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액치료 4

HHS(고삼투압성 고혈당 상태)에서 Fluid Deficit의 양과 치료 전략

고삼투압성 고혈당 상태(Hyperosmolar Hyperglycemic State, HHS)는 극심한 고혈당(>600 mg/dL)과 심한 탈수를 특징으로 하는 당뇨병의 응급 합병증입니다.HHS는 주로 제2형 당뇨병 환자에서 발생하며, 인슐린 결핍과 수분 부족으로 인해 혈장 삼투압이 증가하여 의식 저하, 신부전, 쇼크 등의 위험이 있습니다. 따라서 초기 치료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수액 공급을 통한 체액 부족(fluid deficit) 보충입니다.이번 글에서는 HHS에서 Fluid Deficit의 양, 수액 치료 전략 및 Q&A를 자세히 정리하겠습니다.1️⃣ HHS에서 Fluid Deficit(체액 부족)의 양HHS 환자는 극심한 삼투성 이뇨(osmotic diuresis)로 인해 대량의 수분을 상실합니다...

의학 지식 2025.02.07

중환자실(ICU) 환자의 부종과 알부민의 관계

중환자실(ICU) 환자에서 부종(edema)은 흔한 문제이며, 이는 알부민(albumin)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알부민은 혈장 단백질의 주요 구성 요소로, 혈장 삼투압 유지와 체액 균형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부종과 알부민의 관계, 저알부민혈증의 영향, 알부민 보충의 효과와 한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1️⃣ 부종이란?부종(edema)은 조직에 과도한 체액이 축적되는 현상을 의미합니다.중환자실 환자에서 부종은 다음과 같은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수액 과부하(fluid overload): 대량의 정맥 수액 공급으로 인해 체액이 혈관 밖으로 이동저알부민혈증(hypoalbuminemia): 삼투압이 저하되어 체액이 혈관에서 조직으로 이동염증 반응: 패혈증, 감염 등에 의해 혈관 ..

중환자의학 2025.02.07

생리식염수 지속 투여의 영향

생리식염수(0.9% NaCl)는 병원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수액 중 하나입니다. 탈수, 쇼크, 전해질 불균형 교정 등의 목적으로 사용되지만, 장기간 지속적으로 투여할 경우 여러 가지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생리식염수의 지속적 투여가 신체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겠습니다.1️⃣ 생리식염수의 기본 특성 구성 성분 농도 (mEq/L) 나트륨 (Na⁺)154염화물 (Cl⁻)154삼투압약 308 mOsm/LpH약 5.0~6.5생리식염수는 혈장과 거의 동일한 삼투압을 가지지만, 나트륨과 염화물 농도가 혈장보다 약간 높고, pH가 상대적으로 낮습니다.2️⃣ 생리식염수 지속 투여 시 발생할 수 있는 영향✅ 1. 고염소혈증 및 대사성 산증 🧪생리식염수는 염화물(Cl⁻) 농도가 높은 수액으로, 지..

의학 지식 2025.02.07

5% 알부민과 생리식염수의 혈장량 증가 효과 비교

수액 치료는 탈수, 저혈압, 쇼크 등의 상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특히 5% 알부민과 생리식염수(0.9% NaCl)는 혈액량을 보충하는 대표적인 수액제입니다. 하지만 두 수액제는 체내에서 작용하는 방식이 다르기 때문에 적절한 상황에 맞게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5% 알부민과 생리식염수의 혈장량 증가 효과를 비교하고, 각각의 장단점을 살펴보겠습니다.1️⃣ 5% 알부민과 생리식염수의 기본 특성 특성 5% 알부민 생리식염수 (0.9% NaCl) 성분인간 혈장에서 추출한 단백질(알부민 5g/100mL)NaCl 9g/L (154mEq/L Na⁺, 154mEq/L Cl⁻)삼투압약 300 mOsm/L (등삼투액)약 308 mOsm/L (등삼투액)혈장 유지 시간약 16~24시간약 30~60분..

의학 지식 2025.0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