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2/06 10

디곡신(Digoxin), 언제 사용할까?

디곡신(Digoxin)은 심장에 작용하는 강심제(inotropic agent)로, 심부전과 심방세동 치료에 사용됩니다. 하지만 최근에는 더 안전하고 효과적인 대체 약물(예: 베타 차단제, 항부정맥제)이 많아지면서 사용이 줄어들고 있는 추세입니다.그렇다면, 디곡신은 어떤 경우에 사용해야 할까요? 이번 글에서는 디곡신의 적응증, 기전, 사용 시 주의점, 부작용 및 모니터링 방법을 정리해보겠습니다. 😊1. 디곡신, 어떤 경우에 사용할까? 🔍디곡신은 주로 심부전(Heart Failure)과 심방세동(Atrial Fibrillation, AF)에서 사용됩니다.✅ 1) 심부전 (Heart Failure, HF) 치료좌심실 수축 기능이 저하된 심부전(HFrEF, LVEF ≤ 40%) 환자에서 증상 완화 목적으로 ..

중환자의학 2025.02.06

대사성 산증이 교정될 때, 칼륨 수치는 어떻게 변할까?

대사성 산증(Metabolic Acidosis)은 혈액의 pH가 감소하고, 혈중 H⁺(수소 이온) 농도가 증가하는 상태입니다. 이 과정에서 칼륨(K⁺) 수치가 변동하며, 산증이 교정될 때도 칼륨의 이동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이번 글에서는 대사성 산증과 칼륨(K⁺) 수치 변화의 관계를 알아보고, 산증 교정 시 칼륨을 어떻게 관리해야 하는지 살펴보겠습니다. 😊1. 대사성 산증에서 칼륨 수치는 어떻게 변할까? 🧪대사성 산증이 발생하면 체내 수소 이온(H⁺) 농도가 증가하며, 이에 따라 세포 안팎의 칼륨 균형이 변화합니다.🔹 대사성 산증에서 칼륨 수치 증가(K⁺↑) 원리✔️ H⁺-K⁺ 교환 기전:산증이 발생하면 H⁺ 이온이 세포 내로 들어가면서, 보상 작용으로 K⁺가 세포 밖(혈액)으로 이동결과적으로 혈중..

중환자의학 2025.02.06

대사성 산증 환자에게 중탄산염 투여 시 주의할 사항

대사성 산증(Metabolic Acidosis)은 혈액의 pH가 7.35 미만으로 떨어지는 상태로, 신장질환, 패혈증, 당뇨성 케톤산증(DKA)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중탄산염(중탄산 나트륨, NaHCO₃)은 대사성 산증 치료에 사용되지만, 무분별한 투여는 위험할 수 있습니다. 적절한 투여 기준과 주의 사항을 이해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이번 글에서는 대사성 산증에서 중탄산염 사용의 적응증, 투여 시 주의할 점, 부작용 및 관리 전략을 정리해보겠습니다. 😊1. 중탄산염 투여 적응증 📌중탄산염은 모든 대사성 산증 환자에게 투여하는 것이 아니라, 특정한 경우에만 신중하게 사용해야 합니다.✅ 중탄산염 투여를 고려할 수 있는 경우심한 대사성 산증 (pH ≤ 7.1)중증 신부전으로 인해 산 ..

중환자의학 2025.02.06

겨울철 코가 빨개지는 이유는?

추운 겨울이 되면 유독 코가 빨개지는 현상을 경험하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특히 야외 활동 후나 찬 바람을 맞으면 코가 붉어지고 따끔거리거나 건조함을 느낄 수 있죠. 왜 이런 일이 발생할까요?이번 글에서는 겨울철 코가 빨개지는 원인과 이를 예방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1. 겨울철 코가 빨개지는 주요 원인 🔍✅ 1) 혈관 반응 (혈관 수축 & 확장)추운 날씨에서는 체온을 유지하기 위해 혈관이 수축합니다. 그러나 일정 시간이 지나면 피부 조직을 보호하기 위해 혈관이 확장되면서 혈류량이 증가하는데, 이 과정에서 코가 붉어지게 됩니다.📌 추운 날씨에서 코가 빨개지는 과정찬 공기를 맞으면 혈관이 수축 → 코로 가는 혈류 감소일정 시간이 지나면 혈관이 확장 → 혈액 공급 증가이 과정이 반복되면서 코가 붉어..

생활 속 건강 2025.02.06

ESBL과 AmpC: 항생제 내성의 주요 유형 비교

항생제 내성은 현대 의학에서 중요한 문제 중 하나입니다. 특히 확장형 베타락타마제(ESBL, Extended-Spectrum Beta-Lactamase)와 AmpC 베타락타마제(AmpC Beta-Lactamase)는 그람음성균에서 흔히 발견되는 주요 항생제 내성 기전입니다.이 글에서는 ESBL과 AmpC의 차이점, 내성 기전, 주요 균종, 치료 전략 등을 비교해 보겠습니다. 😊1. ESBL과 AmpC란? 🤔✅ ESBL (확장형 베타락타마제, Extended-Spectrum Beta-Lactamase)3세대 세팔로스포린(ceftriaxone, ceftazidime 등)과 일부 페니실린을 분해할 수 있는 효소**플라스미드(Plasmid)**를 통해 수평적으로 전파됨 → 병원 내 감염의 주요 원인클라불란산..

중환자의학 2025.02.06

머리가 지끈지끈, 편두통일까? 편두통과 다른 두통 구분법

"머리가 지끈지끈 아파요."많은 사람들이 이런 증상을 경험하지만, 단순한 긴장성 두통인지, 아니면 편두통(migraine)인지 구별하는 것은 쉽지 않습니다. 편두통은 일반적인 두통과는 다르게 특정한 특징과 동반 증상이 있으며, 올바른 치료와 예방이 중요합니다.오늘은 편두통의 증상과 일반 두통과의 차이점, 편두통을 의심해야 하는 경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편두통 vs 일반 두통, 어떻게 다를까? 🤔편두통과 일반적인 두통(긴장성 두통, 군발두통 등)의 차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 이런 경우, 편두통을 의심하세요!✅ 한쪽 머리가 욱신거리거나 지끈거리는 통증✅ 빛이나 소리에 예민해지고, 메스꺼움이 동반됨✅ 신체 활동을 하면 통증이 더 심해짐✅ 몇 시간에서 길게는 며칠까지 지속됨2. 편두통..

의학 지식 2025.02.06

편두통 치료 약물 정리

편두통(migraine)은 단순한 두통이 아니라 심한 통증과 함께 메스꺼움, 빛과 소리에 대한 과민 반응 등이 동반되는 신경학적 질환입니다. 치료는 급성기 치료(발작 시 즉각적인 치료)와 예방 치료(발작 빈도를 줄이기 위한 치료)로 나뉩니다.이번 글에서는 편두통 치료에 사용되는 주요 약물을 정리하여 비교해 보겠습니다. 😊1. 급성기 치료 (발작 시 사용) 🚑편두통 발작이 시작될 때 빠르게 증상을 완화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1) 트립탄(Triptans)세로토닌(5-HT1) 수용체 작용제로, 혈관을 수축시키고 통증 경로를 차단하여 두통을 완화합니다.약물명투여 방법특징주의사항수마트립탄 (Sumatriptan)경구, 주사, 비강 스프레이가장 널리 사용심혈관 질환 환자 금기리자트립탄 (Rizatriptan)..

의학 지식 2025.02.06

중환자실 환자의 부종 제거 방법

중환자실(ICU) 환자들은 심부전, 신부전, 패혈증, 간부전, 저알부민혈증, 수액 과부하 등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부종(edema)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심한 부종은 조직 관류를 저하시키고, 장기 기능에 영향을 줄 수 있어 신속하고 적절한 치료가 필요합니다.이번 글에서는 중환자실 환자의 부종 제거 방법, 원인별 접근법, 치료 전략 및 주의사항을 알아보겠습니다. 😊1. 중환자실 환자의 부종 원인 🔍부종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려면 먼저 원인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1) 심혈관계 원인✔️ 심부전(Congestive Heart Failure, CHF) → 정맥 정체로 인한 체액 축적✔️ 저혈압으로 인한 수액 과부하 → 심박출량 감소로 조직 부종 악화✅ 2) 신장 기능 저하✔️ 급성 신부전(AKI), 만..

중환자의학 2025.02.06

중환자실 환자의 심방세동 조절을 위한 약물 치료

심방세동(Atrial Fibrillation, AF)은 중환자실(ICU)에서 흔히 발생하는 부정맥 중 하나로, 심박수와 혈역학적 상태를 불안정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특히, 패혈증, 급성 호흡부전, 심근경색 등의 질환이 동반된 환자에서 심방세동이 발생하면 예후가 나빠질 수 있어 신속하고 적절한 약물 치료가 필요합니다.이번 글에서는 중환자실 환자의 심방세동 조절을 위한 약물 치료 가이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1. 심방세동 조절의 목표 🎯ICU 환자의 심방세동 치료 목표는 크게 **심박수 조절(rate control)**과 **리듬 조절(rhythm control)**로 나눌 수 있습니다.✅ 심박수 조절심박수를 안정적인 범위(일반적으로 80~110 bpm)로 유지혈역학적으로 안정적인 환자에서 우선적으로 고..

중환자의학 2025.02.06

녹농균 치료 전략, 어떤 항생제를 써야 할까?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은 병원 내 감염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항생제 내성이 강한 세균입니다. 특히 면역력이 약한 환자나 장기간 입원 환자에게 심각한 감염을 유발할 수 있어 신속하고 효과적인 항생제 치료가 필수적입니다. 하지만 내성 균주의 증가로 인해 적절한 항생제 선택이 점점 더 어려워지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녹농균 감염 치료에 사용되는 주요 항생제와 치료 전략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녹농균 감염의 주요 특징녹농균은 환경에 널리 퍼져 있으며, 의료 기기 및 병원 환경에서도 쉽게 발견됩니다. 이 균은 여러 감염을 일으킬 수 있으며, 대표적인 질환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폐렴(특히 인공호흡기 관련 폐렴)요로감염창상 감염(화상 부위 감염 등)패혈증(혈류 감염..

의학 지식 2025.0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