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항경련제 25

Levetiracetam의 부작용, 꼭 알아야 할 핵심 정리

Levetiracetam (제품명: Keppra)는 최근 간질 치료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항경련제 중 하나입니다. 다양한 발작 유형에 효과적이고 약물 상호작용이 적어, 특히 중환자실이나 고령 환자, 항암 환자에게도 폭넓게 사용되죠. 하지만 부작용이 전혀 없는 건 아닙니다. 오히려 정신신경계 부작용은 꽤 흔하게 보고되고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오늘은 Levetiracetam의 대표적인 부작용과 그 관리 방법에 대해 정리해 드릴게요.Levetiracetam의 주요 장점 ✅대사경로가 간이 아닌 신장을 통해 배설 → 간 질환 환자에게 유리약물 상호작용 거의 없음 → 다른 약물과 병용 시 안전정맥, 경구 모두 가능 → 응급/만성 치료 모두 사용 가능다양한 발작 유형에 효과적 → 부분발작, 전신발작, myoclon..

의학 지식 2025.03.26

Myoclonic Seizure에 Phenytoin을 쓰지 않는 이유는? 왜 사용할 수 없을까?

간질 치료에서 오랜 기간 사용돼온 약물인 Phenytoin과 그 수용성 형태인 Fosphenytoin은 뇌전증 치료의 고전적인 1차 약물 중 하나입니다. 그런데 Myoclonic seizure(간대성 발작)의 치료에는 사용하지 않는 것이 원칙이라는 점, 알고 계셨나요?많은 의료진과 간호사들이 실무에서 “간질인데 왜 Phenytoin 안 써요?”라는 의문을 가질 수 있습니다. 오늘은 그 이유를 약리학적, 임상적 측면에서 자세히 풀어보겠습니다.Myoclonic Seizure란 어떤 발작인가요? ⚡🧠Myoclonic seizure는 갑작스러운, 짧고 빠른 근육의 불수의적 수축이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형태의 발작입니다. 주로 전신 혹은 상지에 나타나며, 단독으로도 발생하지만 다른 발작 유형과 함께 나타날 수도 ..

의학 지식 2025.03.26

뇌손상 후 발생하는 Myoclonic Seizure, 어떻게 치료해야 할까?

뇌손상 이후 환자에게 갑작스러운 근육 수축이나 경련이 반복적으로 나타난다면, myoclonic seizure(간대성 발작)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특히 저산소성 뇌손상(hypoxic brain injury)이나 외상성 뇌손상 이후에 흔히 관찰되는 증상 중 하나로, 치료 및 예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이런 뇌손상 후 myoclonic seizure의 적절한 치료는 무엇일까요?Myoclonic Seizure란 무엇인가요? 🧐Myoclonic seizure는 "짧고 급격한 근육 수축"으로 나타나는 간헐적인 경련성 움직임입니다. 전신 또는 일부 근육에서 발생하며, 의식 소실이 동반되기도 하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특히 급성 뇌손상 후 나타나는 myoclonus는 대부분 다음의 두..

중환자의학 2025.03.26

두개내압(ICP) 조절을 위한 약물 총정리

두개내압(Intracranial Pressure, ICP) 상승은 뇌출혈, 뇌부종, 외상성 뇌손상(TBI) 등에서 발생하며, 즉각적인 치료가 필요합니다. ICP가 20mmHg 이상으로 지속되면 뇌 탈출(herniation) 위험이 증가하여 사망률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이번 글에서는 ICP를 조절하는 주요 약물과 기전, 사용법, 주의사항을 정리하겠습니다.1. 삼투성 이뇨제 (Osmotic Diuretics)✅ 1) 만니톨(Mannitol)📌 가장 널리 사용되는 ICP 감소 약물특징설명작용 기전삼투압을 증가시켜 혈관 내로 수분 이동 → 뇌부종 감소용량0.251g/kg IV, 46시간 간격효과 발현15~30분 내지속 시간4~6시간부작용저혈압, 탈수, 전해질 불균형, 급성 신부전📌 투여 후 혈장 삼투압(>3..

중환자의학 2025.03.22

Levetiracetam: 작용 기전, 적응증, 부작용

Levetiracetam(레비티라세탐)은 뇌전증(epilepsy) 치료에 널리 사용되는 항경련제(Antiepileptic Drug, AED)입니다. 기존 항경련제와는 다른 독특한 작용 기전을 가지며, 다양한 뇌전증 유형에서 효과적으로 사용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Levetiracetam의 작용 기전, 적응증, 부작용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1. Levetiracetam의 작용 기전 🧠Levetiracetam은 다른 항경련제와 달리, 시냅스 소포 단백질 2A(SV2A, Synaptic Vesicle Protein 2A) 에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작용합니다.🔹 작용 원리:SV2A와 결합 → 신경 전달물질 방출 조절과도한 흥분 억제 → 뇌 신경세포의 과활성화 방지경련 억제 효과📌 기존의 항경련제(예: ..

의학 지식 2025.03.22

Seizure vs. Shivering, 어떻게 구분할까?

중환자실(ICU)이나 응급 상황에서 환자가 불수의적 근육 운동(Involuntary movements)을 보이면, 이는 발작(Seizure)인지 오한(Shivering)인지 구별해야 합니다. 두 증상은 비슷해 보일 수 있지만, 원인과 치료법이 완전히 다르므로 빠르고 정확한 감별이 중요합니다.✅ Seizure(발작) vs. Shivering(오한) 비교 구분 Seizure (발작) Shivering (오한) 원인뇌의 비정상적 전기적 활성 증가체온 조절 과정에서 근육 떨림발생 기전뉴런의 과흥분으로 인해 전신 또는 국소적 경련 발생체온이 저하되거나 마취, 패혈증 등으로 인해 발생운동 형태리드미컬하고 강한 수축-이완 반복, 대개 대칭적잔떨림(tremor)처럼 보이며 불규칙적의식 상태일반적으로 의식 저하 or..

중환자의학 2025.03.18

발작 후 일시적 마비, Todd's Palsy란?

발작(seizure) 후 환자가 일시적으로 한쪽 팔다리를 움직이지 못하는 증상을 보이는 경우가 있습니다.이것을 Todd's Palsy(토드 마비, Todd's Paralysis)라고 하며, 일반적으로 몇 분에서 몇 시간(드물게 1~2일) 후 자연적으로 회복됩니다.💡 그렇다면, Todd's Palsy는 왜 발생할까요? 뇌전증과 어떤 관련이 있을까요?✅ Todd's Palsy란?Todd's Palsy는 발작 후 일시적인 국소 신경학적 장애를 의미하며, 보통 **운동 마비(편마비)**로 나타나지만 감각 이상, 시각 장애 등도 동반될 수 있습니다.✔ 주로 부분발작(focal seizure) 후 발생✔ 한쪽 팔다리 또는 얼굴에 마비가 나타남✔ 일시적이며 몇 분~24시간 내 회복💡 즉, Todd's Palsy는..

의학 지식 2025.03.06

발작이 지속되면 뇌에 어떤 영향을 줄까?

발작(seizure)이 짧은 시간 내에 멈춘다면 큰 후유증 없이 회복될 수 있지만, 5분 이상 지속되는 발작(지속성 발작, Status Epilepticus, SE)은 심각한 뇌 손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발작이 지속되면 뇌에는 어떤 변화가 일어날까요?이 글에서는 발작이 장기화될 때 뇌에서 일어나는 병리적 변화와 그로 인한 후유증을 알아보겠습니다.⏳ 발작 지속 시간에 따른 뇌 변화대부분 자연 회복 가능5~10분뇌 대사율 증가, 신경세포 손상 시작10~30분산소 부족, 신경독성 증가, 신경세포 사멸 시작> 30분뇌부종, 신경세포 광범위한 사멸, 후유증 위험 증가> 60분뇌 손상 심각, 생명 위협 가능💡 즉, 발작이 지속될수록 뇌 손상의 정도가 심해지고, 조기 치료가 중요합니다.🚨 발작이..

의학 지식 2025.03.06

발작이 대부분 5분 이내에 멈추는 이유는?

발작(seizure)은 신경 세포의 비정상적인 전기적 활동으로 인해 발생하지만, 대다수의 발작은 5분 이내에 자연적으로 멈춥니다.그렇다면, 왜 발작이 일정 시간 내에 저절로 종료될까요? 🤔이 글에서는 발작이 멈추는 신경학적 기전과 5분을 기준으로 지속성 발작(Status Epilepticus, SE)을 정의하는 이유를 알아보겠습니다.✅ 대부분의 발작이 5분 이내에 멈추는 이유1️⃣ 뇌의 보호 기전 (Neuroinhibitory Mechanisms) 작동뇌는 흥분성 신호(excitatory signals)와 억제성 신호(inhibitory signals) 간의 균형을 유지하면서 정상적인 기능을 합니다.발작 중에는 글루탐산(Glutamate) 같은 흥분성 신경전달물질이 과도하게 활성화됩니다.하지만 일정 시..

중환자의학 2025.03.06

발작 치료에서 로라제팜(Lorazepam)을 가장 먼저 투여하는 이유

발작(seizure)은 신경 세포의 비정상적인 전기적 활동으로 인해 발생하는 증상으로, 빠른 치료가 필수적입니다.특히 지속적 발작 상태(Status Epilepticus, SE)에서는 신속한 약물 투여가 생명을 구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왜 발작의 초기 치료에서 로라제팜(Lorazepam)이 1차 선택약으로 권장될까요?이 글에서 로라제팜의 작용 기전, 다른 항경련제와의 비교, 임상적 장점을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로라제팜(Lorazepam)이란?로라제팜은 벤조디아제핀 계열(Benzodiazepine) 항경련제로, 발작을 신속하게 억제하는 효과가 있습니다.상품명: 아티반(Ativan)작용 기전: GABA_A 수용체를 활성화하여 신경 흥분을 억제용법: 정맥주사(IV)로 투여💡 즉, 로라제팜은 뇌에..

중환자의학 2025.03.0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