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신경과 14

Septic Emboli로 인한 뇌경색, 항응고치료가 필요할까?

감염성 심내막염(infective endocarditis, IE) 환자에서 뇌경색이 발생하는 가장 흔한 원인은 septic emboli입니다. 이는 감염된 판막에서 떨어져 나온 세균 덩어리가 뇌혈관을 막아 발생하는 경색으로, 전형적인 혈전성 뇌경색과는 병태생리가 다릅니다. 그렇다면 이런 경우에도 일반 뇌경색처럼 항응고 치료를 해야 할까요? 오늘은 이 주제에 대해 최신 가이드라인과 임상 데이터를 바탕으로 알아보겠습니다. 🧠🩸1. Septic Emboli란 무엇인가요?Septic emboli는 감염된 심장 판막에서 떨어져 나온 세균과 혈전 혼합물이 혈류를 따라 이동해, 주로 뇌나 폐, 신장, 비장 등의 혈관을 막는 현상을 말합니다. 뇌혈관을 막게 되면 뇌경색이 발생하고, 때로는 뇌농양이나 출혈성 전환(h..

의학 지식 2025.04.18

Seizure vs. Shivering, 어떻게 구분할까?

중환자실(ICU)이나 응급 상황에서 환자가 불수의적 근육 운동(Involuntary movements)을 보이면, 이는 발작(Seizure)인지 오한(Shivering)인지 구별해야 합니다. 두 증상은 비슷해 보일 수 있지만, 원인과 치료법이 완전히 다르므로 빠르고 정확한 감별이 중요합니다.✅ Seizure(발작) vs. Shivering(오한) 비교 구분 Seizure (발작) Shivering (오한) 원인뇌의 비정상적 전기적 활성 증가체온 조절 과정에서 근육 떨림발생 기전뉴런의 과흥분으로 인해 전신 또는 국소적 경련 발생체온이 저하되거나 마취, 패혈증 등으로 인해 발생운동 형태리드미컬하고 강한 수축-이완 반복, 대개 대칭적잔떨림(tremor)처럼 보이며 불규칙적의식 상태일반적으로 의식 저하 or..

중환자의학 2025.03.18

전신 발작(경련) 시 양쪽 눈이 위로 향하는 이유

전신 발작(Generalized Seizure) 중 눈이 위로 향하는 현상(Upward Deviation of the Eyes) 은 많은 환자에게서 관찰됩니다. 이러한 현상은 뇌와 안구 운동을 조절하는 신경의 작용 때문입니다.1. 전신 발작이란? ⚡전신 발작은 뇌 전체에서 비정상적인 전기적 신호가 동시에 발생하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대표적인 전신 발작 종류강직-간대 발작(Tonic-Clonic Seizure, 대발작)결신 발작(Absence Seizure, 소발작)근간대 발작(Myoclonic Seizure)이 중 강직-간대 발작(Tonic-Clonic Seizure) 에서 눈이 위로 향하는 증상이 가장 흔하게 나타납니다.2. 왜 발작 시 눈이 위로 향할까? 👀🔹 1) 뇌간(Brainstem)의 ..

중환자의학 2025.03.10

파킨슨병 치료제의 부작용, 어떻게 관리할까?

파킨슨병 치료제는 도파민(Dopamine) 부족을 보충하거나 신경 기능을 조절하여 증상을 완화하는 역할을 합니다.하지만 장기 복용 시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약물 조정이 필요합니다.💡 그렇다면, 파킨슨병 약물별 주요 부작용과 관리 방법은 무엇일까요?이 글에서 대표적인 파킨슨병 치료제와 그 부작용을 정리해보겠습니다. 🚑✅ 1. 레보도파(Levodopa) + 카르비도파(Carbidopa)💊 대표 약물: 신셀레트(Sinemet), 마도파(Madopar), 스탈레보(Stalevo)🔹 가장 효과적인 1차 치료제🔹 뇌에서 도파민으로 변환되어 증상 완화🚨 주요 부작용 부작용  설명 관리 방법 운동 이상증(Dyskinesia)팔, 다리의 불수의적 움직임용량 조절, 아만타딘 추가약효 변동..

의학 지식 2025.03.06

파킨슨병 초기 증상, 어떻게 알아볼 수 있을까?

파킨슨병(Parkinson’s Disease)은 신경퇴행성 질환으로, 도파민(Dopamine) 신경세포의 손실로 인해 운동 및 비운동 증상이 점진적으로 나타납니다.이 질병은 보통 50~60대에 시작되지만, 초기 증상이 매우 미묘하여 쉽게 지나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파킨슨병의 초기 증상은 무엇일까요? 조기에 알아차리는 방법은?이 글에서 파킨슨병 초기 증상(운동 증상 & 비운동 증상)을 정리해보겠습니다. 🚑✅ 파킨슨병의 주요 초기 증상파킨슨병 초기에는 운동 증상과 비운동 증상이 함께 나타날 수 있습니다.하지만, 많은 경우 비운동 증상이 먼저 발생하며, 이후 운동 장애가 서서히 진행됩니다.🏃‍♂️ 1. 초기 운동 증상 (Motor Symptoms)파킨슨병 하면 흔히 떠올리는 손 떨림(진전) 외에도..

의학 지식 2025.03.06

파킨슨병, 치료가 가능할까?

파킨슨병(Parkinson’s Disease, PD)은 뇌의 신경세포가 점진적으로 퇴행하는 신경퇴행성 질환입니다.이 병은 떨림(진전), 근육 경직, 운동 느림(서동), 자세 불안정 등의 증상을 유발하며, 시간이 지날수록 악화됩니다.💡 그렇다면, 파킨슨병은 완치할 수 있을까요?현재로서는 완치(Cure)는 불가능하지만, 다양한 치료 방법을 통해 증상을 조절하고 삶의 질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이 글에서는 파킨슨병의 치료법(약물, 수술, 최신 연구 등)을 살펴보겠습니다. 🚑✅ 파킨슨병 치료 목표파킨슨병 치료의 핵심 목표는 다음과 같습니다.✔ 도파민(Dopamine) 부족을 보완하여 증상 완화✔ 운동 기능을 유지하고 삶의 질 개선✔ 질병 진행을 늦추고 합병증 예방💊 1. 약물 치료 (증상 완화 목적)파킨슨병..

의학 지식 2025.03.06

발작 후 일시적 마비, Todd's Palsy란?

발작(seizure) 후 환자가 일시적으로 한쪽 팔다리를 움직이지 못하는 증상을 보이는 경우가 있습니다.이것을 Todd's Palsy(토드 마비, Todd's Paralysis)라고 하며, 일반적으로 몇 분에서 몇 시간(드물게 1~2일) 후 자연적으로 회복됩니다.💡 그렇다면, Todd's Palsy는 왜 발생할까요? 뇌전증과 어떤 관련이 있을까요?✅ Todd's Palsy란?Todd's Palsy는 발작 후 일시적인 국소 신경학적 장애를 의미하며, 보통 **운동 마비(편마비)**로 나타나지만 감각 이상, 시각 장애 등도 동반될 수 있습니다.✔ 주로 부분발작(focal seizure) 후 발생✔ 한쪽 팔다리 또는 얼굴에 마비가 나타남✔ 일시적이며 몇 분~24시간 내 회복💡 즉, Todd's Palsy는..

의학 지식 2025.03.06

발작 치료에서 로라제팜(Lorazepam)을 가장 먼저 투여하는 이유

발작(seizure)은 신경 세포의 비정상적인 전기적 활동으로 인해 발생하는 증상으로, 빠른 치료가 필수적입니다.특히 지속적 발작 상태(Status Epilepticus, SE)에서는 신속한 약물 투여가 생명을 구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왜 발작의 초기 치료에서 로라제팜(Lorazepam)이 1차 선택약으로 권장될까요?이 글에서 로라제팜의 작용 기전, 다른 항경련제와의 비교, 임상적 장점을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로라제팜(Lorazepam)이란?로라제팜은 벤조디아제핀 계열(Benzodiazepine) 항경련제로, 발작을 신속하게 억제하는 효과가 있습니다.상품명: 아티반(Ativan)작용 기전: GABA_A 수용체를 활성화하여 신경 흥분을 억제용법: 정맥주사(IV)로 투여💡 즉, 로라제팜은 뇌에..

중환자의학 2025.03.06

입원 중인 환자가 발작을 일으켰을 때 해야 할 조치

1. 환자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보호하기 🛡️✔️ 환자를 바닥에 눕히고 주변 위험 물건을 치운다.침대에서 떨어질 위험이 있으면 바닥에 보호 패드(쿠션, 담요 등)를 깐다.침대 난간이 있다면 낙상을 방지하기 위해 올린다.머리를 보호할 수 있도록 부드러운 물건을 대준다.✔️ 환자의 자세를 ‘옆으로 돌려준다’ (기도 확보)의식이 없을 경우, 옆으로 돌려 타액이나 구토물이 기도로 들어가지 않게 한다.입안의 이물질(음식, 구토물)이 있다면 제거하되, 억지로 손을 넣지 않는다.✔️ 환자를 억지로 제압하거나 잡지 않는다.발작을 멈추려고 억지로 팔다리를 잡거나 흔들면 근육 손상 위험이 있음.단, 낙상, 부딪힘 위험이 있는 경우 조심스럽게 보호한다.2. 즉시 의료진에게 알리기 📢✅ 발작이 시작된 시간을 기록한다.발작이..

의학 지식 2025.03.05

뇌출혈 시 사용하는 니모디핀(Nimodipine)

니모디핀(Nimodipine)은 칼슘채널 차단제(Calcium Channel Blocker, CCB) 중에서도 제2형 DHP 계열에 속하는 약물로, 뇌혈관 선택성이 높아 지주막하출혈(SAH, Subarachnoid Hemorrhage) 후 혈관연축(Vasospasm) 예방 및 치료에 사용됩니다.🏥 1. 니모디핀의 작용 기전 (Mechanism of Action)✅ 칼슘채널 차단제(CCB) 중에서도 뇌혈관에 선택적으로 작용✅ 뇌혈관 평활근 이완 → 혈류 증가 → 뇌허혈 예방✅ 혈관연축(Vasospasm) 예방 → SAH 후 2차 신경손상 방지✅ 혈압 강하 효과가 있지만, 말초 혈관에 대한 작용은 적음🧠 뇌출혈 후 혈관연축이란?지주막하출혈(SAH)이 발생하면, 출혈로 인한 혈액 분해산물이 뇌혈관을 수축시..

중환자의학 2025.02.2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