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025/02/27 14

산증 교정 후 혈청 칼륨(K⁺) 수치 변화

산증(Acidosis)이 교정되면 혈청 칼륨(K⁺) 수치는 감소하는 경향이 있습니다.이는 수소 이온(H⁺)과 칼륨(K⁺) 간의 세포 내·외 이동 메커니즘 때문입니다.🔹 1. 산증과 고칼륨혈증의 관계📌 대사성 산증(Metabolic Acidosis)에서는 혈청 칼륨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음.산증이 심해지면 세포 외액(H⁺ 증가) → 세포 내로 H⁺ 유입이를 보상하기 위해 세포 내 K⁺가 세포 밖으로 이동 → 혈청 K⁺ 증가📌 즉, 산증이 지속되면 혈중 칼륨 수치가 상대적으로 높아질 수 있음!🔹 2. 산증 교정 후 혈청 칼륨 변화✅ 산증이 교정되면 (HCO₃⁻ 보충, 인공호흡 등)세포 내로 이동했던 H⁺가 세포 밖으로 나옴세포 외 칼륨(K⁺)이 다시 세포 안으로 이동결과적으로 혈청 칼륨 수치가 감소함!..

중환자의학 2025.02.27

AF with RVR에서 사용하는 정맥 투여 베타 차단제(IV Beta-Blockers)

AF with RVR(Atrial Fibrillation with Rapid Ventricular Response)은 심박수가 >100 bpm 이상 빠르게 유지되는 심방세동(AF) 상태로, 심박수 조절이 치료의 핵심입니다.중환자실(ICU)나 응급상황에서는 정맥 투여(IV) 가능한 베타 차단제를 사용하여 빠르게 심박수를 낮추는 것이 중요합니다.🔹 1. AF RVR에서 사용하는 IV 베타 차단제📌 AF RVR에서 1차적으로 고려하는 베타 차단제(IV) 목록 약물명 초기 용량 유지 용량  특징 에스몰롤 (Esmolol)IV 500 mcg/kg over 1분IV 50~300 mcg/kg/min 지속 주입초속효성, 즉각적인 효과메토프로롤 (Metoprolol)IV 2.5~5mg over 2분필요 시 5분..

중환자의학 2025.02.27

중환자실(ICU)에서 환자의 교감신경 항진(Sympathetic Overactivity) 평가 방법

중환자실에서는 교감신경 항진(Sympathetic Overactivity)이 다양한 원인(패혈증, 저혈량 쇼크, 통증, 약물 영향 등)으로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심혈관계 및 대사 상태에 중요한 영향을 미칩니다.정확한 평가를 통해 원인을 파악하고 적절한 치료를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1. 교감신경 항진을 평가하는 핵심 지표✅ 1) 활력 징후 (Vital Signs) 변화📌 교감신경 활성화의 가장 직접적인 신호 평가 항목 교감신경 항진 시 변화 특징 심박수 (HR, Heart Rate)빈맥(Tachycardia, HR >100 bpm)동성 빈맥, AF RVR 가능성↑혈압 (BP, Blood Pressure)고혈압(Hypertension, SBP >140mmHg)혈관 수축 → 혈압 상승호흡수 (R..

중환자의학 2025.02.27

중환자실(ICU)에서 흔한 AF with RVR의 원인

AF with RVR(Atrial Fibrillation with Rapid Ventricular Response, 심방세동+빠른 심실반응)은 중환자실에서 자주 관찰되는 부정맥으로, 심방세동(AF)과 함께 심실 박동수가 빠르게 증가하는 상태(>100 bpm)를 의미합니다.ICU에서는 다양한 급성 질환이 RVR을 유발할 수 있으며, 적절한 원인 감별과 치료가 중요합니다.🔹 1. ICU에서 AF with RVR의 주요 원인📌 AF RVR은 단순한 부정맥이 아니라, 급성 질환의 신호일 가능성이 높음!✅ 1) 교감신경 항진(스트레스 반응) – 가장 흔한 원인패혈증(Sepsis)가장 흔한 원인 중 하나. 염증 반응으로 심박수 증가출혈성 쇼크(대량 출혈)혈압 저하 → 교감신경 활성화 → 심박수 증가저혈량(탈수,..

중환자의학 2025.02.27

ECG에서 VPC(심실조기수축)가 자주 보일 때 – 원인과 해결 방안

심실조기수축(VPC, Ventricular Premature Contraction)은 심실에서 발생하는 조기 박동으로, ECG에서 정상 QRS보다 일찍 나오는 넓은 QRS 파형으로 나타납니다.VPC가 가끔 나타나는 것은 정상적인 현상일 수 있지만, 자주 발생하면 부정맥, 심근 질환, 전해질 불균형 등의 원인일 수 있어 추가 평가와 치료가 필요합니다.🔹 1. ECG에서 VPC 특징📌 VPC의 대표적 특징:조기 출현(QRS가 빨리 나옴)QRS 폭이 넓음(≥120ms, 심실에서 기원하기 때문)P파 없음(또는 역행성으로 나타날 수 있음)완전 보상기(PVC 후 정상 박동 간격 유지됨)📌 빈도에 따른 분류:Occasional VPC (드물게) → 하루 100개 미만Frequent VPC (자주) → 하루 10..

중환자의학 2025.02.27

심실 빈맥(VT), 심실세동(VF) 환자 ROSC 후 재발 방지를 위한 약물 치료

심실 빈맥(VT) 또는 심실세동(VF)로 심정지(VT arrest) 발생 후 자발순환회복(ROSC, Return of Spontaneous Circulation)이 된 환자에서는 부정맥 재발 방지를 위해 적절한 약물 치료가 필수적입니다.🔹 1. ROSC 후 부정맥 재발 방지를 위한 주요 항부정맥제📌 목표:✅ 전기적 불안정성(부정맥 재발) 예방✅ 심근 보호 및 심장 기능 유지✅ 심근 허혈(AMI 동반 시) 및 저산소증 교정💊 VT/VF ROSC 후 1차 약물 – 아미오다론(Amiodarone) or 리도카인(Lidocaine) 약물명 초기 용량 유지 용량 특징 아미오다론 (Amiodarone)IV 150mg over 10분IV 1mg/min (6시간) → 0.5mg/min (18시간)가장 흔히 ..

중환자의학 2025.02.27

고칼륨혈증(Hyperkalemia) 치료 – 최신 지견 기반 정리

고칼륨혈증(Hyperkalemia)은 혈청 칼륨(K⁺) > 5.5mmol/L을 의미하며, 심각한 경우 부정맥, 심정지로 이어질 수 있는 응급 질환입니다.최신 치료 지침(2023년 기준)에서는 신속한 대응과 단계별 치료 전략이 강조됩니다.🔹 1. 고칼륨혈증 치료 목표 및 단계적 접근법✅ 목표:1️⃣ 심장 보호 → 부정맥 예방 (칼슘제제 투여)2️⃣ 칼륨 이동 촉진 → 세포 내로 칼륨 이동 (인슐린, 베타작용제)3️⃣ 칼륨 배출 촉진 → 신장 또는 위장관을 통한 칼륨 제거 (이뇨제, 레진제, 투석)📌 고칼륨혈증 심각도에 따른 치료 전략5.5~5.9 mmol/L (경증)저칼륨 식이, 칼륨 유발 약물 중단, 레진제(페티로머) 고려6.0~6.4 mmol/L (중등도)칼륨 이동 촉진(인슐린-포도당, 베타작용제)..

의학 지식 2025.02.27

DHP vs. non-DHP 칼슘 채널 차단제(CCB) 차이점

칼슘 채널 차단제(CCB, Calcium Channel Blockers)는 칼슘 유입을 차단하여 혈관 확장 및 심장 기능 조절에 사용되는 약물입니다.하지만, 디히드로피리딘(DHP)과 비디히드로피리딘(non-DHP) 계열은 작용 기전과 적응증이 다릅니다.🔹 1. DHP (디히드로피리딘) CCB✅ 주작용: 혈관 확장(Vasodilation) → 혈압 강하✅ 작용 부위: 주로 말초 혈관(동맥) → 혈관 저항 감소, 혈압 조절💊 대표 약물: 약물명 용량 특징 암로디핀(Amlodipine)PO 2.5~10mg qd가장 흔히 사용, 지속 작용니페디핀(Nifedipine)PO 30~90mg qd빠른 혈압 강하, 반사성 빈맥 가능펠로디핀(Felodipine)PO 5~10mg qd말초 부종 유발 가능니카르디핀(N..

의학 지식 2025.02.27

심근경색 환자에서 사용하는 베타 차단제(β-Blocker)와 칼슘 채널 차단제(CCB)

심근경색(AMI) 환자에서는 심장의 부담을 줄이고, 재발을 예방하기 위해 베타 차단제와 CCB(칼슘 채널 차단제)가 사용됩니다. 하지만 모든 환자에서 두 약물을 모두 쓰는 것은 아니며, 각각의 적응증과 금기가 있습니다.🔹 1. 베타 차단제(β-Blocker) – 심장 보호의 핵심 약물✅ 사용 목적:심박수 감소 → 심근의 산소 요구량 감소심장 수축력 조절 → 심장 부담 감소부정맥 예방 → 심근경색 후 치명적 부정맥 위험 감소💊 사용 가능한 베타 차단제 (심근 선택성 β1 차단제 선호) 약물명 용량 특징 메토프로롤(Metoprolol)IV 5mg x 3회 (5분 간격) → PO 25~50mg q6h가장 많이 사용됨비스프로롤(Bisoprolol)PO 2.5~10mg qd장기 치료 시 선호카르베디롤(Ca..

의학 지식 2025.02.27

급성 심근경색 환자의 시술 전 처치 및 약물 투여

급성 심근경색(AMI)은 관상동맥이 갑자기 막혀 심장 근육이 괴사하는 응급 질환입니다.🆘 즉각적인 치료가 생명을 좌우하므로, 시술(PCI, 관상동맥 중재술) 전까지 적절한 처치와 약물 투여가 필수적입니다.🔹 1. 기본 응급 처치 (초기 대응)📌 목표: 심장 손상 최소화 + 환자 안정화✅ 산소 공급 (O₂) – 저산소증이 있을 경우SpO₂(산소포화도) 90% 미만이면 산소 공급불필요한 산소 투여는 피해야 함 (산화 스트레스 유발 가능)✅ 심전도(ECG) 모니터링 & 활력 징후 체크ST분절 상승(STEMI) 또는 비ST분절 상승(NSTEMI) 확인혈압, 심박수, 산소포화도 지속 모니터링✅ 정맥로 확보 (IV line insertion)응급 약물 투여를 위한 IV 확보✅ 통증 조절 – 니트로글리세린(Ni..

의학 지식 2025.02.2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