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리식염수(0.9% NaCl)는 병원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수액 중 하나입니다. 탈수, 쇼크, 전해질 불균형 교정 등의 목적으로 사용되지만, 장기간 지속적으로 투여할 경우 여러 가지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생리식염수의 지속적 투여가 신체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겠습니다.
1️⃣ 생리식염수의 기본 특성
구성 성분 | 농도 (mEq/L) |
나트륨 (Na⁺) | 154 |
염화물 (Cl⁻) | 154 |
삼투압 | 약 308 mOsm/L |
pH | 약 5.0~6.5 |
생리식염수는 혈장과 거의 동일한 삼투압을 가지지만, 나트륨과 염화물 농도가 혈장보다 약간 높고, pH가 상대적으로 낮습니다.
2️⃣ 생리식염수 지속 투여 시 발생할 수 있는 영향
✅ 1. 고염소혈증 및 대사성 산증 🧪
생리식염수는 염화물(Cl⁻) 농도가 높은 수액으로, 지속적인 투여 시 **고염소혈증(hyperchloremia)**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고염소혈증은 신장에서 **중탄산(HCO₃⁻) 배출을 증가시켜 대사성 산증(metabolic acidosis)**을 유발합니다.
🔹 증상
- 피로감, 권태감
- 호흡 증가 (보상성 호흡성 알칼리증)
- 혈압 저하
🔹 예방 및 해결 방법
- 장기간 투여가 필요한 경우 링거락테이트(Ringer’s lactate) 또는 플라즈마솔루션을 고려합니다.
- 혈액 가스를 모니터링하여 대사성 산증 여부를 확인합니다.
✅ 2. 부종 및 체액 과부하 💧
생리식염수는 **세포외액(EFV, Extracellular Fluid Volume)**을 증가시키므로 과량 투여할 경우 **부종(edema)과 체액 과부하(fluid overload)**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 증상
- 손, 발 또는 얼굴이 붓는 느낌
- 폐부종으로 인한 호흡 곤란
- 고혈압 및 심장 부담 증가
🔹 예방 및 해결 방법
- 투여량을 신중하게 조절하고 체액 균형을 모니터링합니다.
- 신부전 환자의 경우 이뇨제를 병용 투여할 수 있습니다.
✅ 3. 고나트륨혈증 (Hypernatremia) 🧂
생리식염수 지속 투여 시 혈청 나트륨 농도가 증가하여 고나트륨혈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증상
- 극심한 갈증
- 신경계 증상 (초조함, 경련, 혼돈)
- 심한 경우 의식 저하
🔹 예방 및 해결 방법
- 혈중 Na⁺ 농도를 정기적으로 모니터링합니다.
- **저나트륨 수액(하프 노멀 살라인, D5W 등)**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 4. 신장 기능 변화 🚰
생리식염수의 염화물 농도가 높기 때문에 신장 사구체 여과율(GFR)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연구에 따르면, 고염소혈증은 신장 혈관을 수축시키고 신장 혈류량(RBF, Renal Blood Flow)을 감소시켜 신장 기능을 악화시킬 가능성이 있습니다.
🔹 증상
- 크레아티닌(Cr) 증가
- 소변량 감소 (심한 경우 급성 신손상 가능)
🔹 예방 및 해결 방법
- 신부전 환자의 경우 생리식염수 단독 투여보다는 복합 수액 사용을 고려합니다.
- 요소질소(BUN), 크레아티닌(Cr) 수치를 정기적으로 확인합니다.
3️⃣ 생리식염수와 다른 수액 비교
수액 종류 | 나트륨 (Na⁺) | 염화물 (Cl⁻) | 특징 |
생리식염수 (0.9% NaCl) | 154 | 154 | 고염소혈증 위험 있음 |
링거락테이트 (Lactated Ringer's) | 130 | 109 | 대사성 산증 예방 가능 |
하프 노멀 살라인 (0.45% NaCl) | 77 | 77 | 저나트륨혈증 예방 |
플라즈마솔루션 A | 140 | 98 | 혈장과 유사한 전해질 조성 |
4️⃣ 결론
생리식염수는 단기간 사용 시 안전하지만, 장기간 지속 투여하면 여러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생리식염수 지속 투여 시 고려해야 할 점
✔ 고염소혈증과 대사성 산증을 예방하기 위해 혈액 검사(Blood gas, Electrolytes)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
✔ 부종이나 체액 과부하를 방지하기 위해 투여 속도 조절이 중요합니다.
✔ 신장 기능이 저하된 환자의 경우, 다른 균형 수액(예: 링거락테이트, 플라즈마솔루션 A)을 고려해야 합니다.
장기간 수액 치료가 필요한 환자라면 목적과 환자의 상태에 맞는 수액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의학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HHS(고삼투압성 고혈당 상태)에서 Fluid Deficit의 양과 치료 전략 (0) | 2025.02.07 |
---|---|
인슐린 투여 경로: 피하(Subcutaneous) vs 정맥(IV) 차이점 (0) | 2025.02.07 |
플라즈마솔루션 A와 생리식염수의 차이점 (0) | 2025.02.07 |
5% 알부민과 생리식염수의 혈장량 증가 효과 비교 (0) | 2025.02.07 |
머리가 지끈지끈, 편두통일까? 편두통과 다른 두통 구분법 (1) | 2025.0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