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라즈마솔루션 A와 생리식염수(0.9% NaCl)는 의료 현장에서 흔히 사용되는 수액이지만, 구성 성분과 체내 작용 방식이 다릅니다. 적절한 수액 선택은 환자의 상태에 따라 달라지므로, 두 수액의 차이를 명확히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플라즈마솔루션 A와 생리식염수의 성분, 삼투압, pH, 임상 적용, 부작용 및 사용 시 주의점 등을 자세히 비교해보겠습니다.
1️⃣ 기본 개요 및 성분 비교
특성 | 플라즈마솔루션 A | 생리식염수 (0.9% NaCl) |
주요 성분 | Na⁺: 140 mEq/L K⁺: 5 mEq/L Mg²⁺: 3 mEq/L Cl⁻: 98 mEq/L 아세테이트: 27 mEq/L 글루코네이트: 23 mEq/L |
Na⁺: 154 mEq/L Cl⁻: 154 mEq/L |
pH | 약 7.4 (혈장과 유사) | 약 5.0~6.5 (산성) |
삼투압 | 약 294 mOsm/L (혈장과 유사) | 약 308 mOsm/L |
전해질 균형 | Na⁺, K⁺, Mg²⁺ 등 다양한 전해질 포함 | Na⁺와 Cl⁻만 포함 |
혈장과의 유사성 | 혈장과 유사한 조성 | Na⁺와 Cl⁻ 농도가 혈장보다 높음 |
2️⃣ 삼투압 및 pH 차이
📌 삼투압
- 플라즈마솔루션 A: 294 mOsm/L (혈장과 거의 동일)
- 생리식염수: 308 mOsm/L (약간 높음)
💡 의미:
- 플라즈마솔루션 A는 혈장과 삼투압이 거의 같아 체내 수분 분포에 영향을 덜 미칩니다.
- 생리식염수는 삼투압이 약간 높지만, 등삼투성 용액으로 혈관 내에서 빠르게 확산됩니다.
📌 pH
- 플라즈마솔루션 A: pH 7.4 → 혈액과 유사하여 산-염기 균형 유지에 유리
- 생리식염수: pH 5.0~6.5 → 산성으로, 대량 투여 시 대사성 산증 유발 가능
💡 의미:
- 생리식염수는 지속적으로 투여하면 혈액 pH를 낮춰 **고염소혈증성 대사성 산증(hyperchloremic metabolic acidosis)**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플라즈마솔루션 A는 아세테이트와 글루코네이트가 포함되어 있어, 체내에서 중탄산(HCO₃⁻)으로 변환되어 산-염기 균형 유지에 도움을 줍니다.
3️⃣ 체내 작용 방식 및 혈장량 유지 효과
특성 | 플라즈마솔루션 A | 생리식염수 (0.9% NaCl) |
혈관 내 유지 시간 | 비교적 오래 유지됨 | 빠르게 조직으로 확산됨 |
혈장량 증가 효과 | 투여량의 대부분이 혈관 내 유지됨 | 1L 투여 시 약 250~300mL만 혈관 내 유지됨 |
세포외액(EFV) 증가 효과 | 세포외액 균형 유지 | 혈관 내뿐만 아니라 조직으로 이동하여 부종 유발 가능 |
💡 의미:
- 플라즈마솔루션 A는 혈장과 유사한 조성을 가지고 있어 혈관 내 볼륨을 안정적으로 유지합니다.
- 생리식염수는 혈관 내에 일시적으로 머무른 후 빠르게 조직으로 이동해 부종(edema) 유발 가능성이 높습니다.
4️⃣ 임상 적용 (사용 목적 차이)
사용 목적 | 플라즈마솔루션 A | 생리식염수 (0.9% NaCl) |
세포외액 보충 | ✅ 혈장과 유사한 전해질 조성으로 효과적 | ✅ 탈수 시 빠른 수분 공급 가능 |
산-염기 균형 유지 | ✅ 산증 예방 및 완화 효과 | ❌ 고염소혈증성 대사성 산증 위험 |
전해질 균형 유지 | ✅ Na⁺, K⁺, Mg²⁺ 등 포함 | ❌ Na⁺와 Cl⁻만 포함 |
패혈증 치료 | ✅ 패혈증 환자의 수액 치료에 효과적 | ❌ 대량 투여 시 대사성 산증 위험 |
신장 기능 보호 | ✅ 신장 혈류량 감소 위험 낮음 | ❌ 신장 혈류 감소 가능성 있음 |
일반 수액 보충 | ⭕ 가능하지만 생리식염수보다 고가 | ✅ 광범위한 사용 |
💡 요약:
- 플라즈마솔루션 A는 패혈증, 수술 후 회복, 대사성 산증 예방 및 교정이 필요한 환자에게 적합합니다.
- 생리식염수는 탈수, 저나트륨혈증, 급성 저혈량 상태에서 신속한 수액 보충이 필요할 때 주로 사용됩니다.
5️⃣ 부작용 및 주의사항
생리식염수 (0.9% NaCl) | 플라즈마솔루션 A | 생리식염수 (0.9% NaCl) |
전해질 이상 | 고칼륨혈증 가능성 있음 | 고나트륨혈증, 고염소혈증 위험 |
산-염기 불균형 | 없음 (중탄산 대사 가능) | 고염소혈증성 대사성 산증 위험 |
부종 | 낮음 | 높음 (세포외액 증가) |
신장 부담 | 낮음 | 신혈류 감소 위험 |
💡 요약:
- 플라즈마솔루션 A는 전해질 균형을 유지하는 데 유리하지만, 고칼륨혈증이 있는 환자에게는 주의가 필요합니다.
- 생리식염수는 장기간 사용 시 고염소혈증, 대사성 산증, 신장 기능 저하 등의 위험이 있습니다.
6️⃣ 결론: 어떤 수액을 선택해야 할까?
상황 | 추천 수액 |
탈수, 저혈량 쇼크 | 생리식염수 |
패혈증, 중증 감염 | 플라즈마솔루션 A |
전해질 불균형 교정 | 플라즈마솔루션 A |
대사성 산증 위험이 있는 경우 | 플라즈마솔루션 A |
일반적인 수액 보충 | 생리식염수 |
💡 요약:
- 플라즈마솔루션 A는 혈장과 유사한 조성으로 혈역학적 안정성 유지 및 산-염기 균형 조절에 적합합니다.
- 생리식염수는 빠른 수분 공급이 필요할 때 효과적이지만, 장기간 사용하면 부작용 위험이 커질 수 있습니다.
👉 환자의 상태에 따라 적절한 수액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의학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슐린 투여 경로: 피하(Subcutaneous) vs 정맥(IV) 차이점 (0) | 2025.02.07 |
---|---|
생리식염수 지속 투여의 영향 (0) | 2025.02.07 |
5% 알부민과 생리식염수의 혈장량 증가 효과 비교 (0) | 2025.02.07 |
머리가 지끈지끈, 편두통일까? 편두통과 다른 두통 구분법 (1) | 2025.02.06 |
편두통 치료 약물 정리 (0) | 2025.0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