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환자의학

Sympathetic Hyperactivity의 진단과 치료

비비닥 2025. 2. 24. 13:26
반응형
Sympathetic Hyperactivity(교감신경 과항진, 자율신경계 과활성)는 교감신경계(Sympathetic Nervous System, SNS)의 과도한 활성화로 인해 발생하는 생리적 반응을 의미합니다.
이 상태는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하며, 고혈압, 빈맥, 발한, 불안, 근긴장 항진 등의 증상이 특징적입니다.

Sympathetic Hyperactivity의 진단과 치료


📌 1. Sympathetic Hyperactivity의 주요 원인

✅ (1) 급성 신경학적 손상 (Acute Neurological Injury)

  • 외상성 뇌손상(Traumatic Brain Injury, TBI)
  • 뇌출혈(Intracerebral Hemorrhage, ICH)
  • 뇌경색(Stroke) 후 교감신경 항진
  • 척수 손상(Spinal Cord Injury, SCI)
  • 자율신경 불균형(Autonomic Dysreflexia, AD)

📌 특히, 뇌 손상 후 발생하는 "Paroxysmal Sympathetic Hyperactivity(PSH)"는 빈맥, 발열, 근육 긴장 증가와 함께 나타남.

✅ (2) 약물 또는 중독 관련 (Drug-induced)

  • 알코올 금단(Alcohol Withdrawal, Delirium Tremens)
  • 벤조디아제핀 금단(Benzodiazepine Withdrawal)
  • 코카인, 암페타민, LSD 등의 교감신경 자극 약물 중독
  • 세로토닌 증후군(Serotonin Syndrome)
  • 신경이완제 악성 증후군(Neuroleptic Malignant Syndrome, NMS)

📌 약물 금단 및 중독 시 심한 교감신경 항진 증상(고혈압, 빈맥, 발작 등)이 나타날 수 있음.

✅ (3) 내분비 이상 (Endocrine Disorders)

  • 갈색세포종(Pheochromocytoma)에피네프린, 노르에피네프린 과분비
  • 갑상선중독증(Thyrotoxicosis)교감신경 감작 증가

✅ (4) 패혈증 및 전신 염증 (Sepsis, SIRS)

  • 심한 감염 또는 패혈증에서 교감신경계의 과활성화로 인해 고혈압, 빈맥, 발한 증가가 나타날 수 있음.

🔬 2. Sympathetic Hyperactivity의 진단

✅ (1) 임상적 특징 (Clinical Features)

증상 설명
빈맥(Tachycardia) HR > 100 bpm
고혈압(Hypertension) SBP > 140 mmHg
발한(Diaphoresis) 전신 또는 국소 다한증
체온 상승(Hyperthermia) > 38.5°C (일부 경우)
불안, 초조(Agitation, Anxiety) 정신적 흥분 상태
근긴장 항진(Hypertonia, Rigidity) 근육 강직, 경련 유발 가능

📌 급성 신경학적 손상이 있는 환자에서 위 증상이 주기적으로(Paroxysmal) 발생하면 "PSH(Paroxysmal Sympathetic Hyperactivity)"를 의심할 수 있음.

✅ (2) 감별 진단 (Differential Diagnosis)

질환 주요 감별 포인트
Delirium Tremens (알코올 금단) Tremor, 환각, 발작
Pheochromocytoma (갈색세포종) 발작적 고혈압, 두통, 발한, 빈맥
Thyrotoxicosis (갑상선중독증) 체중 감소, 손떨림, 안구돌출
Serotonin Syndrome (세로토닌 증후군) 고열, 반사 항진, 근육 경직
Neuroleptic Malignant Syndrome (NMS, 신경이완제 악성 증후군) 도파민 차단제 사용 후 발열, 강직

📌 원인을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치료 방향을 결정하는 데 중요!


💊 3. Sympathetic Hyperactivity의 치료

✅ (1) 1차 치료: 진정제(Sedation) 및 교감신경 차단제

  • Benzodiazepines (Lorazepam, Diazepam, Midazolam)
    금단 증후군 (Alcohol, Benzodiazepine) 및 급성 신경 손상 환자에서 1차 선택
    ✅ GABA_A 수용체 활성화 → 교감신경 활성 감소
  • Dexmedetomidine (α2-Agonist) ✅ 교감신경 억제, 진정 효과 (중증 환자에서 유용)
    PSH(Paroxysmal Sympathetic Hyperactivity)에서 사용 가능
  • Propofol
    ✅ 중증 신경손상 환자의 진정 및 항경련 효과

📌 약물 금단으로 인한 Sympathetic Hyperactivity는 Benzodiazepines이 가장 효과적!


✅ (2) 혈압 및 심박수 조절 (교감신경 차단제)

  • β-blockers (Esmolol, Labetalol, Propranolol)
    ✅ 심한 빈맥과 고혈압 조절
    갈색세포종(Pheochromocytoma) 환자에서는 α 차단제(Phentolamine) 먼저 사용해야 함!
  • Clonidine (α2-Agonist) ✅ 중등도 교감신경 항진 환자에서 사용 가능
    ✅ 경구 투여 가능하며 혈압 조절 효과

✅ (3) 근육 강직 및 경련 조절

  • Baclofen (GABA_B Agonist)
    척수 손상(Spinal Cord Injury), 뇌손상 환자의 근육 강직 치료
    ✅ ITB (Intrathecal Baclofen)로 투여 가능
  • Dantrolene
    ✅ 신경이완제 악성 증후군(NMS), 악성 고열(Malignant Hyperthermia) 치료

✅ (4) 원인 질환에 따른 특수 치료

질환 치료
Delirium Tremens (알코올 금단) Benzodiazepines (Lorazepam, Diazepam)
Pheochromocytoma (갈색세포종) α 차단제 (Phentolamine) → β 차단제 (Propranolol)
Thyrotoxicosis (갑상선중독증) Propranolol + Methimazole/PTU
Serotonin Syndrome (세로토닌 증후군) Benzodiazepines + Cyproheptadine
Neuroleptic Malignant Syndrome (NMS) Dantrolene + Bromocriptine

📌 각 원인에 맞는 치료가 필수적!


✅ 결론: Sympathetic Hyperactivity의 핵심 포인트

교감신경 과활성으로 인해 빈맥, 고혈압, 발한, 근긴장 항진이 발생
원인에 따라 신경 손상(TBI, Stroke), 금단(Alcohol, Benzodiazepine), 내분비 질환(Pheochromocytoma, 갑상선중독증) 등 감별 필요
Benzodiazepines가 1차 치료 (금단 증후군, 신경 손상에 효과적)
혈압 조절에는 β-blockers, α2-Agonists (Dexmedetomidine, Clonidine) 고려
근육 경직이 심하면 Baclofen, Dantrolene 사용 가능

👉 신속한 원인 감별과 맞춤형 치료가 중요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