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환자의학

뇌손상 후 발생하는 Myoclonic Seizure, 어떻게 치료해야 할까?

비비닥 2025. 3. 26. 06:06
반응형

뇌손상 이후 환자에게 갑작스러운 근육 수축이나 경련이 반복적으로 나타난다면, myoclonic seizure(간대성 발작)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특히 저산소성 뇌손상(hypoxic brain injury)이나 외상성 뇌손상 이후에 흔히 관찰되는 증상 중 하나로, 치료 및 예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이런 뇌손상 후 myoclonic seizure의 적절한 치료는 무엇일까요?

뇌손상 후 발생하는 Myoclonic Seizure, 어떻게 치료해야 할까?


Myoclonic Seizure란 무엇인가요? 🧐

Myoclonic seizure는 "짧고 급격한 근육 수축"으로 나타나는 간헐적인 경련성 움직임입니다. 전신 또는 일부 근육에서 발생하며, 의식 소실이 동반되기도 하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특히 급성 뇌손상 후 나타나는 myoclonus는 대부분 다음의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1. Post-hypoxic myoclonus (Lance-Adams syndrome): 심정지 후 저산소성 뇌손상 이후 발생
  2. Acute myoclonic status epilepticus: 뇌손상 직후 지속적인 간대성 발작

뇌손상 후 myoclonic seizure의 치료 원칙 🏥

1. 정확한 감별 진단이 중요해요

모든 myoclonic movement가 간질(seizure)은 아닙니다. 뇌병변이나 대사성 원인으로 유사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EEG(뇌파검사)를 통해 발작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 EEG 상 generalized polyspike discharges가 관찰되면 myoclonic seizure로 판단
  • 대사성 뇌병증에서는 비간질성 myoclonus가 있을 수 있으므로 주의 필요

주요 치료 약물 💊

약물명 작용 기전 특징 및 용도
Levetiracetam (Keppra) SV2A 단백질 억제 간대성 발작 1차 선택지, 부작용 적음
Valproic Acid GABA 농도 증가 전신 간질 및 myoclonic seizure에 효과적
Clonazepam 벤조디아제핀 계열 급성 조절용, 지속적 사용은 진정 작용 주의
Zonisamide, Piracetam 다양한 작용 난치성 myoclonus에 보조요법으로 사용 가능

어떤 약을 언제 써야 할까?

  • 급성기 (ICU 또는 심정지 후)
    ▶ Midazolam, Propofol 등으로 status 조절
    ▶ Levetiracetam 또는 Valproate 병용 고려
  • 지속적인 만성 myoclonus
    ▶ Levetiracetam 또는 Valproate 유지 치료
    ▶ Clonazepam은 필요시 보조적으로 사용

치료 반응과 예후 🌅

  • Lance-Adams syndrome의 경우, 의식 회복 이후 간대성 발작이 나타나는 경우로, 치료에 잘 반응하며 예후도 상대적으로 좋습니다.
  • 반면, EEG 상 burst-suppression 패턴과 함께하는 지속적인 myoclonic status epilepticus는 예후가 매우 나쁜 편입니다 (사망률 높음).
  • 따라서 적절한 초기 진단과 빠른 치료 개입이 매우 중요합니다.

심정지 후 ROSC(Return of Spontaneous Circulation)에 성공한 60대 남성 환자에서, 하루 뒤 전신성 간대성 발작이 관찰되었고 EEG 상 generalized polyspike 패턴이 확인되었습니다. 초기에는 Midazolam으로 발작을 조절하고, 이후 Levetiracetam과 Valproic acid 병합 요법으로 유지하였습니다. 시간이 지나며 발작 빈도는 줄었고, 의식도 서서히 회복되는 양상을 보여 예후가 좋았습니다.

 


Q&A – 자주 묻는 질문 💬

Q1. 뇌손상 후 모든 myoclonus가 간질인가요?
A1. 아닙니다. EEG로 간질성 여부를 꼭 감별해야 합니다.

Q2. Levetiracetam이 1차 선택인 이유는요?
A2. 뇌 손상 환자에서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고, 부작용이 적으며 약물 상호작용이 거의 없습니다.

Q3. 벤조디아제핀을 오래 써도 되나요?
A3. 급성기에는 효과적이지만, 장기 사용 시 진정 작용과 의존성 문제로 가급적 단기간 사용이 권장됩니다.

Q4. 예후는 발작 조절 여부에 따라 결정되나요?
A4. 그렇습니다. 특히 의식 회복 여부와 EEG 패턴이 예후를 크게 좌우합니다.

Q5. 뇌파 검사 없이 치료를 시작해도 되나요?
A5. 급성기 응급 상황에서는 EEG 전에 치료를 시작할 수 있지만, 가능한 한 빨리 EEG를 통해 확인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