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2/07 12

봄철 유행 대표 감염병 5개와 예방법

봄이 되면 따뜻한 날씨와 함께 야외 활동이 증가하지만, 동시에 각종 감염병도 기승을 부립니다.꽃가루, 황사, 미세먼지 등이 면역력을 저하시켜 감염병에 걸릴 위험을 높이며, 바이러스와 세균이 활발하게 활동하는 시기이기도 합니다.이번 글에서는 봄철 유행하는 대표 감염병 5가지와 예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1️⃣ A형 간염 🦠🍽A형 간염(Acute Hepatitis A)은 A형 간염 바이러스(HAV)에 의해 발생하는 급성 간염입니다.봄철 유행하는 주요 원인은 오염된 음식과 물을 통한 감염이며, 특히 조개류(굴, 홍합 등) 섭취 시 감염 위험이 높아집니다.✅ 주요 증상✔ 발열, 피로감, 식욕 저하✔ 구역질, 구토, 복통✔ 황달(피부 및 눈 흰자위가 노랗게 변함)✔ 어두운 색 소변, 회색 변💡 잠복기: 약..

생활 속 건강 2025.02.07

겨울철 설사, 노로 바이러스 감염일까?

추운 겨울철, 갑작스럽게 발생하는 심한 설사와 구토로 고생한 적이 있나요?단순한 배탈이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노로 바이러스(Norovirus) 감염일 가능성이 큽니다.노로 바이러스는 겨울철 유행하는 급성 위장관염의 주요 원인으로, 강한 전염력을 가지고 있어 단체 생활을 하는 사람들에게 빠르게 퍼질 수 있습니다.이번 글에서는 노로 바이러스의 증상, 감염 경로, 치료 및 예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1️⃣ 노로 바이러스란?노로 바이러스는 전 세계적으로 흔한 급성 바이러스성 위장관염을 유발하는 바이러스입니다.주로 겨울철(11월~3월)에 유행하며, 소량의 바이러스(10~100개 정도)만으로도 감염될 만큼 전염성이 강합니다.✅ 주요 특징겨울철 대표적인 감염성 설사 질환음식, 물, 사람 간 접촉으로 감염소량의 바이러스만..

의학 지식 2025.02.07

참을 수 없는 고통, 대상포진!

대상포진(herpes zoster)은 어릴 때 수두를 앓았던 사람에게서 발생하는 바이러스 감염 질환으로, 심한 통증과 물집을 동반하는 피부 발진이 특징입니다. 면역력이 저하된 상태에서 잠복해 있던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varicella-zoster virus, VZV)가 활성화되면서 발생하며, 심한 신경통을 유발할 수 있어 빠른 치료가 중요합니다.이번 글에서는 대상포진의 원인, 증상, 치료 및 예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1️⃣ 대상포진이란?대상포진은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varicella-zoster virus, VZV)가 신경절(ganglion)에 잠복해 있다가 면역력이 약해지면 활성화되어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주요 특징수두를 앓은 적 있는 사람에게서만 발생신경을 따라 발진과 물집이 생기..

의학 지식 2025.02.07

HHS(고삼투압성 고혈당 상태)에서 Fluid Deficit의 양과 치료 전략

고삼투압성 고혈당 상태(Hyperosmolar Hyperglycemic State, HHS)는 극심한 고혈당(>600 mg/dL)과 심한 탈수를 특징으로 하는 당뇨병의 응급 합병증입니다.HHS는 주로 제2형 당뇨병 환자에서 발생하며, 인슐린 결핍과 수분 부족으로 인해 혈장 삼투압이 증가하여 의식 저하, 신부전, 쇼크 등의 위험이 있습니다. 따라서 초기 치료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수액 공급을 통한 체액 부족(fluid deficit) 보충입니다.이번 글에서는 HHS에서 Fluid Deficit의 양, 수액 치료 전략 및 Q&A를 자세히 정리하겠습니다.1️⃣ HHS에서 Fluid Deficit(체액 부족)의 양HHS 환자는 극심한 삼투성 이뇨(osmotic diuresis)로 인해 대량의 수분을 상실합니다...

의학 지식 2025.02.07

인슐린 투여 경로: 피하(Subcutaneous) vs 정맥(IV) 차이점

인슐린은 당뇨병 관리 및 응급 혈당 조절을 위해 필수적인 약물입니다. 인슐린의 투여 경로는 피하주사(SC, Subcutaneous injection)와 정맥주사(IV, Intravenous injection)로 나뉘며, 각각의 특성과 임상적 적용이 다릅니다. 이번 글에서는 SC(피하) vs IV(정맥) 인슐린 투여의 차이점, 장단점, 적용 사례를 비교해보겠습니다.1️⃣ 피하(SC) vs 정맥(IV) 인슐린 투여 비교 구분 피하주사 (SC, Subcutaneous) 정맥주사 (IV, Intravenous) 사용 인슐린 종류초속효성(Rapid-acting), 속효성(Short-acting)속효성(Short-acting)작용 개시 시간30~60분즉시 (5~10분)최대 효과 시간2~4시간즉시작용 지속 시간4..

의학 지식 2025.02.07

중환자실(ICU) 환자의 부종과 알부민의 관계

중환자실(ICU) 환자에서 부종(edema)은 흔한 문제이며, 이는 알부민(albumin)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알부민은 혈장 단백질의 주요 구성 요소로, 혈장 삼투압 유지와 체액 균형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부종과 알부민의 관계, 저알부민혈증의 영향, 알부민 보충의 효과와 한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1️⃣ 부종이란?부종(edema)은 조직에 과도한 체액이 축적되는 현상을 의미합니다.중환자실 환자에서 부종은 다음과 같은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수액 과부하(fluid overload): 대량의 정맥 수액 공급으로 인해 체액이 혈관 밖으로 이동저알부민혈증(hypoalbuminemia): 삼투압이 저하되어 체액이 혈관에서 조직으로 이동염증 반응: 패혈증, 감염 등에 의해 혈관 ..

중환자의학 2025.02.07

중환자실에서 PPV와 Fluid Responsiveness

중환자실(ICU)에서는 혈역학적 안정성 유지가 매우 중요합니다. 특히, 저혈압이나 저관류 상태(쇼크, 패혈증 등)에서 체액 반응성(fluid responsiveness)을 평가하여 적절한 수액 치료 여부를 결정해야 합니다.이 과정에서 PPV(Pulse Pressure Variation, 맥압 변동)는 기계환기 중인 환자의 fluid responsiveness를 평가하는 중요한 지표로 사용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PPV의 개념과 함께 fluid responsiveness 평가 및 임상 적용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1️⃣ PPV(Pulse Pressure Variation)란?PPV는 기계환기 중인 환자에서 맥압(Pulse Pressure, PP)이 호흡 주기에 따라 변동하는 정도를 의미합니다.맥압(PP) =..

중환자의학 2025.02.07

생리식염수 지속 투여의 영향

생리식염수(0.9% NaCl)는 병원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수액 중 하나입니다. 탈수, 쇼크, 전해질 불균형 교정 등의 목적으로 사용되지만, 장기간 지속적으로 투여할 경우 여러 가지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생리식염수의 지속적 투여가 신체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겠습니다.1️⃣ 생리식염수의 기본 특성 구성 성분 농도 (mEq/L) 나트륨 (Na⁺)154염화물 (Cl⁻)154삼투압약 308 mOsm/LpH약 5.0~6.5생리식염수는 혈장과 거의 동일한 삼투압을 가지지만, 나트륨과 염화물 농도가 혈장보다 약간 높고, pH가 상대적으로 낮습니다.2️⃣ 생리식염수 지속 투여 시 발생할 수 있는 영향✅ 1. 고염소혈증 및 대사성 산증 🧪생리식염수는 염화물(Cl⁻) 농도가 높은 수액으로, 지..

의학 지식 2025.02.07

플라즈마솔루션 A와 생리식염수의 차이점

플라즈마솔루션 A와 생리식염수(0.9% NaCl)는 의료 현장에서 흔히 사용되는 수액이지만, 구성 성분과 체내 작용 방식이 다릅니다. 적절한 수액 선택은 환자의 상태에 따라 달라지므로, 두 수액의 차이를 명확히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이번 글에서는 플라즈마솔루션 A와 생리식염수의 성분, 삼투압, pH, 임상 적용, 부작용 및 사용 시 주의점 등을 자세히 비교해보겠습니다.1️⃣ 기본 개요 및 성분 비교 특성 플라즈마솔루션 A 생리식염수 (0.9% NaCl) 주요 성분Na⁺: 140 mEq/L K⁺: 5 mEq/L Mg²⁺: 3 mEq/L Cl⁻: 98 mEq/L 아세테이트: 27 mEq/L 글루코네이트: 23 mEq/LNa⁺: 154 mEq/L Cl⁻: 154 mEq/LpH약 7.4 (혈장과 유사)약..

의학 지식 2025.02.07

5% 알부민과 생리식염수의 혈장량 증가 효과 비교

수액 치료는 탈수, 저혈압, 쇼크 등의 상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특히 5% 알부민과 생리식염수(0.9% NaCl)는 혈액량을 보충하는 대표적인 수액제입니다. 하지만 두 수액제는 체내에서 작용하는 방식이 다르기 때문에 적절한 상황에 맞게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5% 알부민과 생리식염수의 혈장량 증가 효과를 비교하고, 각각의 장단점을 살펴보겠습니다.1️⃣ 5% 알부민과 생리식염수의 기본 특성 특성 5% 알부민 생리식염수 (0.9% NaCl) 성분인간 혈장에서 추출한 단백질(알부민 5g/100mL)NaCl 9g/L (154mEq/L Na⁺, 154mEq/L Cl⁻)삼투압약 300 mOsm/L (등삼투액)약 308 mOsm/L (등삼투액)혈장 유지 시간약 16~24시간약 30~60분..

의학 지식 2025.0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