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환자의학

심방세동 with Rapid Ventricular Response (AF with RVR) 치료 약물 정리

비비닥 2025. 2. 20. 03:12

심방세동(Atrial Fibrillation, AF) with Rapid Ventricular Response (RVR)은 심박수가 빠르게 증가(보통 100~180bpm 이상)하는 상태로, 즉각적인 심박수 조절이 필요합니다. 치료의 목표는 심박수 조절(rate control) 또는 리듬 조절(rhythm control)을 통해 증상을 완화하고 심부전 및 혈전색전증을 예방하는 것입니다.

심방세동 with Rapid Ventricular Response (AF with RVR) 치료 약물 정리


1. 심박수 조절 (Rate Control) 🏥

심박수를 조절하여 심실 반응을 낮추는 것이 첫 번째 치료 목표입니다.

약물군 대표 약물 작용 기전 금기/주의사항
베타 차단제 Metoprolol, Esmolol, Propranolol 교감신경 차단 → 심박수 감소 저혈압, 급성 심부전 환자 주의
칼슘 채널 차단제 (Non-DHP) Diltiazem, Verapamil AV 노드 억제 → 심박수 감소 저혈압, 급성 심부전 금기
강심 배당체 Digoxin 미주신경 자극 → AV 노드 억제 (서맥 유발) 신부전 환자에서 축적 위험
아미오다론 Amiodarone AV 노드 및 심근 전도 억제 갑상선 이상, 폐독성 주의

💡 1차 선택 약물:

  • 베타 차단제 또는 **칼슘 채널 차단제(Diltiazem, Verapamil)**가 가장 많이 사용됨.
  • 심부전이 있는 경우 Digoxin 또는 Amiodarone 고려.

2. 리듬 조절 (Rhythm Control) 🩺

리듬 조절은 심방세동을 정상 리듬으로 복귀(cardioversion) 시키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약물군 대표 약물 작용 기전 금기/주의사항
Class IC 항부정맥제 Flecainide, Propafenone Na+ 채널 차단 → 심실 및 심방 전도 억제 구조적 심질환(심부전, 관상동맥질환) 환자 금기
Class III 항부정맥제 Amiodarone, Dofetilide, Ibutilide K+ 채널 차단 → 활동전위 연장 QT 연장, Torsades de Pointes 위험

💡 1차 선택 약물:

  • 구조적 심질환이 없는 경우 Flecainide, Propafenone
  • 심부전 또는 관상동맥질환이 있는 경우 Amiodarone, Dofetilide

3. 항응고제 (Thromboembolism 예방) 🩸

심방세동 환자는 뇌졸중 예방을 위해 항응고 치료가 필수적입니다.

약물군 대표 약물 적응증
비타민 K 길항제 Warfarin INR 조절 필요, 신부전 환자 사용 가능
NOAC (비-와파린 항응고제) Apixaban, Rivaroxaban, Dabigatran CHADS₂-VASc 점수에 따라 1차 선택

💡 CHADS₂-VASc 점수에 따라 항응고제 사용 결정:

  • 남성 ≥ 2점, 여성 ≥ 3점 → 항응고제 권장
  • 남성 1점, 여성 2점 → 고려
  • 0점 → 항응고제 불필요

4. 응급 치료: 전기적 심율동 전환 (Cardioversion) ⚡

  • 급성기(Afib < 48시간)에서 전기적 심율동 전환(Electrical Cardioversion, DCCV) 고려 가능.
  • Afib > 48시간 지속된 경우, 3주 이상 항응고 후 시행하거나 TEE(경식도 심초음파)로 혈전 확인 후 즉시 시행 가능.

5. 요약: 심방세동 with RVR 치료 알고리즘 🏥

(1) 심박수 조절 (1차 목표)

베타 차단제 (Metoprolol, Esmolol) 또는 칼슘 채널 차단제 (Diltiazem, Verapamil)
✅ 심부전 환자: Digoxin 또는 Amiodarone

(2) 리듬 조절 (필요 시)

Flecainide, Propafenone (구조적 심질환 X)
Amiodarone, Dofetilide (심부전, CAD 동반 시)

(3) 혈전 예방 (CHADS₂-VASc 점수 기반)

Warfarin 또는 NOAC (Apixaban, Rivaroxaban 등)

(4) 응급 상황에서 전기적 심율동 전환 고려

전기적 심율동 전환 (DCCV)


6. Q&A 💡

Q1. 심방세동 with RVR에서 가장 먼저 해야 할 치료는?
👉 심박수 조절(rate control)이 우선이며, 주로 베타 차단제 또는 칼슘 채널 차단제 사용.

Q2. 리듬 조절이 필요한 경우는 언제인가요?
👉 증상이 심하거나 심박수 조절이 어려운 경우 리듬 조절(rhythm control) 고려.

Q3. 심부전 환자에서 심박수 조절을 위한 1차 약물은?
👉 Digoxin 또는 Amiodarone 사용 (칼슘 채널 차단제는 금기).

Q4. NOAC와 Warfarin 중 어떤 항응고제를 선택해야 하나요?
👉 대부분 NOAC(Apixaban, Rivaroxaban 등)이 1차 선택이지만, 신부전 환자에서는 Warfarin 고려.

Q5. 전기적 심율동 전환 전 반드시 확인해야 할 것은?
👉 48시간 이상 경과한 Afib 환자는 혈전 여부 확인(TEE 또는 3주 항응고 후 시행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