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실조기수축(VPC, Ventricular Premature Contraction)은 심실에서 발생하는 조기 박동으로, ECG에서 정상 QRS보다 일찍 나오는 넓은 QRS 파형으로 나타납니다.
VPC가 가끔 나타나는 것은 정상적인 현상일 수 있지만, 자주 발생하면 부정맥, 심근 질환, 전해질 불균형 등의 원인일 수 있어 추가 평가와 치료가 필요합니다.
🔹 1. ECG에서 VPC 특징
📌 VPC의 대표적 특징:
- 조기 출현(QRS가 빨리 나옴)
- QRS 폭이 넓음(≥120ms, 심실에서 기원하기 때문)
- P파 없음(또는 역행성으로 나타날 수 있음)
- 완전 보상기(PVC 후 정상 박동 간격 유지됨)
📌 빈도에 따른 분류:
- Occasional VPC (드물게) → 하루 100개 미만
- Frequent VPC (자주) → 하루 1000개 이상 or 24시간 Holter에서 10% 이상
📌 VPC 형태에 따른 분류:
단일형(Monomorphic) | 일정한 형태, 비교적 안정적 |
다형성(Polymorphic) | 형태가 다양, 더 위험할 가능성 있음 |
이단맥(Bigeminy) | 정상 박동과 VPC가 1:1로 반복 |
삼단맥(Trigeminy) | 2개의 정상 박동 후 VPC가 반복 |
🔹 2. VPC의 주요 원인
✅ 1) 양성(정상 범주) 원인 – 치료 필요 없음
- 과로, 스트레스, 카페인/알코올 과다 섭취
- 전해질 불균형(특히 저칼륨혈증, 저마그네슘혈증)
- 흡연, 과도한 교감신경 활성화(불안, 운동 등)
✅ 2) 병적 원인 – 추가 검사 및 치료 필요
허혈성 심질환 (CAD, 심근경색 후) | 심근 허혈이 VPC 유발 가능 |
심근병증 (HCM, DCM 등) | 심실 구조 이상으로 VPC 증가 |
심부전 (HF, LVEF <40%) | 심근 리모델링으로 부정맥 위험 증가 |
전해질 이상 (K+, Mg2+ 저하) | 저칼륨혈증, 저마그네슘혈증이 원인 |
약물 (디곡신 독성 등) | 항부정맥제, 교감신경 작용제 영향 |
갑상선 기능 항진증 | 대사 증가로 VPC 빈도 증가 |
📌 VPC가 심부전, 허혈성 심질환과 동반되면 심실세동(VF)로 진행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반드시 평가 필요!
🔹 3. VPC가 자주 보일 때 해결 방법
🔍 1) 기본 검사 및 평가
📌 반복적 VPC가 보이면 아래 검사 필수
- 24시간 Holter 모니터링 → VPC 빈도 및 패턴 확인
- 심장 초음파(Echocardiography) → 심근병증, 심부전 여부 확인
- 운동부하검사(TMT, Stress Test) → 허혈성 심질환 감별
- 혈액검사 → 전해질(K⁺, Mg²⁺), 갑상선 기능(TSH, T4), 심장 효소 검사(Troponin)
💊 2) 치료 접근법 – 원인에 따라 다름
✅ 1) 양성 VPC – 생활 습관 조절 & 모니터링
- 카페인, 술, 흡연 줄이기
- 스트레스 관리 & 수면 개선
- 전해질 보충 (K⁺, Mg²⁺ 저하 시 보충)
✅ 2) 병적 VPC – 약물 치료 고려
치료 약물 | 종류 | 설명 |
베타 차단제 | 메토프로롤, 비스프로롤 | 심박수 조절, 교감신경 억제 |
칼슘 채널 차단제 (CCB) | 딜티아젬, 베라파밀 | 베타 차단제 금기 시 사용 |
항부정맥제 (Class IC, III) | 플레카이니드, 아미오다론 | 증상 심한 경우, 전문의 판단 후 사용 |
📌 특히, 구조적 심질환 동반 시 베타 차단제가 1차 선택!
✅ 3) 심각한 VPC – 고위험군에서는 전극도자절제술(ABL) 고려
- VPC가 심박수의 15~20% 이상 차지할 경우
- LVEF 감소(심부전 동반) 시
- 빈맥 유발 증상(실신, 어지러움, 두근거림) 심한 경우
📌 반복적인 증상이 있고 약물 치료에도 조절되지 않으면 전극도자절제술(Ablation) 시행 가능!
🔹 4. 결론
✔ VPC가 드물다면 특별한 치료 없이 경과 관찰 가능
✔ 반복적이거나 증상이 동반될 경우 추가 검사 필수 (Holter, Echo 등)
✔ 전해질 이상, 스트레스, 교감신경 활성화 등 가역적 원인을 먼저 교정
✔ 구조적 심질환 동반 시 베타 차단제(1차) 또는 항부정맥제 사용 고려
✔ 약물 조절이 안 되거나 심부전 동반 시 전극도자절제술(Ablation) 고려
💡 즉, VPC가 많다고 무조건 위험한 것은 아니지만, 원인을 정확히 파악하고 적절한 치료가 필요합니다! 🏥
'중환자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환자실(ICU)에서 환자의 교감신경 항진(Sympathetic Overactivity) 평가 방법 (0) | 2025.02.27 |
---|---|
중환자실(ICU)에서 흔한 AF with RVR의 원인 (0) | 2025.02.27 |
심실 빈맥(VT), 심실세동(VF) 환자 ROSC 후 재발 방지를 위한 약물 치료 (1) | 2025.02.27 |
중환자실에서 사용하는 승압제(혈압 상승제) 및 강심제(심장 수축력 강화제) (0) | 2025.02.27 |
신경이완제 악성 증후군(Neuroleptic Malignant Syndrome, NMS) (1) | 2025.02.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