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산소성 뇌손상(Hypoxic Brain Injury)은 뇌로 가는 산소 공급이 감소하여 신경세포가 손상되는 상태입니다. 심한 경우, 뇌부종이 발생하면서 두개내압(ICP, Intracranial Pressure)이 증가하고, 최악의 경우 뇌 탈출(Brain Herniation)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뇌 탈출이 진행되면 뇌간(Brainstem)이 압박되어 의식 저하, 호흡 이상, 심혈관 기능 이상 등의 심각한 신경학적 징후가 나타납니다. 이 글에서는 저산소성 뇌손상 환자에서 뇌 탈출 발생 시 나타나는 주요 징후를 정리하겠습니다.
1. 뇌 탈출(Herniation)의 종류와 특징
뇌 탈출은 뇌 조직이 정상적인 해부학적 위치에서 밀려나면서 발생하며, 유형에 따라 증상이 다르게 나타납니다.
유형 | 특징적인 증상 |
---|---|
대뇌낫 아래 탈출 (Subfalcine Herniation) | 한쪽 뇌에서 반대쪽으로 밀림 → 편측 근력 약화, 무반응 |
측두엽 텐토리얼 탈출 (Uncal Herniation) | 동측 동안신경(Ⅲ) 압박 → 동공 확장(Anisocoria), 반응 소실, 반대측 마비 |
상행성 천막 탈출 (Ascending Transtentorial Herniation) | 중뇌 압박 → 의식 저하, 이상 호흡 패턴 |
하행성 천막 탈출 (Descending Transtentorial Herniation) | 대뇌에서 소뇌로 압박 → 혼수, 사지 경직, 생명 유지 기능 이상 |
소뇌 편도 탈출 (Tonsillar Herniation) | 뇌간 압박 → 심박수 저하, 무호흡, 사망 위험 |
📌 측두엽(Uncal) 탈출과 소뇌 편도(Tonsillar) 탈출이 가장 치명적입니다.
2. 뇌 탈출 발생 시 주요 신경학적 징후
✅ 1) 의식 변화 (Altered Consciousness)
- 점진적인 의식 저하 → 졸음, 반응 저하, 혼수(Coma) 진행
- GCS(Glasgow Coma Scale) 점수 감소
- 말이 느려지고, 반응 속도가 느려짐
📌 GCS < 8이면 기도 삽관을 고려해야 합니다.
✅ 2) 동공 변화 (Pupillary Changes) - 뇌탈출의 주요 지표
- 동안신경(Ⅲ) 압박 → 한쪽 동공이 확장(Anisocoria, 동공 부등) & 광반사 소실
- 양측성 미동공(pinpoint pupils) → 뇌간 기능 저하 또는 Pons 손상 가능성
- 양측성 동공 확장 & 무반응 → 뇌간 압박이 심각한 단계
📌 동공 반사 소실은 뇌 탈출 진행을 의미하며, 즉각적인 치료가 필요합니다.
✅ 3) 운동 반응 변화 (Motor Dysfunction)
- 한쪽 또는 양쪽 마비(Hemiparesis, Quadriparesis)
- 비정상적인 자세 반응
- 제뇌 강직(Decerebrate Posturing, 팔과 다리가 신전 상태) → 중뇌 압박
- 제피질 강직(Decorticate Posturing, 팔이 굽혀지고 다리는 신전 상태) → 대뇌 피질 손상
📌 제뇌 강직(Decerebrate)이 더 심각한 예후를 의미합니다.
✅ 4) Cushing’s Triad (쿠싱 반응) - 두개내압 상승 징후
뇌 탈출이 진행되면 뇌간의 압박으로 인해 자율신경계 이상이 발생하며, 쿠싱 반응(Cushing’s Triad)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쿠싱 반응 3가지 특징:
- 고혈압 (Hypertension) - 수축기 혈압 증가
- 서맥 (Bradycardia) - 심박수 감소
- 불규칙한 호흡 (Irregular Respiration) - 체인스토크 호흡(Cheyne-Stokes Breathing)
📌 쿠싱 반응이 나타나면 즉시 ICP 감소 치료가 필요합니다.
✅ 5) 호흡 패턴 변화 (Abnormal Respirations)
뇌 탈출로 인해 호흡 조절 중추가 손상되면 비정상적인 호흡 패턴이 나타납니다.
호흡 패턴 | 원인 |
---|---|
체인스토크 호흡 (Cheyne-Stokes) | 대뇌 손상 |
중심성 신경성 과호흡 (Central Neurogenic Hyperventilation) | 중뇌 손상 |
무호흡 (Apnea) | 연수(Medulla) 손상 |
📌 호흡 이상이 심하면 기도 삽관 및 기계 환기가 필요합니다.
3. 뇌 탈출 발생 시 응급 치료 🚨
✅ 1) 두개내압(ICP) 감소 치료
- 만니톨(Mannitol) 0.5~1g/kg IV 또는 고장성 식염수(Hypertonic Saline) 3% IV
- 과호흡(Hyperventilation, 목표 PaCO₂ 30~35 mmHg)
- 두부 상승(30~45도)
✅ 2) 수술적 치료 (Neurosurgical Intervention)
- 뇌 감압술(Decompressive Craniectomy) 고려
- CSF 배액(EVD, External Ventricular Drain) 사용 가능
✅ 3) 기도 및 호흡 유지
- GCS ≤ 8 → 기도 삽관(Intubation) 및 기계 환기(Ventilation) 필요
✅ 4) 혈역학적 안정화
- 저혈압 방지 → 정맥 수액(NS, LR) 및 혈압 유지 약물 사용 가능
- 쿠싱 반응 발생 시 ICP 조절이 우선
4. 요약: 뇌 탈출의 주요 징후 🚨
- 의식 저하 (혼수, 반응 저하)
- 동공 변화 (동공 부등, 확장, 반응 소실)
- 비정상적인 자세 반응 (제뇌/제피질 강직)
- Cushing’s Triad (고혈압, 서맥, 불규칙한 호흡)
- 호흡 이상 (체인스토크 호흡, 무호흡)
📌 이러한 징후가 보이면 즉시 ICP 감소 치료 및 신경외과적 개입이 필요합니다.
'중환자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두개내압(ICP) 조절을 위한 약물 총정리 (0) | 2025.03.22 |
---|---|
뇌간 손상 시 동공이 확장되는 이유 (0) | 2025.03.22 |
중환자실에서 이미프라민(Imipramine)은 언제 사용할까? (0) | 2025.03.22 |
중추성 요붕증 치료 약물 및 데스모프레신(Desmopressin) 투여 방법 (0) | 2025.03.22 |
뇌 탈출로 인한 뇌하수체 줄기 압박과 요붕증 치료 (0) | 2025.03.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