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중환자실 22

모르핀(Morphine), 하이드로모르폰(Hydromorphone), 펜타닐(Fentanyl) 비교: 적응증 및 금기

모르핀, 하이드로모르폰, 펜타닐은 강력한 아편유사제(Opioid analgesics)로, 중증 통증 관리에 사용됩니다. 하지만 약리학적 특성, 적응증, 금기사항에서 차이가 있어 적절한 환자에게 선택적으로 사용해야 합니다.🔍 1. 기본 비교 항목 모르핀 (Morphine) 하이드로모르폰 (Hydromorphone) 펜타닐 (Fentanyl) 효능 강도 (모르핀 대비)1배5~7배50~100배작용 시간4~6시간 (경구), 2~4시간 (IV)4~5시간 (경구), 2~4시간 (IV)30~60분 (IV), 72시간 (패치)반감기2~4시간2~3시간3~4시간지용성낮음 (수용성)중간높음투여 경로경구, IV, IM, SC, PR경구, IV, IM, SCIV, 패치(경피), 구강 설하신장 배설 영향대사산물(M3G) 축..

의학 지식 2025.02.26

중환자실에서의 항생제 사용 전략: Escalation과 De-escalation

중환자실(ICU)에서는 패혈증, 폐렴, 요로 감염 등 다양한 감염 질환을 신속하게 치료해야 합니다. 항생제 치료는 생명을 구하는 핵심 요소지만, 무분별한 사용은 내성균 발생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이를 방지하고 최적의 치료 효과를 얻기 위해 항생제 Escalation(증량)과 De-escalation(감량) 전략이 사용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중환자실에서 항생제 사용 원칙과 Escalation 및 De-escalation의 개념, 적용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Escalation과 De-escalation이란? 전략 개념 주요 목적 Escalation (에스컬레이션)초기 광범위 항생제를 사용하여 감염을 신속히 조절패혈증 등 중증 감염에서 빠른 치료로 생존율 향상De-escalation (디에스컬레이션..

중환자의학 2025.02.23

생리식염수 대신 플라즈마솔루션 A 수용액을 사용하는 이유

환자의 체액 및 전해질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생리식염수(0.9% NaCl) 대신 플라즈마솔루션 A(Plasma Solution A) 수용액이 사용되는 이유를 살펴보겠습니다.1. 생리식염수(0.9% NaCl)의 한계점✅ 고염소혈증 유발 가능성생리식염수는 나트륨(Na⁺) 154 mmol/L, 염소(Cl⁻) 154 mmol/L로, 혈장(Cl⁻ 98~106 mmol/L)보다 염소 농도가 높습니다.이로 인해 고염소혈증성 대사성 산증(hyperchloremic metabolic acidosis) 발생 위험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산-염기 균형 문제생리식염수의 pH는 약 5.0~6.0으로 산성입니다.체내 산-염기 균형을 유지하는 데 부적절할 수 있으며, 특히 패혈증이나 신부전 환자에서는 대사성 산증을 악화시킬 수 ..

의학 지식 2025.02.22

수술 또는 시술 전 아스피린(Aspirin) 중단 여부: 언제 끊고, 언제 유지해야 할까?

아스피린(Aspirin)은 항혈소판제(Antiplatelet)로, 심혈관 질환 및 혈전 예방 목적으로 널리 사용됩니다. 그러나 수술 또는 시술을 앞둔 환자의 경우, 출혈 위험과 혈전 위험 사이에서 균형을 맞추는 것이 중요합니다.👉 수술 전 아스피린을 중단해야 할까?✔ 출혈 위험이 높은 경우: 중단 필요✔ 혈전 위험이 높은 경우: 유지 필요아래에서 수술 유형별 아스피린 중단 기준과 혈전 위험군 판단법을 정리하겠습니다.1. 아스피린을 중단해야 하는 경우 (출혈 위험이 높은 경우) 🚫출혈이 심각할 가능성이 높은 수술에서는 아스피린을 일시적으로 중단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출혈 위험이 높은 수술 유형 수술/시술 중단 권장 여부 중단 시점 뇌·척추 수술 (Neurosurgery, Spine Surgery)..

의학 지식 2025.02.20

항생제 사용 중 감염이 악화되는 지표들

항생제 사용 중 감염이 악화되는 지표들항생제 치료 중에도 감염이 악화될 수 있으며, 이는 항생제 선택이 부적절하거나, 감염이 중증으로 진행되거나, 내성이 발생했을 가능성을 의미합니다.중환자실(ICU) 및 일반 병동에서 감염 악화 여부를 평가하는 주요 지표를 임상적 변화, 혈액 검사, 영상 검사, 미생물학적 검사로 나누어 정리합니다.1. 임상적 변화 (Clinical Deterioration) 🏥항생제 사용 중에도 감염이 악화되면 환자의 활력징후 및 전신 상태가 악화됩니다. 지표 감염 악화 시 변화 설명 체온 (Temperature)🔼 지속적 발열 (>38.3℃) 🔽 저체온 (감염이 조절되지 않거나, 패혈증 진행혈압 (Blood Pressure, BP)🔽 저혈압 (SBP 패혈성 쇼크 진행 가능심..

중환자의학 2025.02.20

중환자실(ICU)에서 환자의 탈수 평가 지표

중환자실(ICU)에서는 체액 상태(fluid status)를 정확히 평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탈수(Dehydration) 또는 순환 혈액량 감소(Hypovolemia)가 있을 경우, 적절한 수액 치료를 위해 정적(Static) 지표와 동적(Dynamic) 지표를 함께 분석해야 합니다. 1. 탈수 평가 지표의 유형 🏥🔹 정적 지표 (Static Indicators): 한 시점에서 측정되는 값으로, 혈액 검사 및 활력징후를 기반으로 탈수를 평가합니다.🔹 동적 지표 (Dynamic Indicators): 체액 반응성을 평가하는 지표로, 환자의 호흡 및 혈압 변화에 따른 체액 반응(fluid responsiveness)을 예측하는 데 유용합니다.2. 정적 지표 (Static Indicators) ?..

중환자의학 2025.02.20

혈압이 낮은 환자를 위한 진정제 선택

중환자실(ICU)에서는 진정제(sedatives)가 환자의 불안, 통증, 불편감을 줄이고 기계 환기(ventilation) 및 시술을 원활하게 돕기 위해 사용됩니다. 그러나 혈압이 낮은(hypotensive) 환자에서는 일부 진정제가 심혈관 억제 작용을 일으켜 저혈압을 악화시킬 수 있으므로, 신중한 선택이 필요합니다.1. 혈압이 낮은 환자에게 적절한 진정제 선택 💉저혈압 환자에서 사용하기 좋은 진정제는 심혈관 억제 효과가 적거나, 혈압 유지 효과가 있는 약물이어야 합니다.✅ 저혈압 환자에게 추천되는 진정제 약물 특징 주의할 점 Ketamine- 교감신경 자극 → 혈압 상승 가능 - 호흡억제 적음 - 진통 효과 우수- 심근허혈 환자에서는 금기 - 정신병적 부작용 가능 (해리성 작용)Dexmedetom..

중환자의학 2025.02.20

중심정맥관 감염: 의심해야 할 경우와 치료법

중심정맥관 감염(Central Line-Associated Bloodstream Infection, CLABSI)은 병원 내 감염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패혈증과 사망 위험을 높일 수 있는 심각한 질환입니다.특히 중환자실(ICU), 면역저하 환자, 장기 입원 환자에서 발생 위험이 높으며, 빠른 진단과 적절한 치료가 필수적입니다. 이번 가이드에서는 중심정맥관 감염을 의심해야 할 경우, 진단 방법, 치료법 및 예방 전략을 상세히 설명하겠습니다.1. 중심정맥관 감염이란? 🦠📌 중심정맥관(Central Venous Catheter, CVC)이란?✅ 정맥 주사를 장기간 유지해야 하는 환자에게 삽입하는 굵은 정맥관✅ ICU, 항암 치료, 투석, 장기 영양 공급(TPN) 등에 사용📌 중심정맥관 감염(CLABS..

중환자의학 2025.02.14

HHS(고삼투압성 고혈당 상태)에서 Fluid Deficit의 양과 치료 전략

고삼투압성 고혈당 상태(Hyperosmolar Hyperglycemic State, HHS)는 극심한 고혈당(>600 mg/dL)과 심한 탈수를 특징으로 하는 당뇨병의 응급 합병증입니다.HHS는 주로 제2형 당뇨병 환자에서 발생하며, 인슐린 결핍과 수분 부족으로 인해 혈장 삼투압이 증가하여 의식 저하, 신부전, 쇼크 등의 위험이 있습니다. 따라서 초기 치료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수액 공급을 통한 체액 부족(fluid deficit) 보충입니다.이번 글에서는 HHS에서 Fluid Deficit의 양, 수액 치료 전략 및 Q&A를 자세히 정리하겠습니다.1️⃣ HHS에서 Fluid Deficit(체액 부족)의 양HHS 환자는 극심한 삼투성 이뇨(osmotic diuresis)로 인해 대량의 수분을 상실합니다...

의학 지식 2025.02.07

중환자실(ICU) 환자의 부종과 알부민의 관계

중환자실(ICU) 환자에서 부종(edema)은 흔한 문제이며, 이는 알부민(albumin)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알부민은 혈장 단백질의 주요 구성 요소로, 혈장 삼투압 유지와 체액 균형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부종과 알부민의 관계, 저알부민혈증의 영향, 알부민 보충의 효과와 한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1️⃣ 부종이란?부종(edema)은 조직에 과도한 체액이 축적되는 현상을 의미합니다.중환자실 환자에서 부종은 다음과 같은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수액 과부하(fluid overload): 대량의 정맥 수액 공급으로 인해 체액이 혈관 밖으로 이동저알부민혈증(hypoalbuminemia): 삼투압이 저하되어 체액이 혈관에서 조직으로 이동염증 반응: 패혈증, 감염 등에 의해 혈관 ..

중환자의학 2025.02.0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