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환자의학

항생제 사용 중 감염이 악화되는 지표들

비비닥 2025. 2. 20. 13:24

항생제 사용 중 감염이 악화되는 지표들

항생제 치료 중에도 감염이 악화될 수 있으며, 이는 항생제 선택이 부적절하거나, 감염이 중증으로 진행되거나, 내성이 발생했을 가능성을 의미합니다.
중환자실(ICU) 및 일반 병동에서 감염 악화 여부를 평가하는 주요 지표임상적 변화, 혈액 검사, 영상 검사, 미생물학적 검사로 나누어 정리합니다.

항생제 사용 중 감염이 악화되는 지표들


1. 임상적 변화 (Clinical Deterioration) 🏥

항생제 사용 중에도 감염이 악화되면 환자의 활력징후 및 전신 상태가 악화됩니다.

지표 감염 악화 시 변화 설명
체온 (Temperature) 🔼 지속적 발열 (>38.3℃) 🔽 저체온 (<36℃) 감염이 조절되지 않거나, 패혈증 진행
혈압 (Blood Pressure, BP) 🔽 저혈압 (SBP <90mmHg) 패혈성 쇼크 진행 가능
심박수 (Heart Rate, HR) 🔼 빈맥 (>100 bpm) 감염 및 염증 반응 증가
호흡수 (Respiratory Rate, RR) 🔼 증가 (>22회/min) 패혈증, 폐 감염 진행 시
산소 요구량 (Oxygen Requirement) 🔼 증가 저산소증 진행 시 FiO₂ 필요 증가
의식 수준 (Mental Status) 🔽 혼돈, 섬망 패혈증 및 신경 감염 진행 가능
소변량 (Urine Output, UO) 🔽 감소 (<0.5 mL/kg/hr) 신장 저관류 → 패혈증 가능성

💡 Key Point:

  • 감염 악화 시 발열 지속, 저혈압, 빈맥, 호흡수 증가, 소변량 감소, 정신 상태 변화가 나타날 수 있음
  • SIRS(전신 염증 반응 증후군), Sepsis(패혈증) 진행 여부 확인 필요

2. 혈액 검사 (Laboratory Markers) 🔬

항생제 치료 중에도 염증 및 감염 관련 혈액 수치가 악화되면 치료 실패 가능성이 높음

1) 염증 지표

검사 감염 악화 시 변화 설명
백혈구 (WBC, White Blood Cell Count) 🔼 증가 (>12,000/mm³) 🔽 감소 (<4,000/mm³) 심한 감염에서는 면역 저하로 감소 가능
C-반응성 단백 (CRP, C-Reactive Protein) 🔼 증가 (>100 mg/L) 염증 반응이 지속되면 상승
프로칼시토닌 (PCT, Procalcitonin) 🔼 급격한 증가 (>2.0 ng/mL) 세균 감염 진행 및 패혈증 가능성 증가
적혈구 침강 속도 (ESR, Erythrocyte Sedimentation Rate) 🔼 증가 만성 감염 및 염증 반응 지표

2) 패혈증 및 장기 손상 관련 지표

검사 감염 악화 시 변화 설명
젖산 (Lactate) 🔼 증가 (>2 mmol/L) 조직 저산소증 → 패혈증 진행 가능
혈소판 (Platelet, PLT) 🔽 감소 (<100,000/mm³) 패혈증성 파종성 혈관 내 응고(DIC) 가능
BUN/Cr (신장 기능) 🔼 증가 패혈증으로 신장 기능 저하
AST/ALT (간 기능) 🔼 증가 간 손상 및 패혈증 진행 가능

💡 Key Point:

  • WBC, CRP, PCT, Lactate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면 감염이 조절되지 않거나 악화 가능성
  • 젖산 증가, 혈소판 감소, 신장·간 기능 저하패혈증 진행 가능성을 시사

3. 영상 검사 (Radiologic Findings) 📸

감염 부위의 영상 소견이 악화되면 항생제 치료가 충분하지 않음을 의미할 수 있음.

검사 감염 악화 시 소견 설명
흉부 X-ray (Chest X-ray, CXR) 폐렴 악화, 폐농양 증가 항생제 치료에도 폐렴이 지속되거나 악화
CT 스캔 (Computed Tomography, CT) 농양 크기 증가, 새로운 감염 병변 감염이 진행되면 농양 크기 증가 가능
초음파 (Ultrasound, USG) 복부 농양, 담낭염 진행 배액 치료 필요 여부 확인

💡 Key Point:

  • 폐렴 환자에서 CXR 상 병변이 확대되면 항생제 치료 실패 가능성
  • 복부 감염에서는 초음파나 CT로 농양 진행 여부 평가

4. 미생물학적 검사 (Microbiological Markers) 🦠

항생제 치료 중에도 배양 검사에서 지속적으로 균이 검출되거나 새로운 균이 발견되면 감염 악화 가능성이 높음

검사 감염 악화 시 변화 설명
혈액 배양 검사 (Blood Culture) 균 지속 검출 (Persistent Bacteremia) 항생제 내성 가능성
소변 배양 검사 (Urine Culture) 새로운 균 검출, 다제내성균 (MDR) 출현 감염이 조절되지 않음
객담 배양 검사 (Sputum Culture) 원래 없던 균 증가 폐 감염 진행 가능
항생제 감수성 검사 (Antibiotic Sensitivity Test, AST) 내성균 발견 항생제 변경 필요

💡 Key Point:

  • 혈액 배양에서 지속적으로 균 검출 시 감염이 조절되지 않음을 의미
  • 항생제 감수성 검사 결과에 따라 내성균 감염 여부를 평가하고 치료 전략 변경 필요

5. 감염 악화 평가를 위한 주요 지표 요약

평가 항목 감염 악화 시 변화
임상적 변화 지속적 발열, 저혈압, 빈맥, 호흡수 증가, 의식 저하
염증 지표 WBC, CRP, PCT 증가
패혈증 관련 지표 Lactate 증가, 혈소판 감소, 신장/간 기능 악화
영상 검사 감염 병변 확대, 농양 크기 증가
미생물학적 검사 지속적인 균 검출, 다제내성균 발견

6. Q&A 💡

Q1. 항생제 치료 중 발열이 지속되면 무조건 감염이 악화된 것인가요?
👉 아닙니다. 항생제 투여 후 2~3일 동안은 발열이 지속될 수 있음. 그러나 5~7일 이상 지속되면 항생제 치료 실패 가능성을 고려해야 합니다.

Q2. 항생제 감수성 검사에서 내성이 발견되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 내성균이 발견되면 항생제 변경이 필요. 다제내성균(MDR)의 경우 광범위 항생제(예: Carbapenem, Colistin) 고려.

Q3. 패혈증으로 진행되고 있는지 어떻게 판단할 수 있나요?
👉 젖산 증가 (>2 mmol/L), 혈압 저하(SBP <90mmHg), 혈소판 감소, 신장·간 기능 저하가 동반되면 패혈증 진행 가능성 높음.

Q4. 감염 부위가 확대되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 영상 검사에서 감염 부위가 확대되면 배농(drainage) 또는 수술적 치료 필요 가능성을 고려해야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