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혈증은 중환자실에서 가장 치명적인 응급상황 중 하나로, 조기 발견과 신속한 치료가 환자의 생존율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를 위해 1-Hour Bundle은 패혈증 관리의 표준 지침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1-Hour Bundle의 의미, 구성 요소, 중요성과 적용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1-Hour Bundle이란?
1-Hour Bundle은 패혈증 또는 패혈성 쇼크 환자에게 진단 후 1시간 이내에 시행해야 할 치료 지침입니다. 국제 패혈증 캠페인(Surviving Sepsis Campaign, SSC)에서 권장하는 이 지침은 신속한 처치와 치료의 일관성을 통해 사망률을 감소시키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1-Hour Bundle의 구성 요소
1-Hour Bundle은 다음과 같은 5가지 주요 요소로 구성됩니다.
구성 요소 | 내용 |
1. 젖산 수치 측정 (Measure lactate level) | 혈중 젖산 수치를 측정하여 조직의 저산소 상태를 평가 |
2. 혈액 배양 (Obtain blood cultures) | 항생제 투여 전 혈액 배양 검사를 실시해 원인균을 확인 |
3. 광범위 항생제 투여 (Administer broad-spectrum antibiotics) | 원인균이 명확하지 않을 경우 광범위 항생제를 신속히 투여 |
4. 빠른 수액 치료 (Administer rapid IV fluids) | 저혈압 또는 고젖산혈증이 있는 경우 수액(30mL/kg)을 신속히 투여 |
5. 혈압 유지 약물 투여 (Apply vasopressors) | 수액으로 저혈압이 교정되지 않을 경우 혈압 유지 약물(노르에피네프린 등)을 사용 |
1. 젖산 수치 측정 (Measure lactate level)
혈중 젖산(Lactate) 수치는 조직이 충분한 산소를 공급받지 못하는 경우 증가합니다. 초기 젖산 수치가 높을수록 예후가 나쁘기 때문에, 2mmol/L 이상의 젖산 수치를 보일 경우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추가적인 조치가 필요합니다.
2. 혈액 배양 (Obtain blood cultures)
패혈증의 원인균을 파악하기 위해 항생제 투여 전에 혈액 배양 검사를 시행해야 합니다. 최소 두 세트 이상의 혈액 배양을 통해 적절한 항생제 선택을 돕고, 패혈증의 원인을 밝힐 수 있습니다.
3. 광범위 항생제 투여 (Administer broad-spectrum antibiotics)
패혈증은 신속한 항생제 치료가 매우 중요합니다. 1시간 내에 광범위 항생제를 투여함으로써 감염을 조기에 억제하고 환자의 생존율을 높일 수 있습니다. 이후 혈액 배양 결과에 따라 적절한 항생제로 변경합니다.
4. 빠른 수액 치료 (Administer rapid IV fluids)
저혈압(수축기 혈압 < 90mmHg)이나 고젖산혈증(≥4mmol/L)이 있는 환자에게는 체중 1kg당 30mL의 결정질 수액(예: 생리식염수, 링거액)을 신속히 투여합니다. 이는 조직으로의 혈류를 증가시키고 쇼크를 방지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5. 혈압 유지 약물 투여 (Apply vasopressors)
수액 치료 후에도 저혈압이 교정되지 않을 경우, 혈관 수축제(예: 노르에피네프린)를 투여하여 평균 동맥압(MAP)을 65mmHg 이상으로 유지해야 합니다. 이는 중요한 장기로의 혈류를 확보하기 위함입니다. 😊
1-Hour Bundle의 중요성
1-Hour Bundle은 패혈증 환자의 초기 치료에 있어 필수적인 지침입니다. 연구에 따르면 이 지침을 철저히 준수한 경우 사망률이 유의미하게 감소하며, 패혈성 쇼크로 인한 합병증을 줄일 수 있습니다.
- 빠른 대응: 초기 1시간 내 처치는 환자의 생존율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 표준화된 치료: 1-Hour Bundle은 모든 의료진이 일관되게 치료할 수 있도록 표준화된 지침을 제공합니다.
- 예후 개선: 패혈증의 진행을 막고 회복 속도를 높이는 데 기여합니다.
관련 Q&A
- 1-Hour Bundle을 적용하면 사망률이 얼마나 감소하나요?
연구에 따르면 초기 1시간 내 조치가 이루어진 경우 패혈증 환자의 사망률이 30% 이상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젖산 수치는 왜 중요한가요?
젖산 수치는 조직의 산소 공급 상태를 평가하는 지표로, 높은 젖산 수치는 패혈증과 관련된 예후를 예측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광범위 항생제는 어떤 종류가 사용되나요?
보통 세프트리악손(3세대 세팔로스포린)이나 피페라실린/타조박탐 같은 항생제가 사용되며, 원인균에 따라 변경됩니다. - 수액 투여는 얼마나 빠르게 이루어져야 하나요?
패혈성 쇼크가 의심되는 경우, 체중 1kg당 30mL의 수액을 3시간 이내에 신속히 투여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 혈압 유지 약물은 언제 투여하나요?
수액 치료 후에도 수축기 혈압이 90mmHg 미만일 경우 혈압 유지 약물을 투여합니다.
'중환자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환자실 약물: 노르에피네프린(Norepinephrine) 알아보기 (0) | 2025.03.04 |
---|---|
1-Hour Bundle에서 사용하는 광범위 항생제 종류와 특성 (0) | 2025.03.03 |
중환자실에서 ABCDEF 번들: 필수적인 관리 지침 (0) | 2025.03.03 |
산증 교정 후 혈청 칼륨(K⁺) 수치 변화 (0) | 2025.02.27 |
AF with RVR에서 사용하는 정맥 투여 베타 차단제(IV Beta-Blockers) (0) | 2025.02.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