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두개내압(Intracranial Pressure, ICP) 상승은 뇌출혈, 뇌부종, 외상성 뇌손상(TBI) 등에서 발생하며, 즉각적인 치료가 필요합니다. ICP가 20mmHg 이상으로 지속되면 뇌 탈출(herniation) 위험이 증가하여 사망률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ICP를 조절하는 주요 약물과 기전, 사용법, 주의사항을 정리하겠습니다.

1. 삼투성 이뇨제 (Osmotic Diuretics)
✅ 1) 만니톨(Mannitol)
📌 가장 널리 사용되는 ICP 감소 약물
특징 | 설명 |
---|---|
작용 기전 | 삼투압을 증가시켜 혈관 내로 수분 이동 → 뇌부종 감소 |
용량 | 0.25 |
효과 발현 | 15~30분 내 |
지속 시간 | 4~6시간 |
부작용 | 저혈압, 탈수, 전해질 불균형, 급성 신부전 |
📌 투여 후 혈장 삼투압(>320 mOsm/kg) 및 신기능 모니터링 필수!
📌 신부전 환자에서는 사용 주의!
✅ 2) 고장성 식염수(Hypertonic Saline, HTS)
📌 저혈압이 있는 ICP 상승 환자에서 선호됨
농도 | 사용법 |
---|---|
3% NaCl | 250 |
7.5% NaCl | 1~2mL/kg IV bolus |
23.4% NaCl | 30mL IV slow push (중증 ICP 상승 시) |
💡 주요 차이점:
- 만니톨은 혈압을 낮출 수 있음 → 저혈압 환자에서는 HTS가 더 적합
- HTS는 세포외액 증가로 혈류 유지 효과가 있음
📌 투여 후 혈장 Na+ 및 삼투압 모니터링 필수 (Na+ > 160 mEq/L 주의)!
2. 혈관확장제 및 항고혈압제 (Vasodilators & Antihypertensives)
ICP 상승 시 적절한 혈압 조절(목표 MAP: 70-90mmHg)이 중요합니다.
✅ 1) 라베탈롤(Labetalol)
- 알파(α) & 베타(β) 차단제 → 혈압 조절 + 뇌혈류 감소
- 용량: 10~20mg IV bolus, 필요 시 반복
- 장점: ICP 상승 없이 혈압 감소 가능
✅ 2) 니카르디핀(Nicardipine)
- 칼슘채널 차단제(CCB) → 뇌혈관 확장 & 혈압 감소
- 용량: 5mg/hr IV 시작 → 15mg/hr까지 증량 가능
- 장점: 세밀한 혈압 조절 가능
📌 혈압을 너무 낮추면 뇌관류압(CPP) 감소로 뇌허혈 위험 증가! (MAP 65mmHg 이하 주의!)
3. 진정제 및 마취제 (Sedatives & Anesthetics)
ICP 상승 시 불안, 통증, agitation을 억제하여 뇌 대사율 감소 및 산소 요구량 줄이는 것이 중요함.
✅ 1) 프로포폴(Propofol)
- ICP 감소 효과가 빠른 정맥마취제
- 용량: 20~50 mcg/kg/min IV 지속 주입
- 장점: 뇌 대사율(CMR) 감소 → ICP 감소
- 주의: 과량 사용 시 저혈압, 프로포폴 주입 증후군(PRIS) 발생 가능
✅ 2) 미다졸람(Midazolam)
- 벤조디아제핀 계열 진정제 → 불안 및 agitation 조절
- 용량: 0.05~0.2 mg/kg/hr IV 주입
- 주의: 호흡 억제 위험 → 기계 환기 필요
✅ 3) 데스메톰이딘(Dexmedetomidine)
- 알파2-작용제 → 진정 효과 + 뇌혈류 감소
- 용량: 0.2~1.5 mcg/kg/hr IV
- 장점: 진정 효과 있으면서도 호흡 억제 없음
4. 항경련제 (Antiepileptics)
ICP 상승 환자에서 발작 예방이 중요!
✅ 1) 레비티라세탐(Levetiracetam, Keppra)
- 1차 선택 약물, 간 대사 없이 신장 배설 → 약물 상호작용 적음
- 용량: 500~1000mg IV BID
- 장점: 빠른 효과, 심혈관 부작용 없음
✅ 2) 페니토인/포스페니토인(Phenytoin/Fosphenytoin)
- 용량: 15~20 mg/kg IV loading → 100 mg IV q8h
- 주의: 저혈압, 부정맥 위험 (천천히 투여 필요)
5. 스테로이드 (Corticosteroids)
✅ 덱사메타손(Dexamethasone)
- 뇌종양, 뇌염, 수막염 등에서 뇌부종 감소 목적
- 용량: 10
20mg IV loading → 48mg IV q6h - 주의: 감염 위험 증가, 고혈당, 위장 출혈 가능
📌 TBI(외상성 뇌손상)에서는 효과 없음 → 사용 금기!
6. 신경근 차단제 (Neuromuscular Blockers, NMBs)
ICP 상승 + 기계 환기 환자에서 사용 가능
✅ 베쿠로늄(Vecuronium) & 로쿠로늄(Rocuronium)
- 비탈분극성 근이완제 → 기침, 불필요한 움직임 억제
- 주의: 의식이 있는 경우 진정제 병용 필수
7. 기타 ICP 조절 방법
방법 | 설명 |
---|---|
과호흡(Hyperventilation, PaCO₂ 30~35mmHg) | 일시적 ICP 감소, 장기적 사용 금기 |
두부 상승(Head Elevation, 30~45°) | 정맥 귀환 촉진 → ICP 감소 |
체온 조절(Normothermia 유지) | 발열 시 대사 증가 → ICP 상승 유발 |
외과적 감압술(Decompressive Craniectomy) | 약물 치료 실패 시 고려 |
반응형
'중환자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장성 식염수 & 만니톨 사용 시 두개내압(ICP) 조절을 위한 삼투압(osmolality) 모니터링 방법 (0) | 2025.03.22 |
---|---|
만니톨(Mannitol) vs 고장성 식염수(Hypertonic Saline) (0) | 2025.03.22 |
뇌간 손상 시 동공이 확장되는 이유 (0) | 2025.03.22 |
저산소성 뇌손상 환자의 뇌 탈출(Herniation) 징후 (0) | 2025.03.22 |
중환자실에서 이미프라민(Imipramine)은 언제 사용할까? (0) | 2025.03.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