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환자의학

ESBL과 AmpC: 항생제 내성의 주요 유형 비교

비비닥 2025. 2. 6. 11:45

항생제 내성은 현대 의학에서 중요한 문제 중 하나입니다. 특히 확장형 베타락타마제(ESBL, Extended-Spectrum Beta-Lactamase)AmpC 베타락타마제(AmpC Beta-Lactamase)는 그람음성균에서 흔히 발견되는 주요 항생제 내성 기전입니다.

이 글에서는 ESBL과 AmpC의 차이점, 내성 기전, 주요 균종, 치료 전략 등을 비교해 보겠습니다. 😊


1. ESBL과 AmpC란? 🤔

ESBL (확장형 베타락타마제, Extended-Spectrum Beta-Lactamase)

  • 3세대 세팔로스포린(ceftriaxone, ceftazidime 등)과 일부 페니실린을 분해할 수 있는 효소
  • **플라스미드(Plasmid)**를 통해 수평적으로 전파됨 → 병원 내 감염의 주요 원인
  • 클라불란산(clavulanic acid) 등 베타락탐제 억제제에 의해 저해 가능

AmpC (AmpC 베타락타마제, AmpC Beta-Lactamase)

  • ESBL보다 더 광범위한 내성 보유
  • 3세대 세팔로스포린뿐만 아니라 클라불란산을 포함한 베타락탐 억제제에도 내성
  • 염색체(chromosomal) 유전자에 존재하여 유도(inducible) 또는 지속적으로 발현(constitutive)
  • 특정 항생제(예: 세포탁심, 세프타지딤)에 의해 내성 유전자 발현이 증가할 수 있음

2. ESBL과 AmpC 비교 🔍

 

항목 ESBL AmpC
내성 기전 3세대 세팔로스포린 분해 3세대 세팔로스포린 + 베타락탐 억제제 내성
유전자 위치 플라스미드(Plasmid) → 수평적 전파 염색체(Chromosomal) 또는 플라스미드
주요 균종 E. coli, Klebsiella spp. Enterobacter spp., Citrobacter spp., Pseudomonas spp.
베타락탐 억제제(클라불란산) 반응 저해됨 저해되지 않음
항생제 선택 카바페넴, 세프타졸란/타조박탐 카바페넴, 세페피임(일부 균종)

3. ESBL과 AmpC 주요 균종 🦠

ESBL 생성균

  • E. coli (대표적인 ESBL 보유 균주)
  • Klebsiella pneumoniae
  • Proteus mirabilis
  • Enterobacter spp. (일부)

AmpC 생성균 (SPACE-M 균종)

AmpC는 특정 그람음성균에서 자주 발견되며, 'SPACE-M' 균종이 대표적입니다.

🔹 SPACE-M 균종

  • Serratia spp.
  • Pseudomonas aeruginosa
  • Acinetobacter spp.
  • Citrobacter freundii
  • Enterobacter spp.
  • Morganella morganii

💡 AmpC는 특정 항생제(세팔로스포린 등)에 의해 유도될 수 있으므로, 항생제 선택 시 주의가 필요합니다.


4. ESBL과 AmpC 감염 치료 전략 💊

ESBL과 AmpC 균주 감염을 효과적으로 치료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항생제 선택이 필수적입니다.

1) ESBL 감염 치료

✔️ 1차 선택: 카바페넴 계열 (Meropenem, Imipenem, Ertapenem)
✔️ 대안 항생제: Piperacillin/Tazobactam (PIP/TAZ), Cefepime (경증 감염 시)
✔️ 경구 치료 가능: Fosfomycin, Nitrofurantoin (요로감염)

2) AmpC 감염 치료

✔️ 1차 선택: 카바페넴 (Meropenem, Imipenem)
✔️ 대안 항생제: Cefepime (AmpC는 Cefepime에 상대적으로 안정적)
✔️ Piperacillin/Tazobactam은 AmpC에 대한 효과가 제한적


5. 항생제 내성 감염 예방법 🚨

항생제 내성 균 감염을 예방하려면 다음과 같은 감염 관리 전략이 필요합니다.

항생제 적정 사용 (Antibiotic Stewardship Program, ASP)
손 위생 철저 (알코올 손 소독제, 비누 사용)
의료진 및 환자의 감염 관리 준수
장기 입원 환자 및 면역저하 환자 관리 강화
의심되는 경우 신속한 배양 검사 및 감수성 검사 수행


6. ESBL과 AmpC Q&A ❓

1) ESBL과 AmpC 감염은 어떻게 진단하나요?

➡️ 혈액, 소변, 객담 등의 검체를 채취하여 **배양 검사 및 항생제 감수성 검사(AST)**를 시행합니다.

2) 클라불란산이 ESBL에는 효과적인데, AmpC에는 왜 효과가 없나요?

➡️ ESBL은 클라불란산으로 저해되지만, AmpC는 클라불란산을 분해할 수 있어 효과가 없습니다.

3) 카바페넴 내성 ESBL 또는 AmpC 균주는 어떻게 치료하나요?

➡️ 카바페넴 내성균(CRE, Carbapenem-Resistant Enterobacteriaceae)이 발견되면 콜리스틴, 세프타졸란/타조박탐(Ceftazidime/Avibactam) 등의 대체 항생제를 고려해야 합니다.

4) ESBL 감염이 있는 환자와 접촉하면 전염될 수 있나요?

➡️ 네, ESBL은 플라스미드를 통해 다른 균주로 전파될 수 있으므로 감염 관리가 필수적입니다.

5) AmpC 생성균은 모든 세팔로스포린에 내성이 있나요?

➡️ 3세대 세팔로스포린(세프타지딤, 세포탁심)은 내성이 있지만, 세페피임(Cefepime)은 비교적 안정적이라 사용 가능할 수 있습니다.


7. 결론 🌟

ESBL은 플라스미드를 통해 전파되며, 클라불란산으로 저해 가능
AmpC는 염색체 유래이며, 클라불란산 억제제에도 내성이 있음
ESBL과 AmpC 감염 치료에는 카바페넴이 가장 효과적
항생제 내성 문제를 해결하려면 적절한 항생제 사용과 감염 관리가 필수

항생제 내성 균주 감염은 빠른 진단과 적절한 치료 전략이 중요합니다. 병원 환경에서는 감염 예방 수칙을 철저히 지키고, 항생제 감수성 검사 결과에 따라 최적의 항생제를 선택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