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패혈증 26

혈액 배양 검사를 동맥혈로 할 수 있을까? 정맥혈과 비교 분석

Blood culture(혈액 배양 검사)는 정맥혈(venous blood) 채취가 원칙이며, 동맥혈(arterial blood)로 시행하는 것은 권장되지 않습니다.📌 왜 동맥혈로 혈액 배양 검사를 하지 않을까?✅ 1) 정맥혈이 감염 검출에 더 적합패혈증(sepsis) 또는 균혈증(bacteremia)은 주로 정맥계를 통해 순환하며, 감염균이 정맥혈에서 더 높은 확률로 검출됩니다.동맥혈은 상대적으로 산소 농도가 높고, 균이 생존하기 어려운 환경이므로 배양 검출률이 낮아질 수 있음.✅ 2) 동맥혈 채취 시 감염 위험 증가동맥 채혈(예: 요골동맥, 대퇴동맥)은 침습적 시술이며, 출혈이나 혈관 손상의 위험이 있음.패혈증 환자에서 동맥혈 채혈 시, 감염을 전신으로 퍼뜨릴 가능성이 있음.✅ 3) 항응고제(Hep..

의학 지식 2025.02.26

기관삽관 시 Sedation 약물 중 혈압을 가장 많이 떨어뜨리는 것은?

기관삽관(Intubation) 시 사용하는 진정제(Sedation) 중 혈압을 가장 많이 떨어뜨리는 약물은 Propofol입니다.🔬 혈압 저하 정도 비교 (Sedation 약물별 영향)약물 혈압 저하 정도 작용 기전 특징 약물 혈압 저하 정도 작용 기전 특징 Propofol🚨🚨🚨 (가장 심함)말초 혈관 확장, 심근 억제강력한 진정 효과, ICP 감소Midazolam🚨 (중등도 저하)GABA 작용 증가진정 효과 우수, 저혈압 가능Etomidate🔄 (거의 영향 없음)심혈관 안정성 유지혈압 유지, ICP 감소Ketamine⬆️ (혈압 상승 가능)교감신경 자극저혈압 환자에서 선호Dexmedetomidine🚨 (서맥 및 혈압 저하)α2-수용체 작용서맥 유발 가능✅ 가장 혈압을 떨어뜨리는 약물:..

중환자의학 2025.02.24

기관삽관 시 사용하는 프로포폴(Propofol) 용량 가이드

Propofol은 빠르게 작용하는 정맥 마취제로, 기관삽관 시 진정 및 유도제(induction agent)로 자주 사용됩니다. 하지만 저혈압 유발 위험이 있어 용량 조절이 중요합니다.💉 Propofol 기관삽관 용량✅ 일반적인 용량:1.5~2.5 mg/kg IV (정맥 주사, 한 번 투여)작용 시간: 30~60초 내 의식 소실지속 시간: 3~10분✅ 저혈압 위험이 있는 경우 (용량 조절 필요)노인, 저혈압 환자 → 1.0~1.5 mg/kg IV쇼크 상태, 중증 패혈증 환자 → 0.5~1.0 mg/kg IV뇌출혈, 뇌경색 환자 (CPP 유지 필요) → 1.0 mg/kg IV 또는 Etomidate 고려✅ 연속 주입 (정맥 진정 유지, TIVA)25~100 mcg/kg/min IV (필요에 따라 조절)?..

중환자의학 2025.02.24

항생제 사용의 지표: Procalcitonin(PCT)

Procalcitonin(PCT)은 감염 여부와 중증도를 평가하는 바이오마커로, 특히 세균 감염과 패혈증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PCT 기반의 항생제 사용 가이드라인을 적용하면 불필요한 항생제 사용을 줄이고, 환자의 예후를 개선할 수 있다는 결과가 보고되고 있습니다. 🩸 Procalcitonin이란?Procalcitonin(PCT)은 칼시토닌(Calcitonin)의 전구체로, 세균 감염 시 급격히 상승하는 특징이 있습니다.정상 상태: PCT는 0.05ng/mL 이하로 매우 낮은 농도로 존재세균 감염 발생 시: TNF-α, IL-6 등의 염증성 사이토카인에 의해 PCT가 급격히 증가바이러스 감염: 인터페론 감작으로 인해 PCT 상승이 억제됨✅ 즉, PCT는 세균 감염과 바이러스 감..

의학 지식 2025.02.24

중환자실에서의 항생제 사용 전략: Escalation과 De-escalation

중환자실(ICU)에서는 패혈증, 폐렴, 요로 감염 등 다양한 감염 질환을 신속하게 치료해야 합니다. 항생제 치료는 생명을 구하는 핵심 요소지만, 무분별한 사용은 내성균 발생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이를 방지하고 최적의 치료 효과를 얻기 위해 항생제 Escalation(증량)과 De-escalation(감량) 전략이 사용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중환자실에서 항생제 사용 원칙과 Escalation 및 De-escalation의 개념, 적용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Escalation과 De-escalation이란? 전략 개념 주요 목적 Escalation (에스컬레이션)초기 광범위 항생제를 사용하여 감염을 신속히 조절패혈증 등 중증 감염에서 빠른 치료로 생존율 향상De-escalation (디에스컬레이션..

중환자의학 2025.02.23

중환자실(ICU)에서 환자의 신장을 보호하기 위한 전략

중환자실(ICU) 환자는 패혈증, 저혈압, 약물, 수술 후 합병증 등으로 인해 신장 기능이 손상될 위험이 높습니다. 급성 신손상(AKI, Acute Kidney Injury)이 발생하면 사망률이 증가하고, 장기적인 신부전 위험도 높아지므로 적극적인 예방 및 조기 관리가 필수적입니다.1. 신장 보호 전략의 핵심 목표✅ 1) 신장 관류 유지: 혈류 감소로 인한 허혈성 손상을 방지✅ 2) 독성 물질 최소화: 신독성 약물과 조영제 사용 주의✅ 3) 체액 균형 유지: 과다수분(Overload) 또는 탈수(Dehydration) 예방✅ 4) 전해질 및 산-염기 균형 유지: 고칼륨혈증, 대사성 산증 예방✅ 5) 패혈증 및 전신 염증 조절: 신장 손상을 유발하는 전신 염증 반응 조절2. 신장 보호 전략의 주요 방법🔹..

중환자의학 2025.02.22

PRES(가역성 후두부 뇌병증 증후군)란?

PRES(Posterior Reversible Encephalopathy Syndrome, 가역성 후두부 뇌병증 증후군) 은 고혈압, 신장 질환, 면역억제제, 패혈증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급성 신경학적 증후군입니다.주로 후두엽(Occipital lobe)과 두정엽(Parietal lobe)이 영향을 받아 시각 이상과 의식 저하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적절한 치료 시 회복 가능하기 때문에 "가역성(Reversible)"이라는 이름이 붙었습니다. 하지만 치료가 늦어지면 뇌출혈이나 영구적 신경 손상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1. PRES의 원인PRES는 여러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으며, 대표적인 원인은 고혈압성 뇌병증과 내피세포 손상입니다.✅ 고혈압성 뇌병증급격한 혈압 상승 → 뇌혈관 자율조절 기능 저하 → ..

중환자의학 2025.02.22

항생제 사용 중 감염이 악화되는 지표들

항생제 사용 중 감염이 악화되는 지표들항생제 치료 중에도 감염이 악화될 수 있으며, 이는 항생제 선택이 부적절하거나, 감염이 중증으로 진행되거나, 내성이 발생했을 가능성을 의미합니다.중환자실(ICU) 및 일반 병동에서 감염 악화 여부를 평가하는 주요 지표를 임상적 변화, 혈액 검사, 영상 검사, 미생물학적 검사로 나누어 정리합니다.1. 임상적 변화 (Clinical Deterioration) 🏥항생제 사용 중에도 감염이 악화되면 환자의 활력징후 및 전신 상태가 악화됩니다. 지표 감염 악화 시 변화 설명 체온 (Temperature)🔼 지속적 발열 (>38.3℃) 🔽 저체온 (감염이 조절되지 않거나, 패혈증 진행혈압 (Blood Pressure, BP)🔽 저혈압 (SBP 패혈성 쇼크 진행 가능심..

중환자의학 2025.02.20

중심정맥관 감염: 의심해야 할 경우와 치료법

중심정맥관 감염(Central Line-Associated Bloodstream Infection, CLABSI)은 병원 내 감염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패혈증과 사망 위험을 높일 수 있는 심각한 질환입니다.특히 중환자실(ICU), 면역저하 환자, 장기 입원 환자에서 발생 위험이 높으며, 빠른 진단과 적절한 치료가 필수적입니다. 이번 가이드에서는 중심정맥관 감염을 의심해야 할 경우, 진단 방법, 치료법 및 예방 전략을 상세히 설명하겠습니다.1. 중심정맥관 감염이란? 🦠📌 중심정맥관(Central Venous Catheter, CVC)이란?✅ 정맥 주사를 장기간 유지해야 하는 환자에게 삽입하는 굵은 정맥관✅ ICU, 항암 치료, 투석, 장기 영양 공급(TPN) 등에 사용📌 중심정맥관 감염(CLABS..

중환자의학 2025.02.14

다제내성 녹농균 치료: 완벽 가이드

다제내성 녹농균(MDR Pseudomonas aeruginosa)은 강한 항생제 내성을 가진 병원균으로, 치료가 어렵고 사망률이 높은 감염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특히 면역이 약한 환자들에게 치명적일 수 있어, 정확한 치료 전략과 항생제 선택이 필수적입니다.이번 가이드에서는 다제내성 녹농균 감염의 치료법, 최신 항생제, 감염 예방 방법을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1. 다제내성 녹농균이란?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은 병원과 중환자실(ICU)에서 흔히 발견되는 대표적인 기회감염균입니다.📌 다제내성(MDR) 녹농균이란?✅ 기존의 여러 항생제(β-락탐, 퀴놀론, 아미노글리코사이드 등)에 내성을 가진 녹농균✅ 일반적인 항생제로 치료가 어려워 특수 항생제 또는 복합 요법 필요✅ 중환자실,..

중환자의학 2025.02.1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