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작(seizure)은 신경 세포의 비정상적인 전기적 활동으로 인해 발생하지만, 대다수의 발작은 5분 이내에 자연적으로 멈춥니다.
그렇다면, 왜 발작이 일정 시간 내에 저절로 종료될까요? 🤔
이 글에서는 발작이 멈추는 신경학적 기전과 5분을 기준으로 지속성 발작(Status Epilepticus, SE)을 정의하는 이유를 알아보겠습니다.

✅ 대부분의 발작이 5분 이내에 멈추는 이유
1️⃣ 뇌의 보호 기전 (Neuroinhibitory Mechanisms) 작동
뇌는 흥분성 신호(excitatory signals)와 억제성 신호(inhibitory signals) 간의 균형을 유지하면서 정상적인 기능을 합니다.
- 발작 중에는 글루탐산(Glutamate) 같은 흥분성 신경전달물질이 과도하게 활성화됩니다.
- 하지만 일정 시간이 지나면, GABA(γ-Aminobutyric Acid, 억제성 신경전달물질)가 활성화되면서 과도한 신경 활동을 억제합니다.
✅ 즉, 뇌는 스스로 과도한 흥분을 조절하는 능력이 있으며, 이 때문에 발작이 일정 시간이 지나면 멈추게 됩니다.
2️⃣ 뇌의 에너지 고갈 (Energy Depletion)
발작이 지속되면 뇌는 ATP(에너지원)를 빠르게 소모하게 됩니다.
- 신경 세포가 과도하게 활성화되면 산소와 포도당을 빠르게 사용하여 ATP를 생성하지만,
- 일정 시간이 지나면 에너지 공급이 부족해져 발작 활동이 점차 감소합니다.
💡 즉, 발작이 길어질수록 신경 세포가 에너지를 다 소모하면서 스스로 억제되는 효과가 발생합니다.
3️⃣ 시냅스 피로 (Synaptic Fatigue)
발작이 지속되면 시냅스에서 신경전달물질 방출이 줄어들어 신호 전달이 약해지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 신경 세포는 지속적으로 발화하면 흥분성 신경전달물질(글루탐산 등)의 재고가 소진됩니다.
- 이로 인해 흥분성 신호가 약해지고 발작 활동이 자연스럽게 줄어듭니다.
✅ 즉, 신경세포가 과부하 상태가 되면서 자연적으로 발작이 종료되는 것입니다.
4️⃣ 뇌의 내재적 발작 제한 네트워크 (Intrinsic Seizure-Limiting Networks)
뇌에는 발작 활동을 조절하는 네트워크가 존재합니다.
특히, 시상(Thalamus)과 대뇌 피질(Cortex)의 억제 회로가 활성화되면서 발작을 멈추게 합니다.
- 뇌의 시상-피질 회로(Thalamo-cortical circuit)는 발작이 일정 시간 이상 지속되지 않도록 조절하는 역할을 합니다.
- 발작이 진행되면 이 회로가 활성화되어 GABA를 통해 발작 활동을 억제하게 됩니다.
💡 즉, 뇌 자체에 발작이 지나치게 길어지지 않도록 조절하는 메커니즘이 존재합니다.
⏳ 그렇다면, 왜 '5분'을 기준으로 지속성 발작(Status Epilepticus)을 정의할까?
🔥 5분 이상 지속되는 발작 = 뇌 손상 위험 증가
연구에 따르면, 발작이 5분 이상 지속되면 신경세포 손상이 증가하고, 자연 회복 가능성이 급격히 낮아집니다.
| < 5분 | 대부분 자연 종료 |
| 5~10분 | 뇌 손상 가능성 증가, 치료 필요 |
| > 30분 | 신경세포 손상 심각, 사망 위험 증가 |
💡 즉, 5분을 초과하면 자연적으로 멈출 확률이 낮아지고, 치료 개입이 필요하기 때문에 '지속성 발작(SE)' 기준으로 삼습니다.
🚨 결론: 왜 발작은 5분 내에 멈추는가?
✅ 뇌의 억제 기전(GABA)이 활성화되면서 발작 활동이 조절됨
✅ 신경세포가 에너지를 다 소모하면서 활동이 감소됨
✅ 시냅스 피로로 인해 신경 신호 전달이 약해짐
✅ 뇌의 자체적인 발작 제한 네트워크가 작동하여 멈춤
💡 하지만 5분을 초과하면 뇌 손상 위험이 증가하므로 즉각적인 치료가 필요합니다! 🚑
'중환자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 Stress-Induced Cardiomyopathy(스트레스 유발 심근병증)에서 혈액검사, 심전도, 심초음파 소견 (0) | 2025.03.10 |
|---|---|
| 전신 발작(경련) 시 양쪽 눈이 위로 향하는 이유 (0) | 2025.03.10 |
| 발작 치료에서 로라제팜(Lorazepam)을 가장 먼저 투여하는 이유 (0) | 2025.03.06 |
| 탈수, 어떤 수용액으로 교정해야 할까? 상황별 가이드 (0) | 2025.03.06 |
| 중환자실 약물: 베큐로니움(Vecuronium, 베카론) 알아보기 (0) | 2025.03.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