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025/02/25 15

비정형 폐렴균과 Procalcitonin(PCT) 상승 여부

Procalcitonin(PCT)은 세균 감염에서 염증 반응을 반영하는 바이오마커로, 중증 감염(특히 세균성 폐렴, 패혈증)에서 유의하게 상승합니다. 그러나 비정형 폐렴균(Atypical pathogens)에 의한 감염에서도 PCT가 상승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습니다.1. Procalcitonin과 폐렴 유형별 상승 정도 비교📌 Procalcitonin 상승 패턴 (폐렴 유형별 비교)폐렴 유형 주요 원인균 PCT 상승 정도 폐렴 유형 주요 원인균  PCT 상승 정도 세균성 폐렴(Bacterial pneumonia)Streptococcus pneumoniae, Haemophilus influenzae, Klebsiella pneumoniae 등⬆⬆ 높음 (≥0.5~2.0 ng/mL, 심한 ..

중환자의학 2025.02.25

수혈 부작용 및 예방 방법

수혈은 응급 상황에서 생명을 구할 수 있는 필수적인 의료 행위이지만, 면역학적, 감염학적, 대사적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수혈의 부작용을 이해하고 예방 방법을 숙지하는 것은 환자의 안전을 보장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1. 수혈 부작용의 분류📌 수혈 부작용은 발생 시간과 기전에 따라 분류할 수 있습니다. 구분 부작용 유형 발생 시간 주요 증상 급성 부작용(Acute, 24시간 이내)용혈성 수혈 반응 (AHTR)즉시~수 시간발열, 오한, 혈뇨, 저혈압, 신부전 비용혈성 발열 반응 (FNHTR)1~6시간발열, 오한, 두통 알레르기 반응즉시~수 시간두드러기, 가려움, 호흡곤란(심한 경우) 아나필락시스즉시~1시간심한 호흡곤란, 혈압 저하, 쇼크 급성 폐 손상(TRALI)1~6시간저산소증, 폐부종,..

의학 지식 2025.02.25

기관삽관 폐렴 환자가 메로페넴, 반코마이신에도 악화될 때 추가 고려할 항생제

중환자실(ICU)에서 기관삽관 후 폐렴(VAP,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환자가 메로페넴(Meropenem)과 반코마이신(Vancomycin)을 사용 중임에도 악화된다면, 몇 가지 가능성을 고려해야 합니다. 📌 주요 원인다제내성 병원균(MDR Pathogens) 감염비정형 병원균(Atypical Pathogens) 감염항생제 실패(Antibiotic Failure)비감염성 원인(예: 폐렴이 아닌 폐부종, ARDS 등)➡ 우선, 객담 배양(Gram stain, culture), 혈액 배양, 진균 배양, 바이러스 검사, 소변 항원 검사(레지오넬라) 등의 추가 검사를 통해 원인을 확인해야 합니다. 하지만 중증 환자에서 경험적 항생제 추가가 필요한 경우, 다음과 같은 항생제를..

의학 지식 2025.02.25

폐렴에서 레보플록사신(Levofloxacin) vs. 목시플록사신(Moxifloxacin) 비교

레보플록사신과 목시플록사신은 플루오로퀴놀론(Fluoroquinolone) 계열 항생제로, 광범위한 그람음성균(G-) 및 그람양성균(G+), 비정형 병원균(Atypical pathogens) 에 효과적입니다. 하지만 두 약물은 항균 스펙트럼과 조직 침투력, Pseudomonas 커버리지, 혐기성균 활성 등의 차이가 있어 폐렴에서 선택 시 고려해야 할 점이 다릅니다.1. 기본 특성 비교 항생제 주요 커버리지비정형 병원균 커버Pseudomonas 효과혐기성 효과폐 조직 침투력주요 적응증레보플록사신G(+): S. pneumoniae, MSSA G(-): H. influenzae, Enterobacteriaceae✅ 강함 (Legionella, Mycoplasma, Chlamydia)✅ 있음 (Pseudomona..

중환자의학 2025.02.25

메로페넴(Meropenem) vs. 세프타지딤-아비박탐(Ceftazidime-Avibactam) 커버리지 비교

메로페넴과 세프타지딤-아비박탐은 모두 광범위한 그람음성균(G-) 커버리지를 가지며 중증 감염 치료에 사용되는 항생제입니다. 그러나 두 약물의 항균 범위와 주요 적응증에는 차이가 있습니다.  항생제 계열 β-락타메이스 저항성 주요 커버리지 메로페넴카바페넴(Carbapenem)대부분의 β-락타메이스에 강함 (ESBL 포함)G(-): ESBL E. coli, Klebsiella, Pseudomonas G(+): MSSA, Streptococcus spp. 혐기성: Bacteroides fragilis세프타지딤-아비박탐3세대 세팔로스포린 + β-락타마제 억제제KPC 및 ESBL 분해 가능 (MBL 제외)G(-): KPC-producing Enterobacteriaceae, ESBL Klebsiella, Ps..

중환자의학 2025.02.25

폐렴 환자에서 목시플록사신(Moxifloxacin) 추가의 이점

중증 폐렴 환자가 메로페넴(Meropenem)과 반코마이신(Vancomycin)을 사용 중임에도 불구하고 악화되는 경우, 치료 스펙트럼을 확장하거나 비정형 병원균(Atypical pathogens)에 대한 커버리지를 고려해야 합니다.목시플록사신(Moxifloxacin)은 광범위한 퀴놀론계 항생제로, 추가 시 다음과 같은 이점이 있습니다.1. 비정형 병원균(Atypical Pathogens) 커버리지 확장현재 메로페넴 + 반코마이신 조합은 폐렴의 주요 원인균(G- 및 MRSA)에 대한 커버리지는 강력하지만, 비정형 병원균을 효과적으로 포함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목시플록사신이 효과적인 비정형 병원균마이코플라스마 폐렴(Mycoplasma pneumoniae)클라미디아 폐렴(Chlamydia pneumoni..

중환자의학 2025.02.25

CSF 검사에서 단백질(Protein)만 상승하는 경우

뇌척수액(CSF) 검사는 뇌 및 중추신경계(CNS)의 상태를 평가하는 중요한 검사로, 감염성 질환(예: 뇌수막염, 뇌염)이 있을 때 CSF 내 단백질 증가(Protein elevation), 백혈구 증가(WBC elevation), 당 감소(Glucose decrease)가 흔히 관찰됩니다.그러나 감염이 없는 상태에서도 CSF 단백질이 단독으로 상승할 수 있는 다양한 신경학적 및 전신적 질환이 존재합니다. 이 글에서는 CSF 단백질만 증가하는 주요 원인, 감별 진단 방법, 그리고 NMDA 수용체 뇌염(NMDA receptor encephalitis)과 같은 자가면역 뇌염도 포함한 신경면역학적 질환을 정리하겠습니다.1. CSF 단백질 상승 기준정상적인 CSF 단백질 농도는 15~45 mg/dL(성인 기준)..

의학 지식 2025.02.25

Euglycemic Diabetic Ketoacidosis (EDKA)란?

Euglycemic Diabetic Ketoacidosis(EDKA, 정상 혈당 당뇨병성 케톤산증)는 일반적인 당뇨병성 케톤산증(DKA)과 달리 혈당이 정상 범위(≤250 mg/dL) 또는 약간만 상승한 상태에서 케톤산증이 발생하는 비교적 드문 대사성 응급 질환입니다.EDKA는 인지되지 않거나 치료가 지연될 경우 심각한 산증, 전해질 불균형, 다발성 장기 부전으로 진행할 수 있어 신속한 진단과 치료가 필요합니다.1. EDKA의 주요 특징✅ 정상 또는 경미한 혈당 상승(≤250 mg/dL)✅ 대사성 산증(음이온 간격 증가, pH ✅ 케톤증(혈액 또는 소변에서 케톤 검출)✅ 심한 탈수 및 전해질 불균형 가능성➡ 일반적인 DKA는 **고혈당(>250-300 mg/dL)**을 특징으로 하지만, EDKA는 상대적..

의학 지식 2025.02.25

간경화 환자의 복수 조절 방법

복수(Ascites)는 간경화 환자에서 흔히 발생하는 합병증으로, 체액이 복강 내에 비정상적으로 축적되는 상태를 말합니다. 복수가 심해지면 복부 팽만, 호흡 곤란, 식욕 저하 등이 발생할 수 있으며, 심한 경우 자발성 세균성 복막염(SBP)과 같은 합병증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따라서 복수의 원인을 이해하고 효과적으로 조절하는 것이 간경화 환자의 치료와 삶의 질 향상에 매우 중요합니다. 이 글에서는 복수가 발생하는 원인, 치료 방법, 그리고 관리 전략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1. 간경화에서 복수가 발생하는 원인간경화로 인해 문맥압 상승과 단백질 대사 이상이 발생하면 복수가 형성됩니다.✅ 주요 원인문맥 고혈압(Portal Hypertension)간경화가 진행되면 간 내 혈류 저항이 증가하여 문맥압이 상승혈장이..

의학 지식 2025.02.25

금식 중인 환자에서 PPI를 처방하는 이유

입원 환자 중에는 다양한 이유로 금식(NPO, Nil Per Os)이 필요한 경우가 많습니다. 금식이 필요한 환자에게는 위산 분비를 억제하는 프로톤 펌프 억제제(PPI, Proton Pump Inhibitor)가 처방되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단순한 위장 보호 목적을 넘어 중요한 의학적 이유가 있기 때문입니다.이 글에서는 금식 중인 환자에게 PPI를 처방하는 이유, 주요 효과, 임상적 근거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PPI란 무엇인가?PPI(Proton Pump Inhibitor)는 위산을 분비하는 위벽 세포의 프로톤 펌프(H+/K+ ATPase)를 차단하여 위산 분비를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약물입니다.✅ 대표적인 PPI 약물오메프라졸(Omeprazole)에소메프라졸(Esomeprazole)판토프..

의학 지식 2025.02.2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