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환자의학

뇌간 손상 시 동공이 확장되는 이유

by 비비닥 2025. 3. 22.

뇌간(Brainstem)은 생명 유지와 직결된 중요한 부위로, 동공의 크기와 빛 반사를 조절하는 신경이 이곳을 지나갑니니다. 특히 뇌간 손상 시 동공이 확장(동공산대, Pupillary dilation)되는 증상이 흔히 나타나는데, 이번 글에서는 그 원인을 알기 쉽게 설명하겠습니다. 🧠👁️

뇌간 손상 시 동공이 확장되는 이유


1. 뇌간(Brainstem)의 역할과 동공 조절

뇌간은 중뇌(Midbrain), 교뇌(Pons), 연수(Medulla oblongata)로 구성되며, 이 중에서도 중뇌(Midbrain)에 위치한 동안신경(제3뇌신경, Oculomotor Nerve, CN III)동공 크기와 빛 반사를 조절합니다.

동안신경(제3뇌신경, CN III)

  • 동안신경에는 부교감신경 섬유가 포함되어 있어, 동공 괄약근을 지배합니다.
  • 부교감신경이 자극되면 동공이 축소(miosis)되며, 억제되면 동공이 확장(mydriasis)됩니다.

즉, 뇌간에서 특히 중뇌가 손상되면 동안신경과 관련된 부교감신경이 압박을 받아 기능이 저하됩니다.


2. 뇌간 손상 시 동공이 열리는 기전

핵심 원리: 부교감신경 손상 → 동공 확장

뇌간 손상(특히 중뇌의 손상)으로 인해 다음과 같은 과정이 발생합니다.

  1. 동안신경 압박 (제3뇌신경, CN III)
    • 뇌부종(brain edema)이나 뇌 탈출(uncal herniation)이 발생하면 중뇌의 동안신경이 압박받습니다.
  2. 부교감신경 자극 차단
    • 동공을 축소시키는 신호가 차단되어 동공 괄약근(sphincter pupillae muscle)이 마비됩니다.
  3. 교감신경 우세
    • 부교감신경이 차단되면서 교감신경(sympathetic nerve)이 우세해져 동공 산대(mydriasis)가 일어납니다.

📌 간단히 말해, 부교감신경 손상 → 교감신경 활성 증가 → 동공이 확장되는 것입니다.


3. 임상적으로 나타나는 동공 변화의 의미 👀

동공 변화 의미 및 예후
동공 부등(Anisocoria) 한쪽 뇌간 압박 가능성 (초기 뇌 탈출)
양측 동공 확장(Bilateral dilated pupils) 중뇌 심한 손상, 매우 나쁜 예후
동공 무반응(Fixed, dilated pupils) 심각한 뇌간 손상 (사망에 가까운 상태)

📌 양측 동공 확장 및 무반응은 뇌간의 심각한 손상을 나타내며, 예후가 매우 나쁩니다.


4. 뇌간 손상 시 응급처치 및 주의사항 🚨

동공 변화 발생 시 즉시 시행할 조치

  • 즉각적인 두개내압(ICP) 감소 치료 시작:
    • 만니톨(Mannitol) 투여
    • 고장성 식염수(Hypertonic saline) 투여
    • 응급 수술적 개입(감압술, Craniectomy)

지속적인 동공 모니터링

  • 응급 상황에서는 30분~1시간마다 동공 크기와 빛 반응을 확인합니다.
  • 동공 확장이 심화되면 즉시 의료진에게 알리고 추가적 개입 필요합니다.

5. 자주 묻는 질문 (Q&A)

Q1. 뇌간 손상 시 동공이 반드시 열리나요?
A1. 심각한 중뇌 손상 시 대부분 동공이 확장됩니다. 하지만 손상 부위와 정도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Q2. 한쪽 동공만 커지면 무엇을 의미하나요?
A2. 한쪽 동공만 확장(동공 부등)이 나타나면 측두엽(uncal) 탈출 초기 단계로, 즉각적인 처치가 필요합니다.

Q3. 뇌간 손상 시 동공이 작아질 수도 있나요?
A3. 일부 교뇌(Pons) 손상 시 pinpoint pupil(매우 작은 동공)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Q3. 동공이 열린 상태에서도 회복 가능한가요?
A3. 동공 확장 초기, 빠른 처치로 회복될 수 있지만, 오래 지속되면 예후가 불량합니다.

Q4. 동공이 열린 환자는 의식 회복이 어려운가요?
A4. 동공 확장 및 반응 소실이 오래 지속되면 의식 회복이 어렵습니다.

Q5. 동공 변화를 모니터링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A5. 동공 변화는 뇌 상태 변화의 가장 빠르고 신뢰성 높은 지표이며, 치료 결정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