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환자의학

중환자실 환자의 부종 제거 방법

비비닥 2025. 2. 6. 05:54

중환자실(ICU) 환자들은 심부전, 신부전, 패혈증, 간부전, 저알부민혈증, 수액 과부하 등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부종(edema)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심한 부종은 조직 관류를 저하시키고, 장기 기능에 영향을 줄 수 있어 신속하고 적절한 치료가 필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중환자실 환자의 부종 제거 방법, 원인별 접근법, 치료 전략 및 주의사항을 알아보겠습니다. 😊


1. 중환자실 환자의 부종 원인 🔍

부종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려면 먼저 원인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1) 심혈관계 원인

✔️ 심부전(Congestive Heart Failure, CHF) → 정맥 정체로 인한 체액 축적
✔️ 저혈압으로 인한 수액 과부하 → 심박출량 감소로 조직 부종 악화

2) 신장 기능 저하

✔️ 급성 신부전(AKI), 만성 신부전(CKD) → 나트륨과 수분 배설 장애
✔️ 이뇨제 반응 저하 → 신장에서 수분 제거가 어려움

3) 간부전 & 저알부민혈증

✔️ 간경변(Cirrhosis) → 저알부민혈증으로 인한 삼투압 저하
✔️ 알부민 감소(Alb < 2.5 g/dL) → 혈관 내 수분이 조직으로 이동

4) 패혈증 & 염증 반응

✔️ 모세혈관 투과성 증가 → 조직 부종, 폐부종 위험 증가
✔️ 전신 염증 반응(SIRS, Sepsis) → 혈관 내 수액 유출

💡 부종의 원인을 파악한 후, 적절한 치료 전략을 선택해야 합니다!


2. 중환자실 환자의 부종 제거 방법 💊💦

1) 이뇨제(Furosemide, Bumetanide) 사용

이뇨제는 부종 치료의 1차 선택 약물이며, 체액 과부하 상태에서 신속한 배출을 유도할 수 있습니다.

📌 이뇨제 사용 전략
✔️ Loop 이뇨제 (Furosemide, Bumetanide, Torsemide) → 신속한 나트륨 및 수분 배출
✔️ Thiazide 이뇨제 (Metolazone) → Loop 이뇨제와 병용 시 효과 상승
✔️ 칼륨 보존 이뇨제 (Spironolactone) → 심부전, 간경변 환자에서 사용

⚠️ 주의할 점

  • 이뇨제 저항성 발생 가능 → 용량 조절 또는 다른 계열 이뇨제 병용 필요
  • 전해질 불균형(K⁺, Na⁺, Mg²⁺ 감소) → 정기적인 전해질 모니터링 필수
  • 저혈압 위험 → 과도한 체액 제거 시 저혈량성 쇼크 발생 가능

2) 체액 제한 (Fluid Restriction)

불필요한 수액 공급을 줄이고, 체액 균형을 조절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체액 제한 기준
✔️ 하루 총 수분 섭취량(TFI) 조절 → 1,000~1,500 mL/day 제한 가능
✔️ 소변량(Urine Output, UO) 확인 → 일일 투입량과 배출량을 비교
✔️ 중심정맥압(CVP) 또는 폐동맥압(PAOP) 모니터링 → 과다 수액 공급 방지

💡 특히 신부전, 심부전 환자에서는 수액 제한이 중요합니다!


3) 알부민(Albumin) & 삼투압 조절 치료

저알부민혈증이 있는 환자에서는 **알부민 보충(Albumin 5% or 25%)**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알부민 사용 전략
✔️ 5% 알부민 → 저알부민증 + 저혈압 환자에서 혈관 내 볼륨 유지
✔️ 25% 알부민 → 조직 부종이 심한 경우 삼투압 상승 유도
✔️ 이뇨제와 병용 (예: 알부민 + 푸로세미드) → 효과적인 수분 배출 가능

⚠️ 주의할 점

  • 간경변 환자에서 사용 가능하나, 신부전 환자에서는 신중히 사용
  • 고알부민혈증(Alb > 4.0 g/dL)에서는 과도한 사용 금지

4) 신대체 요법 (CRRT, HD, UF)

이뇨제 반응이 없는 심각한 체액 과부하 환자에서는 **신대체 요법(Renal Replacement Therapy, RRT)**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 신대체 요법 선택 기준
✔️ 지속적 신대체 요법(CRRT, Continuous Renal Replacement Therapy) → 저혈압 환자에게 적합
✔️ 혈액투석(HD, Hemodialysis) → 급성 신부전(AKI), 고칼륨혈증 동반 환자
✔️ 초여과(Ultrafiltration, UF) → 심부전으로 인한 중증 부종 환자에서 선택 가능

⚠️ CRRT는 저혈압 발생 가능성이 있으므로, 혈역학적 모니터링 필수!


5) 림프부종, 국소 부종 치료

✔️ 사지 부종탄력스타킹, 다리 올리기(Elevation), 마사지
✔️ 폐부종고농도 산소, NIV(Non-Invasive Ventilation) 보조
✔️ 복수(Ascites)천자(Paracentesis) 고려

💡 부종 부위에 따라 추가적인 물리적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3. 부종 제거 시 주의해야 할 사항 ⚠️

1) 너무 빠른 체액 제거 주의

  • 급격한 체액 감소 → 저혈압, 신장 손상, 저나트륨혈증 위험
  • 하루 최대 체액 제거량 → 1~2L/day 조절이 적절

2) 전해질 & 신장 기능 모니터링

  • K⁺, Na⁺, Mg²⁺ 모니터링 → 저칼륨혈증 예방 필수
  • GFR(사구체 여과율), BUN/Cr 체크 → 신장 기능 저하 여부 확인

3) 기저 질환 고려한 맞춤 치료

  • 심부전 환자 → 이뇨제 + 체액 제한 필수
  • 신부전 환자 → CRRT 또는 초여과 고려
  • 간부전 환자 → 알부민 + 스피로노락톤 사용

💡 환자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며 부종 치료 전략을 조정해야 합니다!


4. 결론 🌟

중환자실 환자의 부종은 원인에 따라 맞춤형 치료가 필요합니다.
이뇨제, 체액 제한, 알부민 보충, 신대체 요법(CRRT) 등의 치료 전략을 조합해야 합니다.
급격한 체액 제거는 위험할 수 있으므로, 신중한 모니터링이 필수적입니다.

💙 중환자실 환자의 부종 치료는 신중한 접근과 지속적인 관찰이 핵심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