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모디핀(Nimodipine)은 칼슘채널 차단제(Calcium Channel Blocker, CCB) 중에서도 제2형 DHP 계열에 속하는 약물로, 뇌혈관 선택성이 높아 지주막하출혈(SAH, Subarachnoid Hemorrhage) 후 혈관연축(Vasospasm) 예방 및 치료에 사용됩니다.
🏥 1. 니모디핀의 작용 기전 (Mechanism of Action)
✅ 칼슘채널 차단제(CCB) 중에서도 뇌혈관에 선택적으로 작용
✅ 뇌혈관 평활근 이완 → 혈류 증가 → 뇌허혈 예방
✅ 혈관연축(Vasospasm) 예방 → SAH 후 2차 신경손상 방지
✅ 혈압 강하 효과가 있지만, 말초 혈관에 대한 작용은 적음
🧠 뇌출혈 후 혈관연축이란?
- 지주막하출혈(SAH)이 발생하면, 출혈로 인한 혈액 분해산물이 뇌혈관을 수축시키면서 뇌허혈(ischemia)을 유발할 수 있음.
- 혈관연축이 심해지면 뇌경색이 발생할 수 있어, 이를 예방하기 위해 니모디핀을 사용함.
💊 2. 니모디핀의 적응증 (Indications)
✅ 지주막하출혈(SAH) 후 혈관연축 예방 및 치료 (FDA 승인)
✅ 뇌허혈(Ischemic Stroke) 예방 (Off-label, 제한적 사용)
✅ 외상성 뇌손상(Traumatic Brain Injury, TBI) 후 신경보호 효과 (연구 진행 중)
⚠️ 주의:
- 일반적인 고혈압 치료에는 사용하지 않음
- 급성 허혈성 뇌졸중(Acute Ischemic Stroke)에서는 뇌부종 위험 때문에 사용 제한적
📌 3. 니모디핀의 투여 방법 (Dosage & Administration)
투여 경로 | 용량 | 투여 기간 |
경구(PO) 투여 | 60mg 6시간마다 (하루 4회) | SAH 발생 후 21일간 지속 |
위장관 튜브 투여(NG tube) | 60mg 6시간마다 | 경구 복용 불가능한 환자 |
정맥주사(IV) (일부 국가에서 사용 가능) | 1mg/hr IV (저혈압 주의) | 필요 시 조절 |
✅ 경구 투여가 원칙이며, 연하곤란이 있는 경우 NG 튜브로 투여 가능
✅ IV 투여는 저혈압 위험이 높아 일부 국가에서만 허용됨
⚠️ 4. 니모디핀의 금기사항 및 부작용
❌ 금기사항 (Contraindications)
- 심한 저혈압(Hypotension, SBP < 90mmHg)
- 니모디핀 또는 다른 DHP 계열 CCB(암로디핀, 니페디핀 등) 과민반응
- 급성 심부전(Heart failure) 환자 (혈압 저하 위험)
⚠️ 부작용 (Side Effects)
부작용 | 설명 |
저혈압(Hypotension) | 가장 흔한 부작용 (IV 투여 시 더 위험) |
반사성 빈맥(Reflex tachycardia) | 혈압 강하로 인한 보상 작용 |
어지러움, 두통(Dizziness, Headache) | 혈관 확장 효과로 인한 증상 |
위장관 장애 (Nausea, Diarrhea) | 경구제 복용 시 발생 가능 |
✅ 저혈압을 피하기 위해 혈압을 주의 깊게 모니터링해야 함
✅ SAH 환자에서 SBP < 90mmHg로 떨어지면 중단 고려
🏥 5. 니모디핀 사용 시 고려해야 할 점
✅ SAH 발생 후 4일 이내에 투여 시작 → 최대 21일까지 유지
✅ 혈압이 너무 낮아지면 감량(30mg q6h) 또는 중단 고려
✅ 급성기에는 고혈압 유지가 필요하므로 과도한 혈압 강하를 피해야 함
✅ 경구 투여가 원칙이며, IV 사용은 제한적
🧐 6. Q&A
Q1. 니모디핀은 모든 뇌출혈에서 사용되나요?
✅ 아니요. 지주막하출혈(SAH) 후 혈관연축 예방을 위해 사용되며, 일반적인 뇌내출혈(ICH)에서는 사용하지 않음.
Q2. 왜 니모디핀은 SAH 후 반드시 투여해야 하나요?
✅ SAH 후 혈관연축으로 인한 뇌허혈을 예방하여 2차 신경손상을 막기 위해 투여함.
Q3. 니모디핀 IV 제형은 사용할 수 있나요?
✅ 일부 국가에서 사용 가능하지만, 저혈압 위험이 커서 경구 또는 NG 튜브 투여가 원칙.
Q4. 니모디핀과 니카르디핀(Nicardipine)의 차이점은?
✅ 니모디핀 → 뇌혈관 선택성이 높아 SAH 후 혈관연축 예방에 사용됨.
✅ 니카르디핀 → 전신 혈압 조절 효과가 강해 고혈압 관리(특히 뇌졸중 환자에서)에 사용됨.
Q5. 니모디핀 복용 중 혈압이 너무 낮아지면 어떻게 하나요?
✅ 30mg q6h로 감량하거나, SBP < 90mmHg이면 중단 고려.
'중환자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환자실에서 사용하는 승압제(혈압 상승제) 및 강심제(심장 수축력 강화제) (0) | 2025.02.27 |
---|---|
신경이완제 악성 증후군(Neuroleptic Malignant Syndrome, NMS) (1) | 2025.02.26 |
Zerbaxa(저박사)와 Zavicefta(자비셉타)의 공통점과 차이점, 적응증 (0) | 2025.02.26 |
비정형 폐렴균과 Procalcitonin(PCT) 상승 여부 (0) | 2025.02.25 |
폐렴에서 레보플록사신(Levofloxacin) vs. 목시플록사신(Moxifloxacin) 비교 (0) | 2025.02.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