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2/24 14

신경이완제 악성 증후군 (Neuroleptic Malignant Syndrome, NMS)

신경이완제 악성 증후군(Neuroleptic Malignant Syndrome, NMS)은 도파민(Dopamine) 차단제 사용 후 발생하는 치명적인 신경계 이상 반응입니다.주로 항정신병약(Antipsychotics, Neuroleptics) 복용 환자에서 발생하며, 고열, 근육 강직, 자율신경 이상, 정신 상태 변화가 특징입니다. 📌 1. NMS의 원인 (주요 유발 약물)✅ (1) 1세대 항정신병약 (Typical Antipsychotics, D2 차단 강함)HaloperidolFluphenazineChlorpromazine✅ Dopamine D2 수용체 강력 차단 → 가장 흔한 원인✅ (2) 2세대 항정신병약 (Atypical Antipsychotics, 낮은 위험)RisperidoneOlanzap..

중환자의학 14:28:13

Sympathetic Hyperactivity의 진단과 치료

Sympathetic Hyperactivity(교감신경 과항진, 자율신경계 과활성)는 교감신경계(Sympathetic Nervous System, SNS)의 과도한 활성화로 인해 발생하는 생리적 반응을 의미합니다.이 상태는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하며, 고혈압, 빈맥, 발한, 불안, 근긴장 항진 등의 증상이 특징적입니다.📌 1. Sympathetic Hyperactivity의 주요 원인✅ (1) 급성 신경학적 손상 (Acute Neurological Injury)외상성 뇌손상(Traumatic Brain Injury, TBI)뇌출혈(Intracerebral Hemorrhage, ICH)뇌경색(Stroke) 후 교감신경 항진척수 손상(Spinal Cord Injury, SCI)자율신경 불균형(Autono..

중환자의학 13:26:20

바클로펜(Baclofen)은 언제 사용할까?

Baclofen은 GABA_B 수용체 작용제(Agonist)로, 척수 수준에서 신경 억제 효과를 나타내어 근육 경직(Spasticity)을 완화하는 약물입니다.📌 바클로펜의 주요 적응증 (언제 사용할까?)1️⃣ 중추신경계(CNS) 질환에 의한 근육 경직(Spasticity)✅ 적응증:뇌성마비(Cerebral palsy)다발성 경화증(Multiple sclerosis, MS)척수 손상(Spinal cord injury, SCI)뇌졸중 후 근육 강직(Post-stroke spasticity)근위축성 측삭경화증(ALS, Lou Gehrig’s disease)📌 근육 경직이란?의지와 관계없이 근육이 지속적으로 긴장된 상태척수반사가 항진되면서 강한 근긴장이 발생Baclofen은 척수에서 GABA_B 수용체를 ..

의학 지식 12:24:57

GABA 수용체에 작용하는 약물 정리

GABA (Gamma-Aminobutyric Acid) 수용체는 뇌에서 억제성 신경전달을 조절하는 주요 수용체입니다.GABA 수용체는 크게 GABA_A, GABA_B, GABA_C로 나뉘며, 임상적으로 중요한 약물은 주로 GABA_A와 GABA_B 수용체에 작용합니다. 1️⃣ GABA_A 수용체 작용 약물 (Cl⁻ 채널 활성화)GABA_A 수용체는 Cl⁻ 유입을 촉진하여 신경세포를 과분극(Hyperpolarization)시켜 억제 작용을 나타냅니다.이 수용체를 조절하는 약물들은 진정(Sedation), 항경련(Anticonvulsant), 마취(Anesthesia) 효과를 가집니다. 약물군 대표 약물 작용 기전 임상 적용 BenzodiazepinesDiazepam, Lorazepam, Midazol..

중환자의학 11:22:32

Alcohol Withdrawal Seizure가 금주 후 24~48시간 후 발생하는 이유

술을 갑자기 끊은 후 24~48시간 후에 금단 경련(Alcohol Withdrawal Seizure, AWS)이 발생하는 이유는 GABA 수용체 억제와 글루탐산 수용체(NMDA) 과활성화 때문입니다.🧬 알코올과 GABA 수용체의 작용 기전알코올(Ethanol)은 GABA_A 수용체의 작용을 강화하여 억제성 신경전달을 증가시키고, 동시에 NMDA(글루탐산) 수용체를 억제하여 흥분성 신경전달을 감소시킵니다.✅ 즉, 알코올은 뇌를 "억제성 우위" 상태로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장기간 과음 시, 뇌는 지속적인 알코올 억제 작용에 적응하기 위해 GABA 수용체의 민감도를 낮추고(Negative allosteric modulation), NMDA 수용체의 활성도를 증가시킵니다.🍺 금주 후 24~48시간 후 ..

의학 지식 10:20:10

케타민(Ketamine)의 작용 기전

Ketamine은 강력한 진통 및 해리성 마취 효과를 가진 약물로, NMDA(N-Methyl-D-Aspartate) 수용체 길항제로 작용합니다. 또한, 교감신경 활성화를 유발하여 혈압 상승 효과도 있습니다.🔬 케타민의 주요 작용 기전1️⃣ NMDA 수용체 길항 (주요 기전)NMDA 수용체(N-Methyl-D-Aspartate receptor)는 중추신경계(CNS)에서 흥분성 신경전달물질인 글루탐산(Glutamate)의 작용을 매개하는 주요 수용체입니다.Ketamine은 NMDA 수용체를 차단하여 글루탐산의 작용을 억제 → 신경 신호 전달 감소 → 해리성 마취(dissociative anesthesia) 유발✅ 결과:의식은 유지되지만, 외부 자극에 대한 반응이 소실됨 (해리 상태)강력한 진통 효과 (An..

중환자의학 09:18:22

기관삽관 시 Sedation 약물 중 혈압을 가장 많이 떨어뜨리는 것은?

기관삽관(Intubation) 시 사용하는 진정제(Sedation) 중 혈압을 가장 많이 떨어뜨리는 약물은 Propofol입니다.🔬 혈압 저하 정도 비교 (Sedation 약물별 영향)약물 혈압 저하 정도 작용 기전 특징 약물 혈압 저하 정도 작용 기전 특징 Propofol🚨🚨🚨 (가장 심함)말초 혈관 확장, 심근 억제강력한 진정 효과, ICP 감소Midazolam🚨 (중등도 저하)GABA 작용 증가진정 효과 우수, 저혈압 가능Etomidate🔄 (거의 영향 없음)심혈관 안정성 유지혈압 유지, ICP 감소Ketamine⬆️ (혈압 상승 가능)교감신경 자극저혈압 환자에서 선호Dexmedetomidine🚨 (서맥 및 혈압 저하)α2-수용체 작용서맥 유발 가능✅ 가장 혈압을 떨어뜨리는 약물:..

중환자의학 08:16:08

CPP와 ICP의 관계 및 뇌졸중 환자의 뇌압 조절 전략

CPP(Cerebral Perfusion Pressure, 뇌관류압)과 ICP(Intracranial Pressure, 두개내압)은 뇌 혈류 조절에 핵심적인 요소입니다. 뇌졸중(뇌경색, 뇌출혈) 환자에서는 ICP 상승이 CPP 감소로 이어져 뇌허혈을 악화시키기 때문에, 적절한 뇌압 조절 전략이 필수적입니다.🧠 CPP와 ICP의 관계✅ CPP란? (Cerebral Perfusion Pressure, 뇌관류압)CPP는 뇌에 혈류를 공급하는 압력을 의미하며, 다음 공식으로 계산됩니다.CPP=MAP−ICPCPP = MAP - ICPMAP (Mean Arterial Pressure, 평균동맥압): 전신 혈압 조절과 관련ICP (Intracranial Pressure, 두개내압): 뇌척수액, 혈액, 뇌 조직의 압..

중환자의학 07:14:38

기관삽관 시 사용하는 프로포폴(Propofol) 용량 가이드

Propofol은 빠르게 작용하는 정맥 마취제로, 기관삽관 시 진정 및 유도제(induction agent)로 자주 사용됩니다. 하지만 저혈압 유발 위험이 있어 용량 조절이 중요합니다.💉 Propofol 기관삽관 용량✅ 일반적인 용량:1.5~2.5 mg/kg IV (정맥 주사, 한 번 투여)작용 시간: 30~60초 내 의식 소실지속 시간: 3~10분✅ 저혈압 위험이 있는 경우 (용량 조절 필요)노인, 저혈압 환자 → 1.0~1.5 mg/kg IV쇼크 상태, 중증 패혈증 환자 → 0.5~1.0 mg/kg IV뇌출혈, 뇌경색 환자 (CPP 유지 필요) → 1.0 mg/kg IV 또는 Etomidate 고려✅ 연속 주입 (정맥 진정 유지, TIVA)25~100 mcg/kg/min IV (필요에 따라 조절)?..

중환자의학 06:12:13

뇌경색/뇌출혈 환자의 기관삽관 시 약물 선택 가이드

뇌경색 또는 뇌출혈 환자는 기도 보호 및 호흡 보조를 위해 기관삽관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뇌질환 환자는 뇌관류압(CPP, Cerebral Perfusion Pressure)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약물 선택 시 혈압과 두개내압(ICP, Intracranial Pressure)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해야 합니다.🩺 기관삽관이 필요한 경우뇌경색/뇌출혈 환자에서 기관삽관이 필요한 경우는 다음과 같습니다. 상황 설명 GCS ≤ 8심각한 의식 저하로 기도 보호가 어려움무호흡 또는 호흡부전저산소증(SpO₂ 30)기도 반사 저하연하곤란, 후두반사 감소ICP 상승 징후동공 부등, 심한 두통, 혈압 상승 + 서맥(Cushing triad)급성 신경악화의식 저하가 급속히 진행되는 경우💊 기관삽관..

중환자의학 05:10: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