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환자의학

케타민(Ketamine)의 작용 기전

비비닥 2025. 2. 24. 09:18

Ketamine은 강력한 진통 및 해리성 마취 효과를 가진 약물로, NMDA(N-Methyl-D-Aspartate) 수용체 길항제로 작용합니다. 또한, 교감신경 활성화를 유발하여 혈압 상승 효과도 있습니다.

케타민(Ketamine)의 작용 기전


🔬 케타민의 주요 작용 기전

1️⃣ NMDA 수용체 길항 (주요 기전)

  • NMDA 수용체(N-Methyl-D-Aspartate receptor)는 중추신경계(CNS)에서 흥분성 신경전달물질인 글루탐산(Glutamate)의 작용을 매개하는 주요 수용체입니다.
  • Ketamine은 NMDA 수용체를 차단하여 글루탐산의 작용을 억제 → 신경 신호 전달 감소해리성 마취(dissociative anesthesia) 유발

결과:

  • 의식은 유지되지만, 외부 자극에 대한 반응이 소실됨 (해리 상태)
  • 강력한 진통 효과 (Analgesia)

2️⃣ 교감신경 활성화 → 혈압 상승

  • Ketamine은 교감신경을 자극하여 노르에피네프린(Norepinephrine) 분비 증가
  • 심박수 증가, 심박출량 증가, 말초 혈관 저항 증가 → 혈압 상승

결과:

  • 저혈압 환자에서 혈압 유지 효과
  • 기관지 확장 효과 (Asthma 환자에서 유용)

3️⃣ 오피오이드 수용체 작용 (부분적 기전)

  • μ-오피오이드(μ-opioid) 수용체와도 일부 상호작용 → 추가적인 진통 효과 제공

📊 케타민의 작용 효과 정리

작용 기전 결과 임상적 의미
NMDA 수용체 길항 해리성 마취, 진통 의식 유지 + 통증 차단
교감신경 자극 혈압 상승, 심박수 증가 저혈압 환자에서 유용
기관지 확장 호흡기 저항 감소 천식(Asthma) 환자에서 유용
오피오이드 유사 효과 추가적인 진통 효과 마약성 진통제 대체 가능

✅ Ketamine을 임상에서 어떻게 사용할까?

1️⃣ 기관삽관 (RSI) 유도제

  • 혈압이 낮은 환자에서 사용 가능 (1~2 mg/kg IV)
  • 교감신경 활성화로 혈압 유지 효과 있음

2️⃣ 진통 및 진정 (Procedural Sedation)

  • 골절 정복, 화상 처치 등에서 사용 (0.5~1 mg/kg IV)
  • 빠른 진통 효과 + 해리성 마취

3️⃣ 우울증 치료 (정신과적 사용)

  • 저용량(0.5 mg/kg IV)으로 빠른 항우울 효과 가능
  • NMDA 수용체 차단 → 신경가소성 증가

4️⃣ 천식 및 COPD 환자에서 진정제

  • 기관지 확장 효과 → 기도 유지에 유리

⚠️ Ketamine 사용 시 주의할 점

🚨 ICP 증가 가능성 (논란 있음)

  • 과거에는 뇌압(ICP)을 증가시킨다고 알려졌으나, 최근 연구에서는 안정적
  • 그러나 ICP가 높은 환자에서는 주의 필요

🚨 정신 이상 반응 (Emergence Phenomenon)

  • 환각(Hallucination), 망상(Delusion), 악몽(Nightmare) 발생 가능
  • Midazolam과 병용 시 예방 가능

🚨 심혈관 질환 환자에서는 주의 필요

  • 교감신경 활성화로 인해 심근허혈, 부정맥 위험 증가 가능

💡 결론: Ketamine의 핵심 포인트

NMDA 수용체 길항 → 해리성 마취 + 진통 효과
교감신경 활성화 → 혈압 상승 + 기관지 확장
기관삽관(RSI), 진정(Sedation), 우울증 치료 등 다양한 임상 적용
ICP 상승 위험 있는 환자에서는 신중한 사용 필요

👉 혈압 유지가 필요한 환자에서 강력한 진정제 옵션으로 고려할 수 있는 약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