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환자의학

중환자실(ICU)에서 흔한 AF with RVR의 원인

by 비비닥 2025. 2. 27.

AF with RVR(Atrial Fibrillation with Rapid Ventricular Response, 심방세동+빠른 심실반응)은 중환자실에서 자주 관찰되는 부정맥으로, 심방세동(AF)과 함께 심실 박동수가 빠르게 증가하는 상태(>100 bpm)를 의미합니다.
ICU에서는 다양한 급성 질환이 RVR을 유발할 수 있으며, 적절한 원인 감별과 치료가 중요합니다.

중환자실(ICU)에서 흔한 AF with RVR의 원인


🔹 1. ICU에서 AF with RVR의 주요 원인

📌 AF RVR은 단순한 부정맥이 아니라, 급성 질환의 신호일 가능성이 높음!
1) 교감신경 항진(스트레스 반응) – 가장 흔한 원인

패혈증(Sepsis) 가장 흔한 원인 중 하나. 염증 반응으로 심박수 증가
출혈성 쇼크(대량 출혈) 혈압 저하 → 교감신경 활성화 → 심박수 증가
저혈량(탈수, 쇼크) 혈액량 감소 → 심박수 증가 보상
저산소증(Hypoxia) 폐질환, ARDS, 호흡부전 → 심장 부하 증가
수술 후 스트레스(Post-op) 특히 심장 수술 후 흔함

 

2) 대사 및 전해질 이상 – 심근 전기적 불안정성

고칼륨혈증(Hyperkalemia) 심근 세포의 과흥분 유발 가능
저칼륨혈증(Hypokalemia) 심장 전도 장애, RVR 유발
저마그네슘혈증(Hypomagnesemia) 부정맥 위험 증가 (Torsades de Pointes 동반 가능)
갑상선 기능 항진증(Hyperthyroidism) 교감신경 활성 증가 → 심박수 증가
산증(Acidosis) 심근세포 전기적 불안정성 증가

 

3) 심장 원인 – 기존 심질환 악화

급성 심근경색(AMI) 허혈성 손상 → 심방세동 유발
심부전(Heart Failure) 심방압 증가 → AF 발생 가능
심장 수술 후(Valve Surgery, CABG 등) 특히 승모판 질환에서 흔함
폐색전증(PE, Pulmonary Embolism) 급성 우심실 부하 증가 → AF RVR 발생

 

4) 약물 및 중독

베타 작용제(β-agonists, 도파민, 도부타민 등) 심박수 증가 → RVR 유발 가능
카페인, 니코틴, 알코올 교감신경 활성화로 심박수 증가
교감신경 작용 약물(에피네프린, 노르에피네프린) 혈압 유지 치료 중 심박수 증가 가능

🔹 2. ICU에서 AF RVR 발생 시 평가해야 할 사항

🔍 1) 패혈증 or 쇼크 여부 확인

  • 고열, 저혈압, 감염 징후 → 패혈증 가능성 고려
  • 혈압 불안정 + 출혈 병력 → 저혈량 쇼크 의심

🔍 2) 전해질 및 대사 이상 체크

  • 혈액검사 (K⁺, Mg²⁺, Ca²⁺, ABGA, TSH) 필수

🔍 3) 심장 원인 감별

  • ECG: ST 변화, 심부전 징후 확인
  • ECHO(심초음파): 심근 기능, 판막 이상 확인

📌 즉, AF RVR은 원인을 먼저 찾아 해결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치료 전략!


🔹 3. 결론

ICU에서 AF RVR은 단순한 부정맥이 아니라, 급성 질환의 신호일 가능성이 높다!
가장 흔한 원인은 패혈증, 저혈량, 저산소증, 전해질 불균형, 심장 질환
치료는 단순 심박수 조절이 아니라, 원인 질환을 먼저 해결하는 것이 중요

💡 즉, ICU에서 AF RVR이 보이면, 반드시 기저 원인을 먼저 파악해야 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