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환자의학

패혈성 쇼크 환자의 기관삽관 시 약물 선택 가이드

비비닥 2025. 3. 24. 02:35
반응형

패혈성 쇼크(septic shock)는 감염으로 인해 전신 염증 반응과 혈관 확장, 모세혈관 누출이 발생하면서 심각한 저혈압과 장기 부전이 동반되는 응급 상황입니다. 이러한 환자에게 기관삽관(intubation)을 시행할 때는, 단순한 기도 확보를 넘어, 혈역학적 안정성 유지가 핵심 과제입니다. 잘못된 약물 선택은 삽관 직후 심정지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매우 신중해야 합니다.

이 글에서는 패혈성 쇼크 상태의 기관삽관 시 사용할 수 있는 약물들을 단계별로 정리해드립니다 💊

패혈성 쇼크 환자의 기관삽관 시 약물 선택 가이드

 


✅ 단계별 약물 사용 전략

1️⃣ 전처치 약물 (Pre-treatment Agents)

패혈성 쇼크 환자의 경우, 전처치 약물은 선택적으로 사용됩니다. 다만 과도한 진통제나 심장 억제 약물은 저혈압을 악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용량 조절이 필수입니다.

약물명 용량 효과 주의사항
펜타닐 (Fentanyl) 1~2 mcg/kg IV 삽관 시 교감신경 반응 완화 과용 시 저혈압 위험
리도카인 (Lidocaine) 사용 드묾 ICP 증가 억제 목적으로 제한적 사용 쇼크 상태에선 보통 사용 안 함
아트로핀 (Atropine) 소아에서 선택적 사용 서맥 예방 성인 쇼크 환자에서는 일반적이지 않음

📌 대부분의 경우, 전처치는 생략하거나 저용량 펜타닐만 신중하게 사용합니다.


2️⃣ 유도제 (Induction Agents)

패혈성 쇼크에서는 유도제 선택이 매우 중요합니다. 이 약물로 인해 환자의 혈압이 급격히 떨어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약물명 용량 장점 단점
케타민 (Ketamine) 1~2 mg/kg IV 심혈관 자극 → 혈압 유지 ICP 증가 가능성 (드묾)
에토미데이트 (Etomidate) 0.3 mg/kg IV 심혈관 안정성, 빠른 작용 부신 억제 가능성
프로포폴 (Propofol) 1~2.5 mg/kg IV 진정력 강함 심한 저혈압 유발 → 금기
미다졸람 (Midazolam) ⚠️ 0.1~0.3 mg/kg IV 항불안, 진정 작용 느림, 저혈압 유발 가능성 있음

🟡 최선의 선택:

  • 케타민: 쇼크 상태에서 혈압 유지를 도와주는 유일한 유도제
  • 에토미데이트: 단회 사용 시 부신 억제 위험은 낮아 응급 상황에 사용 가능 (Lancet, 2022)

3️⃣ 근이완제 (Paralytics)

근이완제는 삽관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필수 단계입니다. 쇼크 상태에서는 작용 시간과 금기를 고려한 선택이 필요합니다.

약물명 용량 작용시간 특징
석시닐콜린 (Succinylcholine) 1~1.5 mg/kg IV 30~60초 빠른 작용, 금기 많음
로쿠로늄 (Rocuronium) 0.6~1.2 mg/kg IV 60~90초 금기 적음, 쇼크 환자에 안전

💡 로쿠로늄은 대체로 안전하며, 석시닐콜린은 고칼륨혈증, 신장질환이 있을 경우 금기입니다.


💊 패혈성 쇼크 환자 RSI 약물 예시 조합

 

Fentanyl (저용량) → Ketamine (1~2 mg/kg) → Rocuronium (1.2 mg/kg)
또는
Etomidate → Rocuronium

 

 

이 조합은 환자의 혈압을 안정시키면서, 빠르고 안전한 삽관이 가능합니다.


❓자주 묻는 질문 (Q&A)

Q1. 케타민은 쇼크 환자에게 정말 안전한가요?
A1. 네. 케타민은 교감신경을 자극하여 심박수와 혈압을 증가시킬 수 있어, 패혈성 쇼크 환자에게 매우 적합한 약물입니다.

Q2. 에토미데이트의 부신 억제가 위험하지 않나요?
A2. 반복 투여는 위험하지만, RSI 시 단회 투여는 대부분 안전합니다. 패혈증 관련 논문에서도 응급 삽관에 사용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Q3. 프로포폴은 정말 사용하면 안 되나요?
A3. 쇼크 상태에서는 금기입니다. 혈관 확장과 심근 억제를 유발해, 치명적인 저혈압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Q4. 근이완제는 무조건 써야 하나요?
A4. 빠르고 안전한 삽관을 위해 RSI 프로토콜에서는 필수입니다. 단, 근이완제 사용 전 환자의 산소포화도 확보가 중요합니다.

Q5. 혈압이 너무 낮은 환자는 어떻게 하나요?
A5. 삽관 전 혈압 보존을 위해 수액, 혈관수축제(노르에피네프린 등)로 먼저 안정화시키고, 케타민 + 로쿠로늄 조합을 사용합니다.


🏷️ 추천 태그

패혈성쇼크, 기관삽관, 케타민, RSI, 응급의학, 혈압저하, 쇼크환자약물, 로쿠로늄, 에토미데이트, 중환자의학


📌 제목 제안

  1. "패혈성 쇼크 환자, 안전한 기관삽관을 위한 약물 선택 가이드"
  2. "쇼크 환자 삽관 시 필수 지침: 약물 조합 이렇게 하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