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출혈(ICH) 환자의 진정제 사용 시 주의점
📢 뇌출혈(Intracerebral Hemorrhage, ICH) 환자에서 진정제(Sedatives) 사용은 신중해야 합니다.
✅ ICP(두개내압) 증가, 저혈압, 신경학적 평가 방해 등의 위험이 있어 적절한 약물 선택과 용량 조절이 중요합니다.
🔹 뇌출혈 환자에서 진정제 사용 시 주의해야 할 점
1️⃣ 신경학적 평가 방해
✅ GCS(Glasgow Coma Scale) 및 신경학적 상태 평가가 어려워질 수 있음
- 과도한 진정은 의식 저하를 유발하여 신경학적 악화를 조기에 인지하기 어렵게 만듦
- 해결책:
- 최소 용량 사용 (Light Sedation 유지)
- 간헐적 진정(Intermittent Sedation) 또는 일정 간격으로 진정제 중단하여 평가(Wake-up test)
2️⃣ 두개내압(ICP) 증가 위험
✅ 일부 진정제는 혈압 저하 또는 뇌혈관 확장을 유발하여 ICP를 증가시킬 수 있음
- Propofol, Midazolam 등은 과량 사용 시 저혈압 유발 → 뇌관류 감소 → ICP 증가 가능
- 해결책:
- Propofol 사용 시 저혈압 모니터링 필수
- 필요 시 Mannitol, Hypertonic saline(3%) 병용하여 ICP 관리
3️⃣ 저혈압(Hypotension) 유발 위험
✅ 저혈압이 발생하면 뇌관류압(CPP, Cerebral Perfusion Pressure) 감소 → 뇌허혈 위험 증가
- Propofol, Dexmedetomidine은 용량 의존적으로 혈압을 낮출 수 있음
- 해결책:
- 혈압 유지 목표: MAP ≥ 70 mmHg (CPP ≥ 60 mmHg)
- 저혈압 발생 시 노르에피네프린(Norepinephrine) 등으로 혈압 유지
4️⃣ 항경련 효과 고려
✅ 뇌출혈 후 경련 위험이 높은 환자에서는 항경련 효과가 있는 진정제 선택 고려
- Propofol: 항경련 효과 있음 → 발작 위험이 있는 환자에서 선호
- Midazolam: 항경련 효과 있음, 급성 발작 치료 가능
- Dexmedetomidine: 항경련 효과 없음 → 경련 위험이 높은 경우 신중 사용
🔹 뇌출혈 환자에서 추천되는 진정제
진정제 | 장점 | 주의점 | 추천 여부 |
Propofol | 빠른 작용, 항경련 효과, ICP 조절 가능 | 저혈압, 고용량 사용 시 PRIS 위험 | ✅ 1차 선택 (저혈압 주의) |
Dexmedetomidine | 호흡억제 적음, 각성 유지 가능 | 서맥, 혈압 저하 가능 | ✅ 중증 환자에서 고려 가능 |
Midazolam | 항경련 효과, 신속한 진정 효과 | 누적 사용 시 작용 시간 연장, 저혈압 가능 | ⚠️ 필요 시 단기 사용 |
Fentanyl | 진통 효과 우수 | 저혈압 가능, ICP 영향 적음 | ✅ 통증 조절 시 병용 가능 |
Ketamine | 혈압 유지, 진통 효과 | ICP 증가 가능성 있음 | ⚠️ ICP 상승 우려 시 신중 사용 |
📢 💡 Propofol이 1차 선택이지만, 저혈압 조절이 어려운 경우 Dexmedetomidine 고려!
🔹 결론
📢 뇌출혈 환자의 진정제 선택은 ICP 조절, 혈압 유지, 신경학적 평가 방해 최소화를 고려해야 합니다.
📢 Propofol이 1차 선택이며, 혈압 저하 위험이 있는 경우 Dexmedetomidine 고려 가능!
📢 과도한 진정을 피하고, 신경학적 평가를 주기적으로 수행하는 것이 중요!
✅ ➡️ "뇌출혈 환자에서 진정제는 신중하게 선택하고, 모니터링을 철저히 하세요!" 🚑
'중환자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경이완제 악성 증후군 (Neuroleptic Malignant Syndrome, NMS) (1) | 2025.02.24 |
---|---|
Sympathetic Hyperactivity의 진단과 치료 (0) | 2025.02.24 |
GABA 수용체에 작용하는 약물 정리 (0) | 2025.02.24 |
케타민(Ketamine)의 작용 기전 (0) | 2025.02.24 |
기관삽관 시 Sedation 약물 중 혈압을 가장 많이 떨어뜨리는 것은? (0) | 2025.0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