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환자의학

폐렴에서 레보플록사신(Levofloxacin) vs. 목시플록사신(Moxifloxacin) 비교

비비닥 2025. 2. 25. 12:24

레보플록사신과 목시플록사신은 플루오로퀴놀론(Fluoroquinolone) 계열 항생제로, 광범위한 그람음성균(G-) 및 그람양성균(G+), 비정형 병원균(Atypical pathogens) 에 효과적입니다. 하지만 두 약물은 항균 스펙트럼과 조직 침투력, Pseudomonas 커버리지, 혐기성균 활성 등의 차이가 있어 폐렴에서 선택 시 고려해야 할 점이 다릅니다.

폐렴에서 레보플록사신(Levofloxacin) vs. 목시플록사신(Moxifloxacin) 비교


1. 기본 특성 비교

항생제 주요 커버리지 비정형 병원균 커버 Pseudomonas 효과 혐기성 효과 폐 조직 침투력 주요 적응증
레보플록사신 G(+): S. pneumoniae, MSSA G(-): H. influenzae, Enterobacteriaceae ✅ 강함 (Legionella, Mycoplasma, Chlamydia) ✅ 있음 (Pseudomonas aeruginosa) ❌ 약함 ✅ 우수 CAP, HAP, VAP, 요로감염, 피부감염
목시플록사신 G(+): S. pneumoniae (PRSP 포함) G(-): H. influenzae ✅ 강함 (Legionella, Mycoplasma, Chlamydia) ❌ 없음 ✅ 강함 (Bacteroides fragilis) ✅ 우수 CAP, 혐기성 감염(복강 내 감염 포함), 결핵 보조 치료

📌 즉, 레보플록사신은 Pseudomonas 감염에 효과적이며, 목시플록사신은 혐기성균 커버가 강합니다.


2. 폐렴에서의 사용 차이

1) 지역사회 획득 폐렴 (CAP, Community-acquired pneumonia)

레보플록사신과 목시플록사신 모두 CAP 치료에 1차 선택 가능하며, 주요 병원균(Streptococcus pneumoniae, Haemophilus influenzae, Atypicals)을 효과적으로 커버합니다.

📌 레보플록사신 vs. 목시플록사신 CAP 비교

  • 레보플록사신: CAP 환자에서 사용 가능하지만, Pseudomonas 감염이 의심되는 경우 선호됨.
  • 목시플록사신: 혐기성 감염(Aspiration pneumonia) 의심 시 유리.

일반적인 CAP에서는 두 약물 모두 사용 가능하지만, Aspiration pneumonia 또는 PRSP(페니실린 내성 S. pneumoniae)가 의심되는 경우 목시플록사신이 더 적합.


2) 병원 획득 폐렴 (HAP) 및 인공호흡기 연관 폐렴 (VAP)

HAP/VAP에서는 다제내성 그람음성균(MDR G-) 및 Pseudomonas aeruginosa 감염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레보플록사신이 유리합니다.

📌 레보플록사신 vs. 목시플록사신 HAP/VAP 비교

  • 레보플록사신: Pseudomonas 감염을 포함한 HAP/VAP에서 사용 가능
  • 목시플록사신: Pseudomonas 효과 없음 → HAP/VAP 단독 치료에는 적합하지 않음

즉, HAP/VAP에서는 레보플록사신이 유리하며, 목시플록사신은 사용하지 않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3) Aspiration pneumonia(흡인성 폐렴)에서 차이

흡인성 폐렴은 구강 내 혐기성균(예: Bacteroides, Fusobacterium)이 원인균으로 작용하는 경우가 많아 혐기성 커버가 필요합니다.

📌 레보플록사신 vs. 목시플록사신 Aspiration pneumonia 비교

  • 레보플록사신: 혐기성균 효과가 약하므로 단독 사용 부적절
  • 목시플록사신: Bacteroides fragilis 등 혐기성균 커버 가능 → 단독 사용 가능

Aspiration pneumonia에서는 목시플록사신이 레보플록사신보다 유리합니다.


4) 폐결핵(Tuberculosis)에서 차이

  • 레보플록사신: 결핵 2차 약제로 사용 가능하지만, 목시플록사신보다는 효과가 약함
  • 목시플록사신: Mycobacterium tuberculosis에 대한 활성 우수 → 다제내성 결핵(MDR-TB) 치료에서 보조적 사용 가능

레보플록사신보다 목시플록사신이 결핵 치료에서 더 효과적이며, MDR-TB 치료 시 고려됨.


3. 부작용 비교

📌 레보플록사신 & 목시플록사신 공통 부작용

  • QT 연장(QT prolongation) → 심장 부정맥 위험 증가
  • 건염(Tendinitis) 및 건파열(Tendon rupture) → 고령자 및 스테로이드 병용 시 위험 증가
  • CNS 부작용(불면, 어지러움, 경련 위험 증가) → 고용량 사용 시 주의

📌 특이적 차이점

부작용  레보플록사신 목시플록사신
Pseudomonas 과증식 위험 ✅ 가능 (장내 G- 균 과증식) ❌ 적음
설사 및 C. difficile 감염 ✅ 가능 ✅ 가능 (레보플록사신보다 더 흔함)
신장 배설 (용량 조절 필요) ✅ 신장 배설 → 신부전 시 감량 필요 ❌ 간 배설 → 신부전 환자에서 용량 조절 불필요

신부전 환자에서는 목시플록사신이 더 적합할 수 있습니다.


4. 결론: 언제 어떤 항생제를 선택할 것인가?

✅ 레보플록사신을 선호해야 하는 경우

  • Pseudomonas aeruginosa 감염이 의심될 때 (HAP, VAP, 면역저하 환자)
  • 신우신염, 요로감염 등 추가적인 G(-) 감염이 있는 경우
  • CAP에서 비정형 병원균 가능성이 있으면서 Pseudomonas 커버가 필요할 때

✅ 목시플록사신을 선호해야 하는 경우

  • Aspiration pneumonia, 혐기성균 감염이 의심될 때
  • 다제내성 결핵(MDR-TB) 치료 보조제로 사용
  • 신부전 환자로 퀴놀론계 항생제가 필요할 때

📌 즉, HAP/VAP/Pseudomonas 감염 가능성이 있으면 레보플록사신을, 혐기성 감염(Aspiration pneumonia, 복강 내 감염)이 동반되면 목시플록사신을 고려하는 것이 합리적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