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혈증 6

CRP와 Procalcitonin: 염증과 감염의 중요한 지표

염증과 감염의 감별 진단에서 C-반응단백(CRP, C-reactive protein)**과 **프로칼시토닌(Procalcitonin, PCT)**은 중요한 바이오마커입니다. 두 지표는 임상에서 감염 여부를 평가하고 치료 방향을 결정하는 데 활용됩니다.하지만 CRP와 PCT는 역할과 특성이 다르며, 해석할 때 주의해야 할 점도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두 지표의 차이점과 임상적 활용 방법을 비교해보겠습니다.✅ CRP와 Procalcitonin 비교 특성 CRP Procalcitonin (PCT)주요 기능급성 염증 반응 지표세균 감염 특이적 지표합성 부위간 (Hepatocytes)갑상샘 C세포, 대식세포자극 요인감염, 외상, 자가면역질환주로 세균 감염증가 속도68시간 내 상승, 2448시간에 최고치24시간 ..

중환자의학 2025.02.12

담도염에서의 항생제 사용

1️⃣ 담도염(Cholangitis)이란?담도염은 담즙이 흐르는 담도가 세균 감염으로 염증이 생긴 상태를 의미합니다. 주로 담석, 종양, 협착 등으로 인해 담즙이 정체되면서 발생합니다. 감염이 심하면 패혈증으로 진행될 수 있어 빠른 항생제 치료가 필수적입니다.2️⃣ 담도염의 원인균담도염은 장내 세균에 의해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주요 원인균은 다음과 같습니다.🔬 담도염의 주요 원인균 균 종류 특성 대표적인 예시 그람음성균(-)장내 세균이 주 원인대장균(E. coli), 클렙시엘라(Klebsiella spp.), 엔테로박터(Enterobacter spp.)그람양성균(+)일부 감염에서 발견장구균(Enterococcus spp.), 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spp.)혐기성균중증 감염 시 ..

의학 지식 2025.02.10

세팔로스포린(Cephalosporin)의 세대별 분류

세팔로스포린 계열 항생제는 베타락탐(Beta-lactam) 계열에 속하며, 그람양성균(+)과 그람음성균(-)에 대한 활성 차이에 따라 세대별로 분류됩니다. 초기에는 주로 그람양성균에 강했으나, 세대가 올라갈수록 그람음성균에 대한 효과가 증가합니다.🔬 세팔로스포린의 세대별 특징 및 주요 약물 세대 특징 대표적인 약물 주요 적용 질환 1세대그람양성균(+)에 강함, 그람음성균(-)에 제한적세팔렉신(Cephalexin), 세파졸린(Cefazolin)연조직 감염, 폐렴, 요로감염2세대1세대보다 그람음성균(-) 효과 증가세폭시틴(Cefoxitin), 세포테탄(Cefotetan), 세푸록심(Cefuroxime)복강 내 감염, 호흡기 감염, 골반염3세대그람음성균(-)에 강함, 뇌척수막염 치료 가능세프트리악손(C..

의학 지식 2025.02.10

중환자실(ICU) 환자의 부종과 알부민의 관계

중환자실(ICU) 환자에서 부종(edema)은 흔한 문제이며, 이는 알부민(albumin)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알부민은 혈장 단백질의 주요 구성 요소로, 혈장 삼투압 유지와 체액 균형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부종과 알부민의 관계, 저알부민혈증의 영향, 알부민 보충의 효과와 한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1️⃣ 부종이란?부종(edema)은 조직에 과도한 체액이 축적되는 현상을 의미합니다.중환자실 환자에서 부종은 다음과 같은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수액 과부하(fluid overload): 대량의 정맥 수액 공급으로 인해 체액이 혈관 밖으로 이동저알부민혈증(hypoalbuminemia): 삼투압이 저하되어 체액이 혈관에서 조직으로 이동염증 반응: 패혈증, 감염 등에 의해 혈관 ..

중환자의학 2025.02.07

중환자실에서 PPV와 Fluid Responsiveness

중환자실(ICU)에서는 혈역학적 안정성 유지가 매우 중요합니다. 특히, 저혈압이나 저관류 상태(쇼크, 패혈증 등)에서 체액 반응성(fluid responsiveness)을 평가하여 적절한 수액 치료 여부를 결정해야 합니다.이 과정에서 PPV(Pulse Pressure Variation, 맥압 변동)는 기계환기 중인 환자의 fluid responsiveness를 평가하는 중요한 지표로 사용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PPV의 개념과 함께 fluid responsiveness 평가 및 임상 적용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1️⃣ PPV(Pulse Pressure Variation)란?PPV는 기계환기 중인 환자에서 맥압(Pulse Pressure, PP)이 호흡 주기에 따라 변동하는 정도를 의미합니다.맥압(PP) =..

중환자의학 2025.02.07

녹농균 치료 전략, 어떤 항생제를 써야 할까?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은 병원 내 감염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항생제 내성이 강한 세균입니다. 특히 면역력이 약한 환자나 장기간 입원 환자에게 심각한 감염을 유발할 수 있어 신속하고 효과적인 항생제 치료가 필수적입니다. 하지만 내성 균주의 증가로 인해 적절한 항생제 선택이 점점 더 어려워지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녹농균 감염 치료에 사용되는 주요 항생제와 치료 전략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녹농균 감염의 주요 특징녹농균은 환경에 널리 퍼져 있으며, 의료 기기 및 병원 환경에서도 쉽게 발견됩니다. 이 균은 여러 감염을 일으킬 수 있으며, 대표적인 질환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폐렴(특히 인공호흡기 관련 폐렴)요로감염창상 감염(화상 부위 감염 등)패혈증(혈류 감염..

의학 지식 2025.0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