 중심정맥관 감염(CRBSI)이 의심될 때, 가장 먼저 해야 할 일!🔹 1. 감염 징후 확인 & 신속한 혈액 배양 검사 시행! 🦠🩸💡 가장 중요한 첫 단계는 혈액 배양 검사!✅ 감염 징후 확인발열(≥38°C), 오한, 혈압 저하, 패혈증 증상카테터 삽입 부위 발적, 통증, 삼출물(고름), 종창✅ 혈액 배양 검사(Blood culture) 시행말초 정맥 혈액 배양(Peripheral blood c..

중환자의학 2025.03.19

중환자실에서 Shivering(오한) 조절 방법

Shivering(오한)은 중환자실(ICU)에서 저체온, 마취 회복, 패혈증, 약물 금단 등의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으며, 체온 조절과 대사율 증가와 관련이 있습니다. 그러나 과도한 Shivering은 산소 소비량 및 에너지 요구량을 증가시켜, 특히 심혈관 및 중증 환자에서 위험할 수 있습니다.이번 글에서는 중환자실에서의 Shivering을 효과적으로 조절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Shivering이 발생하는 주요 원인💡 Shivering은 일반적으로 체온이 저하될 때 발생하지만, 비(非)저체온성 원인도 존재합니다.저체온(Hypothermia, ≤35°C)치료적 저체온(TTM), 수술 후 체온 저하마취 회복(Anesthesia Emergence)프로포폴, 세보플루란 등 마취제 중단 후 발생패혈증(S..

중환자의학 2025.03.18

혈액검사에서 CK-MB는 정상인데 Troponin I만 높은 경우 해석

심장 근육 손상을 평가할 때 주요한 바이오마커는 CK-MB(Creatine Kinase-MB)와 Troponin I(TnI)입니다. 일반적으로 심근경색(심장마비)에서는 두 수치가 함께 상승하는 경우가 많지만, CK-MB는 정상인데 Troponin I만 높다면? 이는 심근 손상이 있지만 다른 원인일 가능성이 있습니다.1. CK-MB vs. Troponin I 차이점 💡 검사 항목 의미 정상 범위 상승 원인 CK-MB심장과 골격근에서 나오는 효소0~5 ng/mL심근경색, 근육 손상(운동, 외상)Troponin I심장 근육에서만 방출되는 단백질0~0.04 ng/mL심근경색, 심부전, 신부전, 패혈증 등📌 Troponin I는 심장에 특이적이지만, CK-MB는 골격근에서도 증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

의학 지식 2025.03.10

1-Hour Bundle에서 사용하는 광범위 항생제 종류와 특성

패혈증 환자의 초기 치료에서 광범위 항생제는 감염을 조기에 억제하고 환자의 생존율을 높이는 핵심 요소입니다. 1-Hour Bundle에서는 감염 원인균이 명확하지 않은 초기 단계에서 광범위 항생제를 신속히 투여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1-Hour Bundle에서 주로 사용되는 광범위 항생제의 종류와 특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광범위 항생제란?광범위 항생제(Broad-spectrum antibiotics)는 다양한 종류의 세균(그람 양성균과 음성균)을 동시에 억제할 수 있는 항생제를 의미합니다. 초기 감염 원인균이 불확실한 상황에서 사용되며, 혈액 배양 결과에 따라 감염 원인균이 확인되면 보다 좁은 범위의 항생제로 교체됩니다(De-escalation therapy).1-Hour Bundl..

중환자의학 2025.03.03

중환자 치료에서 1-Hour Bundle: 패혈증 관리의 핵심 지침

패혈증은 중환자실에서 가장 치명적인 응급상황 중 하나로, 조기 발견과 신속한 치료가 환자의 생존율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를 위해 1-Hour Bundle은 패혈증 관리의 표준 지침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1-Hour Bundle의 의미, 구성 요소, 중요성과 적용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Hour Bundle이란?1-Hour Bundle은 패혈증 또는 패혈성 쇼크 환자에게 진단 후 1시간 이내에 시행해야 할 치료 지침입니다. 국제 패혈증 캠페인(Surviving Sepsis Campaign, SSC)에서 권장하는 이 지침은 신속한 처치와 치료의 일관성을 통해 사망률을 감소시키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1-Hour Bundle의 구성 요소1-Hour Bundle은 다음..

중환자의학 2025.03.03

혈액 배양 검사를 동맥혈로 할 수 있을까? 정맥혈과 비교 분석

Blood culture(혈액 배양 검사)는 정맥혈(venous blood) 채취가 원칙이며, 동맥혈(arterial blood)로 시행하는 것은 권장되지 않습니다.📌 왜 동맥혈로 혈액 배양 검사를 하지 않을까?✅ 1) 정맥혈이 감염 검출에 더 적합패혈증(sepsis) 또는 균혈증(bacteremia)은 주로 정맥계를 통해 순환하며, 감염균이 정맥혈에서 더 높은 확률로 검출됩니다.동맥혈은 상대적으로 산소 농도가 높고, 균이 생존하기 어려운 환경이므로 배양 검출률이 낮아질 수 있음.✅ 2) 동맥혈 채취 시 감염 위험 증가동맥 채혈(예: 요골동맥, 대퇴동맥)은 침습적 시술이며, 출혈이나 혈관 손상의 위험이 있음.패혈증 환자에서 동맥혈 채혈 시, 감염을 전신으로 퍼뜨릴 가능성이 있음.✅ 3) 항응고제(Hep..

의학 지식 2025.02.26

기관삽관 시 Sedation 약물 중 혈압을 가장 많이 떨어뜨리는 것은?

기관삽관(Intubation) 시 사용하는 진정제(Sedation) 중 혈압을 가장 많이 떨어뜨리는 약물은 Propofol입니다.🔬 혈압 저하 정도 비교 (Sedation 약물별 영향)약물 혈압 저하 정도 작용 기전 특징 약물 혈압 저하 정도 작용 기전 특징 Propofol🚨🚨🚨 (가장 심함)말초 혈관 확장, 심근 억제강력한 진정 효과, ICP 감소Midazolam🚨 (중등도 저하)GABA 작용 증가진정 효과 우수, 저혈압 가능Etomidate🔄 (거의 영향 없음)심혈관 안정성 유지혈압 유지, ICP 감소Ketamine⬆️ (혈압 상승 가능)교감신경 자극저혈압 환자에서 선호Dexmedetomidine🚨 (서맥 및 혈압 저하)α2-수용체 작용서맥 유발 가능✅ 가장 혈압을 떨어뜨리는 약물:..

중환자의학 2025.02.2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