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중환자실 20

중환자실 환자의 부종, 어떻게 줄일 수 있을까?

생명을 위협하는 부종, 효과적인 관리 전략 총정리 중환자실(ICU)에 입원한 환자들에게서 흔히 관찰되는 증상 중 하나가 심한 부종(Edema)입니다.수술 후, 패혈증, 심부전, 신부전, 간부전 등 다양한 원인으로 체액 불균형이 발생하면서피부, 폐, 복부, 심지어 뇌까지 부종이 생길 수 있어 회복과 생존율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그렇다면 중환자의 부종을 줄이기 위한 최선의 전략은 무엇일까요?이번 글에서는 중환자실 환자의 부종 관리에 대한 최신 지침과 치료 방법을 정리해드립니다. 🏥부종의 원인부터 정확히 파악하자 🔍중환자의 부종은 단순한 체액 저류를 넘어서 다기관 기능 저하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습니다.다양한 원인별로 접근이 달라져야 하며, 아래와 같은 기전을 중심으로 진단과 치료가 이뤄집니다.원인설명..

중환자의학 2025.03.28

중환자실에서의 신장 보호 전략

중환자실(ICU)은 중증 환자들이 집중적인 치료를 받는 공간으로, 신장 보호는 환자의 생존율과 회복에 중요한 영향을 미칩니다. 급성 신손상(AKI)은 중환자실에서 흔히 발생하며, 이는 입원 기간 증가, 투석 필요성, 사망률 상승과 연관됩니다. 따라서 신장 보호를 위한 체계적인 전략이 필수적입니다. 🏥신장 손상의 주요 원인중환자실에서 신장 손상을 유발하는 주요 요인은 다음과 같습니다:혈역학적 불안정성: 저혈압이나 쇼크로 인해 신장 혈류 감소신독성 약물 사용: 특정 항생제(아미노글리코사이드), 조영제 등패혈증: 전신 염증 반응으로 인한 신장 관류 저하수액 과부하: 과도한 수액 투여로 인한 부종과 신장 부담이러한 요인을 예방하고 신장 기능을 보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중환자실에서의 신장 보호 전략1. 적절한 ..

중환자의학 2025.03.23

쇼크 환자에서 노르에피네프린과 소변량의 관계

쇼크 상태의 환자는 저혈압으로 인해 신장 혈류가 감소하면서 소변량이 줄어들 수 있습니다. 이때 노르에피네프린(Norepinephrine)과 같은 혈관작용제(바소프레서, Vasopressor)를 사용하여 혈압을 안정시키지만, 소변량에 미치는 영향은 복합적입니다. 그렇다면 노르에피네프린이 소변량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요? 🏥1. 노르에피네프린의 작용 기전 🔍노르에피네프린은 알파(α) 및 베타(β) 아드레날린 수용체에 작용하는 혈관수축제로, 혈압을 올려 장기 관류를 개선하는 역할을 합니다.✅ 주요 효과알파-1 수용체 활성화 → 전신 혈관 수축 → 혈압 상승베타-1 수용체 활성화 → 심박출량(CO) 증가 → 신장 혈류 개선신장 관류 개선 → 일정한 용량에서는 신장 혈류 증가 가능📌 노르에피네프린은 저혈압 상..

중환자의학 2025.03.20

중환자실에서 Shivering(오한) 조절 방법

Shivering(오한)은 중환자실(ICU)에서 저체온, 마취 회복, 패혈증, 약물 금단 등의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으며, 체온 조절과 대사율 증가와 관련이 있습니다. 그러나 과도한 Shivering은 산소 소비량 및 에너지 요구량을 증가시켜, 특히 심혈관 및 중증 환자에서 위험할 수 있습니다.이번 글에서는 중환자실에서의 Shivering을 효과적으로 조절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Shivering이 발생하는 주요 원인💡 Shivering은 일반적으로 체온이 저하될 때 발생하지만, 비(非)저체온성 원인도 존재합니다.저체온(Hypothermia, ≤35°C)치료적 저체온(TTM), 수술 후 체온 저하마취 회복(Anesthesia Emergence)프로포폴, 세보플루란 등 마취제 중단 후 발생패혈증(S..

중환자의학 2025.03.18

Seizure vs. Shivering, 어떻게 구분할까?

중환자실(ICU)이나 응급 상황에서 환자가 불수의적 근육 운동(Involuntary movements)을 보이면, 이는 발작(Seizure)인지 오한(Shivering)인지 구별해야 합니다. 두 증상은 비슷해 보일 수 있지만, 원인과 치료법이 완전히 다르므로 빠르고 정확한 감별이 중요합니다.✅ Seizure(발작) vs. Shivering(오한) 비교 구분 Seizure (발작) Shivering (오한) 원인뇌의 비정상적 전기적 활성 증가체온 조절 과정에서 근육 떨림발생 기전뉴런의 과흥분으로 인해 전신 또는 국소적 경련 발생체온이 저하되거나 마취, 패혈증 등으로 인해 발생운동 형태리드미컬하고 강한 수축-이완 반복, 대개 대칭적잔떨림(tremor)처럼 보이며 불규칙적의식 상태일반적으로 의식 저하 or..

중환자의학 2025.03.18

1-Hour Bundle에서 사용하는 광범위 항생제 종류와 특성

패혈증 환자의 초기 치료에서 광범위 항생제는 감염을 조기에 억제하고 환자의 생존율을 높이는 핵심 요소입니다. 1-Hour Bundle에서는 감염 원인균이 명확하지 않은 초기 단계에서 광범위 항생제를 신속히 투여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1-Hour Bundle에서 주로 사용되는 광범위 항생제의 종류와 특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광범위 항생제란?광범위 항생제(Broad-spectrum antibiotics)는 다양한 종류의 세균(그람 양성균과 음성균)을 동시에 억제할 수 있는 항생제를 의미합니다. 초기 감염 원인균이 불확실한 상황에서 사용되며, 혈액 배양 결과에 따라 감염 원인균이 확인되면 보다 좁은 범위의 항생제로 교체됩니다(De-escalation therapy).1-Hour Bundl..

중환자의학 2025.03.03

중환자 치료에서 1-Hour Bundle: 패혈증 관리의 핵심 지침

패혈증은 중환자실에서 가장 치명적인 응급상황 중 하나로, 조기 발견과 신속한 치료가 환자의 생존율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를 위해 1-Hour Bundle은 패혈증 관리의 표준 지침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1-Hour Bundle의 의미, 구성 요소, 중요성과 적용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Hour Bundle이란?1-Hour Bundle은 패혈증 또는 패혈성 쇼크 환자에게 진단 후 1시간 이내에 시행해야 할 치료 지침입니다. 국제 패혈증 캠페인(Surviving Sepsis Campaign, SSC)에서 권장하는 이 지침은 신속한 처치와 치료의 일관성을 통해 사망률을 감소시키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1-Hour Bundle의 구성 요소1-Hour Bundle은 다음..

중환자의학 2025.03.03

중환자실에서 ABCDEF 번들: 필수적인 관리 지침

중환자실(ICU)에 입원한 환자들은 생명 유지 및 회복을 위해 여러 가지 복합적인 치료를 받게 됩니다. 이러한 치료 과정에서 환자의 기능 회복을 최적화하고, 합병증을 줄이며, 중환자실 후 증후군(ICU-acquired weakness, PICS)을 예방하기 위해 ‘ABCDEF 번들’이 중요한 관리 지침으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ABCDEF 번들은 환자의 회복과 치료 결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다각적 접근법을 제공하는 가이드라인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ABCDEF 번들의 각 요소와 그 중요성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ABCDEF 번들이란?ABCDEF 번들은 중환자실에서의 환자 치료를 체계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프로토콜입니다. 이는 다음과 같은 요소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구성 요소 내용 A - Assess..

중환자의학 2025.03.03

모르핀(Morphine), 하이드로모르폰(Hydromorphone), 펜타닐(Fentanyl) 비교: 적응증 및 금기

모르핀, 하이드로모르폰, 펜타닐은 강력한 아편유사제(Opioid analgesics)로, 중증 통증 관리에 사용됩니다. 하지만 약리학적 특성, 적응증, 금기사항에서 차이가 있어 적절한 환자에게 선택적으로 사용해야 합니다.🔍 1. 기본 비교 항목 모르핀 (Morphine) 하이드로모르폰 (Hydromorphone) 펜타닐 (Fentanyl) 효능 강도 (모르핀 대비)1배5~7배50~100배작용 시간4~6시간 (경구), 2~4시간 (IV)4~5시간 (경구), 2~4시간 (IV)30~60분 (IV), 72시간 (패치)반감기2~4시간2~3시간3~4시간지용성낮음 (수용성)중간높음투여 경로경구, IV, IM, SC, PR경구, IV, IM, SCIV, 패치(경피), 구강 설하신장 배설 영향대사산물(M3G) 축..

의학 지식 2025.02.26

중환자실에서의 항생제 사용 전략: Escalation과 De-escalation

중환자실(ICU)에서는 패혈증, 폐렴, 요로 감염 등 다양한 감염 질환을 신속하게 치료해야 합니다. 항생제 치료는 생명을 구하는 핵심 요소지만, 무분별한 사용은 내성균 발생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이를 방지하고 최적의 치료 효과를 얻기 위해 항생제 Escalation(증량)과 De-escalation(감량) 전략이 사용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중환자실에서 항생제 사용 원칙과 Escalation 및 De-escalation의 개념, 적용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Escalation과 De-escalation이란? 전략 개념 주요 목적 Escalation (에스컬레이션)초기 광범위 항생제를 사용하여 감염을 신속히 조절패혈증 등 중증 감염에서 빠른 치료로 생존율 향상De-escalation (디에스컬레이션..

중환자의학 2025.02.2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