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PP(Cerebral Perfusion Pressure, 뇌관류압)과 ICP(Intracranial Pressure, 두개내압)은 뇌 혈류 조절에 핵심적인 요소입니다. 뇌졸중(뇌경색, 뇌출혈) 환자에서는 ICP 상승이 CPP 감소로 이어져 뇌허혈을 악화시키기 때문에, 적절한 뇌압 조절 전략이 필수적입니다.
🧠 CPP와 ICP의 관계
✅ CPP란? (Cerebral Perfusion Pressure, 뇌관류압)
CPP는 뇌에 혈류를 공급하는 압력을 의미하며, 다음 공식으로 계산됩니다.
CPP=MAP−ICPCPP = MAP - ICP
- MAP (Mean Arterial Pressure, 평균동맥압): 전신 혈압 조절과 관련
- ICP (Intracranial Pressure, 두개내압): 뇌척수액, 혈액, 뇌 조직의 압력
✅ 정상 CPP: 60~80 mmHg
✅ CPP가 50 mmHg 이하 → 뇌허혈 위험 증가
✅ CPP가 30 mmHg 이하 → 뇌혈류 감소로 신경 손상 발생
✅ ICP란? (Intracranial Pressure, 두개내압)
ICP는 뇌 조직, 혈액, 뇌척수액(CSF)의 압력을 의미하며, 정상적으로 5~15 mmHg 수준을 유지해야 합니다.
✅ ICP 상승 시 문제점
- CPP 감소 → 뇌허혈 및 뇌부종 악화
- 뇌 탈출(Brain herniation) 위험 증가
✅ ICP 상승의 주요 원인
- 뇌출혈(ICH, SAH) → 혈종 증가
- 뇌경색 → 광범위한 뇌부종
- 외상성 뇌손상(TBI)
- 수두증 → 뇌척수액 배출 장애
🩺 뇌졸중 환자의 뇌압 조절 전략
1️⃣ 기본적인 뇌압 조절 원칙
✅ 목표 ICP: < 20 mmHg
✅ 목표 CPP: > 60 mmHg
✅ MAP과 ICP 균형을 맞추는 것이 핵심
2️⃣ 뇌압 조절 전략 (단계별 접근)
전략 | 방법 | 효과 | 비고 |
머리 위치 조정 | 머리를 30° 올리기 | 뇌정맥 배출 증가 → ICP 감소 | 너무 높이면 CPP 감소 위험 |
진정 및 통증 조절 | Propofol, Midazolam | 교감신경 활성 억제 → ICP 감소 | 과도한 저혈압 주의 |
과호흡 (Hyperventilation) | 목표 PaCO₂: 30~35 mmHg | 혈관 수축 → ICP 급성 감소 | 지속적 사용 시 뇌혈류 저하 |
삼투성 이뇨제 | Mannitol (0.25~1g/kg) | 뇌부종 감소 → ICP 감소 | 신부전 환자 주의 |
고장성 식염수 | 3% NaCl | 뇌부종 감소 | 혈중 Na+ 모니터링 필요 |
CSF 배액 | 외배액술(EVD) | 직접 ICP 감소 | 출혈 위험 고려 |
혈압 조절 | SBP 140~160 mmHg 유지 | CPP 유지, 출혈 예방 | 저혈압 방지 필수 |
수술적 치료 | 감압 두개절제술 | 심한 ICP 상승 시 최후의 방법 | 출혈, 감염 위험 |
3️⃣ 상세한 치료 전략
🔹 혈압 조절 (CPP 유지 전략)
- 뇌출혈(ICH, SAH) → SBP 140~160 mmHg 유지 (혈압이 너무 높으면 출혈 증가)
- 뇌경색 (대뇌부종 동반) → SBP 160~180 mmHg 유지 (CPP 유지가 중요)
- CPP 목표: 60~80 mmHg 유지
🔹 삼투성 치료 (Mannitol vs. Hypertonic Saline)
약물 | 용량 | 작용 기전 | 특징 |
Mannitol | 0.25~1g/kg IV | 삼투압 증가 → 뇌부종 감소 | 신부전 환자 주의 |
3% NaCl | 250mL IV (Bolus) | 혈장 삼투압 증가 | 저나트륨혈증 예방 |
✅ Mannitol과 3% NaCl 모두 ICP 감소 효과가 있음!
🔄 신부전 환자 → 3% NaCl이 더 안전
🔹 과호흡 (Hyperventilation)
- 목표 PaCO₂: 30~35 mmHg
- 뇌혈관 수축 → ICP 급성 감소
- ⚠️ 과도한 과호흡(25 mmHg 이하) 시 뇌혈류 저하 위험
🔹 진정제 및 신경근 차단제
- Propofol: ICP 감소 효과 우수 (저혈압 주의)
- Midazolam: 진정 효과 우수하지만 ICP 감소 효과 제한적
- Fentanyl: 혈압 안정적, 진통 효과 우수
- Cisatracurium: 신경근 차단으로 ICP 상승 방지
🚨 뇌탈출(Brain Herniation) 발생 시 응급 치료
🆘 Cushing triad (고혈압 + 서맥 + 호흡이상) 발생 시 즉각적 치료 필요!
✅ 즉시 시행해야 할 조치
- 머리 30도 상승
- 과호흡 (PaCO₂ 30 mmHg 목표)
- Mannitol 또는 3% NaCl IV 투여
- 신속한 외부 배액술(EVD) 또는 감압 두개절제술 고려
✅ 결론: 뇌압 조절의 핵심 원칙
✔ CPP 유지 (60~80 mmHg) → MAP과 ICP 균형 유지
✔ ICP 20 mmHg 이하로 조절 → 머리 높이 조정, 삼투성 치료, 과호흡
✔ 혈압 조절 → ICH에서는 140~160 mmHg, 뇌경색에서는 160~180 mmHg 유지
✔ 응급 상황 (뇌탈출) 시 즉각적인 처치 필요
👉 CPP와 ICP의 균형을 유지하는 것이 뇌졸중 환자의 신경학적 예후를 결정하는 핵심 요소입니다!
'중환자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케타민(Ketamine)의 작용 기전 (0) | 2025.02.24 |
---|---|
기관삽관 시 Sedation 약물 중 혈압을 가장 많이 떨어뜨리는 것은? (0) | 2025.02.24 |
기관삽관 시 사용하는 프로포폴(Propofol) 용량 가이드 (0) | 2025.02.24 |
뇌경색/뇌출혈 환자의 기관삽관 시 약물 선택 가이드 (0) | 2025.02.24 |
Zavicefta는 왜 Acinetobacter baumannii에는 효과가 없을까? (0) | 2025.0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