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환자의학

혈압이 낮은 환자를 위한 진정제 선택

비비닥 2025. 2. 20. 09:15

중환자실(ICU)에서는 진정제(sedatives)가 환자의 불안, 통증, 불편감을 줄이고 기계 환기(ventilation) 및 시술을 원활하게 돕기 위해 사용됩니다. 그러나 혈압이 낮은(hypotensive) 환자에서는 일부 진정제가 심혈관 억제 작용을 일으켜 저혈압을 악화시킬 수 있으므로, 신중한 선택이 필요합니다.

혈압이 낮은 환자를 위한 진정제 선택


1. 혈압이 낮은 환자에게 적절한 진정제 선택 💉

저혈압 환자에서 사용하기 좋은 진정제는 심혈관 억제 효과가 적거나, 혈압 유지 효과가 있는 약물이어야 합니다.

저혈압 환자에게 추천되는 진정제

약물 특징 주의할 점
Ketamine - 교감신경 자극 → 혈압 상승 가능 - 호흡억제 적음 - 진통 효과 우수 - 심근허혈 환자에서는 금기 - 정신병적 부작용 가능 (해리성 작용)
Dexmedetomidine (Precedex) - 혈압에 미치는 영향이 적음 - 진통 효과 동반 - 호흡 억제 없음 - 느린 효과 발현 (Loading dose 필요 시 혈압 강하 가능)
Etomidate - 혈압을 거의 떨어뜨리지 않음 - 부신 억제 효과 주의 - 장기 사용 금기 (부신 억제)
Midazolam (소량) - 적은 용량에서는 비교적 혈압 영향 적음 - 고용량 사용 시 저혈압 유발 가능

저혈압 환자에서 피해야 할 진정제

약물 주의할 점
Propofol 강력한 혈관확장 작용 → 저혈압 심화
Benzodiazepines (Diazepam, Lorazepam) 심혈관 억제 작용 → 저혈압 위험
Barbiturates (Thiopental, Phenobarbital) 심박출량 감소 → 저혈압 유발 가능

2. 중환자실(ICU)에서 사용되는 주요 진정제 & 적응증

중환자실에서는 환자의 상태에 따라 진정제 선택이 달라지며, 목적에 따라 적절한 약물을 사용해야 합니다.

📌 주요 진정제 & 적응증 정리

약물 적응증 특징 주의사항
Propofol - 기계 환기 환자 (Mechanical Ventilation) - 지속적 진정 (Continuous Sedation) - 신경학적 모니터링 필요 시 - 빠른 작용 & 짧은 반감기 - 신속한 깨우기 가능 - 저혈압 위험 - 고용량 사용 시 Propofol Infusion Syndrome (PRIS)
Dexmedetomidine - 기계 환기 환자 - 중등도 진정 필요 (불안 조절) - 호흡 억제가 필요 없는 경우 - 진통 및 진정 효과 (α2 작용) - 호흡 억제 거의 없음 - 느린 작용 발현 - 고용량 시 서맥, 저혈압 가능
Midazolam - 기계 환기 환자 - 항경련제 (Status Epilepticus) - 불안 조절 - 빠른 진정 효과 (벤조디아제핀) - 혈압 저하 가능 - 프로포폴보다 긴 반감기
Lorazepam - 지속적 진정 - 알코올 금단 증후군 - 장기 사용 시 적절 - 저혈압 유발 가능
Ketamine - 저혈압 환자에서 진정 필요 시 - 신속한 진정 필요 (RSI, Rapid Sequence Intubation) - 진통 효과 필요할 때 - 혈압을 유지 또는 상승 - 진통 효과 강함 - 해리성 부작용 가능 - 정신병적 증상 주의
Etomidate - RSI (급성 기도 확보) - 저혈압 환자에서 마취 필요 시 - 혈압 유지에 안전 - 부신 억제 가능 → 장기 사용 금기

3. 상황별 진정제 선택 가이드 🏥

1) 저혈압 환자 (혈압이 낮은 환자)

  • 1차 선택: Ketamine, Dexmedetomidine, Etomidate
  • 피해야 할 약물: Propofol, Benzodiazepines

2) 기계 환기 중인 환자 (Ventilated Patients)

  • 선택 약물: Propofol, Dexmedetomidine, Midazolam
  • 장기 사용 시: Lorazepam 고려

3) 신경학적 모니터링이 필요한 환자 (Neurological Monitoring)

  • 선택 약물: Propofol (깨우기 용이), Dexmedetomidine
  • Benzodiazepines은 가급적 피함 (장기 진정 시 신경 평가 어려움)

4) 알코올 금단 증후군 (Alcohol Withdrawal Syndrome)

  • 선택 약물: Benzodiazepines (Lorazepam, Diazepam, Midazolam)

5) 중증 통증이 동반된 환자 (Pain + Sedation 필요 시)

  • 선택 약물: Ketamine, Dexmedetomidine (진통 + 진정 효과)

6) 급성 기도 확보(Rapid Sequence Intubation, RSI)

  • 선택 약물: Etomidate (혈압 유지), Ketamine (혈압 상승 가능)

4. Q&A 💡

Q1. 저혈압 환자에서 Propofol을 써도 될까요?
👉 Propofol은 강한 혈관확장 작용으로 저혈압을 심화시킬 수 있으므로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Q2. Dexmedetomidine을 저혈압 환자에게 사용해도 될까요?
👉 서맥과 혈압 강하 가능성이 있지만, Propofol보다 안정적이며 혈압이 너무 낮을 경우 로딩 도즈 없이 시작하는 것이 좋습니다.

Q3. 기계 환기 중인 환자에서 Propofol vs. Dexmedetomidine 중 어떤 것이 좋을까요?
👉 짧은 기간(수 시간~1일): Propofol
👉 장기간(수일 이상): Dexmedetomidine (호흡억제 ↓, 금단 증상 ↓)

Q4. 급성 저혈압 환자에서 가장 안전한 진정제는?
👉 Etomidate (혈압 유지) 또는 Ketamine (혈압 상승 가능)

Q5. 중환자실에서 진정제를 너무 오래 쓰면 어떤 부작용이 있나요?
👉 벤조디아제핀(BZD): 금단 증상, 섬망 증가
👉 Propofol: PRIS(Propofol Infusion Syndrome) 위험
👉 Dexmedetomidine: 서맥, 저혈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