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로페넴과 세프타지딤-아비박탐은 모두 광범위한 그람음성균(G-) 커버리지를 가지며 중증 감염 치료에 사용되는 항생제입니다. 그러나 두 약물의 항균 범위와 주요 적응증에는 차이가 있습니다.
항생제 | 계열 | β-락타메이스 저항성 | 주요 커버리지 |
메로페넴 | 카바페넴(Carbapenem) | 대부분의 β-락타메이스에 강함 (ESBL 포함) | G(-): ESBL E. coli, Klebsiella, Pseudomonas G(+): MSSA, Streptococcus spp. 혐기성: Bacteroides fragilis |
세프타지딤-아비박탐 | 3세대 세팔로스포린 + β-락타마제 억제제 | KPC 및 ESBL 분해 가능 (MBL 제외) | G(-): KPC-producing Enterobacteriaceae, ESBL Klebsiella, Pseudomonas 혐기성: 제한적 |
➡ 두 항생제 모두 ESBL(Extended-Spectrum β-Lactamase) 균주를 효과적으로 커버하지만, MBL(Metallo-β-lactamase) 보유 균에 대한 활성은 차이가 있습니다.
1. 주요 차이점: 카바페넴 내성균(CRE)에 대한 효과
✅ 메로페넴
- ESBL(Extended-Spectrum β-Lactamase) 보유 균에 강력한 효과
- 하지만 KPC(Klebsiella pneumoniae Carbapenemase) 및 MBL(Metallo-β-lactamase) 보유 균에는 효과 없음
✅ 세프타지딤-아비박탐
- KPC(클렙시엘라 카바페넴 분해효소) 보유 균에 효과적
- 하지만 MBL(NDM, VIM, IMP 등 메탈로-β-락타마제) 보유 균에는 효과 없음
- 카바페넴 내성 Pseudomonas aeruginosa 중 일부 균주에 효과적
📌 즉, KPC 균주 감염 시 메로페넴보다 세프타지딤-아비박탐이 우수하지만, MBL 보유 균에는 효과적이지 않음.
2. 혐기성(Anaerobe) 커버리지 차이
✅ 메로페넴
- Bacteroides fragilis 포함 혐기성균에 강력한 효과
- 복강 내 감염(IAI, intra-abdominal infection) 치료에 적합
✅ 세프타지딤-아비박탐
- 혐기성균에 대한 활성은 제한적
- 혐기성 감염이 동반된 경우 메트로니다졸(Metronidazole) 병용 필요
📌 즉, 혐기성 감염(복강 내 감염 등)에서는 메로페넴이 더 적합
3. Pseudomonas aeruginosa에 대한 활성 비교
✅ 메로페넴
- Pseudomonas aeruginosa에 효과적이나, 카바페넴 내성 균주(CRPA)에는 효과가 감소
✅ 세프타지딤-아비박탐
- Pseudomonas aeruginosa에 대한 효과는 메로페넴보다 약하지만, 일부 카바페넴 내성 균주(CRPA)에 효과 있음
- 그러나 모든 CRPA 균주에 효과적인 것은 아니며, 균주의 기전(Nosocomial MDR-Pseudomonas 등)에 따라 감수성 차이가 있음
📌 즉, 일반적인 Pseudomonas 감염에서는 메로페넴이 선호되지만, 카바페넴 내성 Pseudomonas 감염에서는 세프타지딤-아비박탐이 고려될 수 있음.
4. 적용 가능한 감염 질환
감염 종류 | 메로페넴 | 세프타지딤-아비박탐 |
ESBL 보유 균 감염 | ✅ 효과적 | ✅ 효과적 |
KPC 보유 CRE 감염 | ❌ 효과 없음 | ✅ 효과적 |
MBL 보유 CRE 감염(NDM, VIM, IMP) | ❌ 효과 없음 | ❌ 효과 없음 |
카바페넴 내성 Pseudomonas | 제한적 효과 | 일부 균주에 효과 |
복강 내 감염(IAI) | ✅ 혐기성 포함 치료 가능 | 🔺 메트로니다졸 병용 필요 |
폐렴(HAP/VAP) | ✅ 효과적 | ✅ 효과적 (MDR 균주 포함) |
📌 즉, KPC 감염이 의심되면 세프타지딤-아비박탐을 고려하고, 혐기성 감염이 동반되면 메로페넴이 더 적합.
5. 결론: 언제 어떤 항생제를 선택할 것인가?
✅ 메로페넴을 선호해야 하는 경우
- ESBL 보유 E. coli, Klebsiella pneumoniae 감염
- 혐기성 감염(Bacteroides fragilis 포함) 동반 시
- 중증 패혈증, 복강 내 감염(IAI), 병원 획득 폐렴(HAP/VAP)
✅ 세프타지딤-아비박탐을 고려해야 하는 경우
- KPC 보유 CRE 감염
- 카바페넴 내성 Pseudomonas aeruginosa 감염
- 메로페넴 치료에도 반응하지 않는 중증 G(-) 감염
📌 따라서, 감염 원인균이 불명확한 경우 초기 경험적 치료로 메로페넴을 사용하고, KPC 감염이 확인되면 세프타지딤-아비박탐으로 변경하는 전략이 유효합니다. 🚨
'중환자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정형 폐렴균과 Procalcitonin(PCT) 상승 여부 (0) | 2025.02.25 |
---|---|
폐렴에서 레보플록사신(Levofloxacin) vs. 목시플록사신(Moxifloxacin) 비교 (0) | 2025.02.25 |
폐렴 환자에서 목시플록사신(Moxifloxacin) 추가의 이점 (0) | 2025.02.25 |
뇌출혈(ICH) 환자의 진정제 사용 시 주의점 (0) | 2025.02.24 |
신경이완제 악성 증후군 (Neuroleptic Malignant Syndrome, NMS) (1) | 2025.0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