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환자의학

중환자실(ICU)에서 환자의 탈수 평가 지표

비비닥 2025. 2. 20. 11:18

중환자실(ICU)에서는 체액 상태(fluid status)를 정확히 평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탈수(Dehydration) 또는 순환 혈액량 감소(Hypovolemia)가 있을 경우, 적절한 수액 치료를 위해 정적(Static) 지표와 동적(Dynamic) 지표를 함께 분석해야 합니다.

중환자실(ICU)에서 환자의 탈수 평가 지표


 

1. 탈수 평가 지표의 유형 🏥

🔹 정적 지표 (Static Indicators): 한 시점에서 측정되는 값으로, 혈액 검사 및 활력징후를 기반으로 탈수를 평가합니다.
🔹 동적 지표 (Dynamic Indicators): 체액 반응성을 평가하는 지표로, 환자의 호흡 및 혈압 변화에 따른 체액 반응(fluid responsiveness)을 예측하는 데 유용합니다.


2. 정적 지표 (Static Indicators) 🔍

 1) 활력징후(Vital Signs) 및 신체검사

지표 탈수 시 변화 설명
혈압 (BP, Blood Pressure) 🔽 감소 순환 혈액량 감소로 저혈압 발생
심박수 (HR, Heart Rate) 🔼 증가 (빈맥) 저혈압 보상 기전으로 HR 증가
호흡수 (RR, Respiratory Rate) 🔼 증가 대사성 산증 보상 (심한 탈수 시)
중심정맥압 (CVP, Central Venous Pressure) 🔽 감소 (<5 mmHg) 정맥 귀환 감소
말초 관류 (Capillary Refill Time, CRT) ⏳ 지연됨 (>2~3초) 말초 혈류 감소
피부 긴장도(Skin Turgor) 피부 탄력 감소 조직 수분 부족

 2) 혈액 검사 (Laboratory Markers) 🧪

검사 탈수 시 변화 설명
헤마토크리트 (Hct) 🔼 증가 혈장량 감소로 농축
혈청 알부민 (Albumin) 🔼 증가 혈액 농축
혈장 삼투압 (Plasma Osmolality) 🔼 증가 (>295 mOsm/kg) 수분 손실로 인한 혈액 농축
혈중 요소질소 (BUN, Blood Urea Nitrogen) 🔼 증가 신장 혈류 감소로 BUN 증가
크레아티닌 (Creatinine, Cr) 🔼 증가 신장 관류 저하
BUN/Cr 비율 🔼 증가 (>20:1) 탈수로 인한 신장 관류 감소
나트륨 (Na⁺) 🔼 증가 (>145 mEq/L) 고삼투성 탈수 시

 3) 소변 검사 (Urine Markers) 🚰

검사  탈수 시 변화  설명
소변량 (Urine Output, UO) 🔽 감소 (<0.5 mL/kg/hr) 신장 저관류로 인해 소변 감소
소변 비중 (Urine Specific Gravity, USG) 🔼 증가 (>1.020) 신장이 수분을 보존하려고 농축
소변 삼투압 (Urine Osmolality) 🔼 증가 (>500 mOsm/kg) ADH 작용 증가

3. 동적 지표 (Dynamic Indicators) ⚡

정적 지표는 탈수 여부를 평가하는 데 도움이 되지만, 환자의 체액 반응성(fluid responsiveness)을 예측하는 데 한계가 있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동적 지표를 활용합니다.

 1) 기계환기 환자에서 사용하는 동적 지표

지표 탈수 시 변화 설명
맥박압 변동 (Pulse Pressure Variation, PPV) 🔼 증가 (>13%) 체액량 부족 시 호흡에 따라 혈압 변동 증가
수축기 혈압 변동 (Systolic Pressure Variation, SPV) 🔼 증가 (>10 mmHg) 탈수 시 수축기 혈압 변동 증가
맥박수 변동 (Stroke Volume Variation, SVV) 🔼 증가 (>12%) 심박출량 변동이 클수록 탈수 가능성 ↑

💡 PPV, SPV, SVV는 기계환기(Controlled Ventilation)를 적용받는 환자에서만 유용
💡 자발호흡(Spontaneous Breathing)을 하는 환자에서는 적용할 수 없음


 2) 수액 반응성 평가 (Fluid Challenge Test)

🔹 Passive Leg Raising (PLR) Test

  • 다리를 45° 들어올린 후 1~2분 이내에 심박출량(CO)이 10~15% 이상 증가하면 탈수 상태로 판단 → 수액 반응성이 좋음
  • 신속하고 비침습적인 방법이지만, 복부 내압이 높은 환자에서는 정확도가 떨어질 수 있음

🔹 볼러스 수액 주입 테스트 (Fluid Challenge)

  • 250~500mL의 등장성 수액(NS, RL)을 10~15분 내에 주입
  • 심박출량(CO) 또는 혈압이 의미 있게 상승하면 탈수 상태로 판단

 3) 침습적 혈역학 모니터링 지표

지표 탈수 시 변화 설명
중심정맥압 (CVP) 🔽 감소 (<5 mmHg) 정맥 귀환 감소
폐동맥 쐐기압 (PCWP) 🔽 감소 좌심방 충만압 감소
심박출량 (CO) & 심장 지수 (CI) 🔽 감소 체액량 부족으로 심박출량 감소
이두근 산소포화도 (ScvO₂, Central Venous Oxygen Saturation) 🔽 감소 (<70%) 조직 산소 공급 저하

4. 탈수 평가를 위한 주요 지표 요약

지표 유형 주요 지표 탈수 시 변화
정적 지표 혈압 (BP) 🔽 감소
  심박수 (HR) 🔼 증가
  헤마토크리트 (Hct) 🔼 증가
  BUN/Cr 비율 🔼 증가 (>20:1)
  소변량 (UO) 🔽 감소 (<0.5 mL/kg/hr)
동적 지표 맥박압 변동 (PPV) 🔼 증가 (>13%)
  수축기 혈압 변동 (SPV) 🔼 증가 (>10 mmHg)
  수액 반응 (PLR Test) CO 증가 (>10%)

5. Q&A 💡

Q1. PPV, SPV, SVV는 모든 환자에서 사용할 수 있나요?
👉 아니요! 기계 환기(Controlled Ventilation) 환자에서만 유효하며, 자발호흡 환자에서는 부정확할 수 있습니다.

Q2. 탈수를 평가할 때 가장 중요한 검사는?
👉 BUN/Cr 비율, 혈압, 소변량, PPV/SVV(기계환기 환자에서)를 종합적으로 평가해야 합니다.

Q3. PLR Test는 언제 유용한가요?
👉 중증 환자에서 체액 반응성을 평가하는 비침습적 방법으로 매우 유용합니다.


📌 추천 태그

탈수, 중환자실, 체액불균형, PPV, SVV, 혈압, BUN/Cr, 소변량, 수액반응, 신부전

📢 추가 추천 제목

  1. "ICU 환자의 탈수 평가: 정적·동적 지표 완벽 정리!"
  2. "PPV, SVV, PLR Test로 보는 중환자실 수액 반응성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