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환자의학

고장성 식염수 & 만니톨 사용 시 두개내압(ICP) 조절을 위한 삼투압(osmolality) 모니터링 방법

비비닥 2025. 3. 22. 12:38
반응형

고장성 식염수(Hypertonic Saline, HTS) 및 만니톨(Mannitol)은 두개내압(ICP) 상승 치료에 효과적이지만, 과도한 삼투압 증가로 인한 부작용(신부전, 전해질 이상, 탈수 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혈장 삼투압(serum osmolality, Osm)과 혈청 나트륨(Na+)을 정기적으로 모니터링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고장성 식염수 및 만니톨 사용 시 삼투압 모니터링 방법과 주의사항을 정리하겠습니다.

고장성 식염수 & 만니톨 사용 시 두개내압(ICP) 조절을 위한 삼투압(osmolality) 모니터링 방법


1. 혈장 삼투압(Serum Osmolality, Osm) 정상 범위

지표 정상 범위
혈장 삼투압 (Serum Osmolality, Osm) 275~295 mOsm/kg
혈청 나트륨 (Na⁺) 135~145 mEq/L

📌 ICP 치료 시 목표 혈장 삼투압:

  • 만니톨 치료 시: 300~320 mOsm/kg
  • 고장성 식염수 치료 시: Na⁺ 145~155 mEq/L 유지

📌 Osm > 320 mOsm/kg 또는 Na⁺ > 160 mEq/L → 치료 조절 필요


2. 삼투압 계산 공식

🔹 공식 1: 혈장 삼투압(Serum Osmolality) 계산
[\text{Osm (mOsm/kg)} = (2 \times \text{Na⁺}) + \frac{\text{BUN}}{2.8} + \frac{\text{Glucose}}{18}]

예시:

  • Na⁺ = 150 mEq/L, BUN = 20 mg/dL, Glucose = 100 mg/dL
    [(2 \times 150) + \frac{20}{2.8} + \frac{100}{18} = 307.1 , \text{mOsm/kg}]

📌 Na⁺ 수치가 삼투압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침
📌 만니톨 사용 시 직접 측정한 삼투압(실제 measured Osm)과 계산된 삼투압을 비교해야 함

🔹 공식 2: Osmolar Gap 계산 (만니톨 모니터링)
[\text{Osmolar Gap} = \text{Measured Osm} - \text{Calculated Osm}]

📌 Osmolar Gap > 10~15 mOsm/kg만니톨 축적 가능성, 용량 조절 고려


3. 만니톨 사용 시 삼투압 모니터링 방법

1) 혈장 삼투압 300~320 mOsm/kg 유지

  • Osm > 320 mOsm/kg → 만니톨 감량 또는 중단 고려
  • 신부전 위험이 있는 환자는 320 mOsm/kg 미만 유지 필요

2) Osmolar Gap 확인 (만니톨 축적 평가)

  • Osmolar Gap > 15 mOsm/kg이면 만니톨 축적 가능성 증가
  • 신장 기능 저하 시 만니톨 배설 지연 가능

3) 전해질 및 체액 상태 모니터링

  • Na⁺, K⁺, BUN/Cr, 혈압(Hypotension 주의)
  • 탈수 위험 시 수액 보충(NS or LR) 고려

4) 모니터링 빈도

  • 초기: 4~6시간마다
  • 안정적일 경우: 12~24시간마다

4. 고장성 식염수(HTS) 사용 시 삼투압 모니터링 방법

1) 혈청 Na⁺ 목표: 145~155 mEq/L

  • Na⁺ > 160 mEq/L → 속도 조절 필요

2) 혈장 삼투압 목표: 300~320 mOsm/kg

  • Na⁺ 상승 속도 10~12 mEq/L/day 이하 유지 (급격한 교정 시 삼투성 탈수초화증(ODS) 위험)

3) 신부전 및 체액 과부하 모니터링

  • 체액 과부하(부종, 폐부종) 발생 시 속도 조절
  • 심부전 환자는 중심정맥압(CVP) 확인 필요

4) 모니터링 빈도

  • 초기: 2~4시간마다 혈청 Na⁺ 체크
  • 안정적일 경우: 12시간마다

5. 모니터링 요약 및 치료 조절 기준

항목 만니톨 고장성 식염수
목표 삼투압 300~320 mOsm/kg 300~320 mOsm/kg
목표 Na⁺ 135~150 mEq/L 145~155 mEq/L
Osmolar Gap < 10~15 mOsm/kg -
모니터링 빈도 4~6시간마다 2~4시간마다
중단 기준 Osm > 320, 신부전 Na⁺ > 160, 체액 과부하

📌 신부전, 전해질 이상 발생 시 조기 감량 필요!


6. 결론

1️⃣ 만니톨 사용 시:

  • 혈장 삼투압 320 mOsm/kg 이하 유지
  • Osmolar Gap > 15 mOsm/kg이면 용량 조절 필요
  • 신부전 환자에서는 사용 주의

2️⃣ 고장성 식염수 사용 시:

  • 혈청 Na⁺ 145~155 mEq/L 유지
  • Na⁺ 증가 속도 10~12 mEq/L/day 초과 금지
  • 체액 과부하 및 고나트륨혈증 감시 필수

📌 ICP 치료 중 혈장 삼투압과 혈청 Na⁺을 정기적으로 모니터링하여 부작용을 예방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