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이 되면 따뜻한 날씨와 함께 야외 활동이 증가하지만, 동시에 각종 감염병도 기승을 부립니다.
꽃가루, 황사, 미세먼지 등이 면역력을 저하시켜 감염병에 걸릴 위험을 높이며, 바이러스와 세균이 활발하게 활동하는 시기이기도 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봄철 유행하는 대표 감염병 5가지와 예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
1️⃣ A형 간염 🦠🍽
A형 간염(Acute Hepatitis A)은 A형 간염 바이러스(HAV)에 의해 발생하는 급성 간염입니다.
봄철 유행하는 주요 원인은 오염된 음식과 물을 통한 감염이며, 특히 조개류(굴, 홍합 등) 섭취 시 감염 위험이 높아집니다.
✅ 주요 증상
✔ 발열, 피로감, 식욕 저하
✔ 구역질, 구토, 복통
✔ 황달(피부 및 눈 흰자위가 노랗게 변함)
✔ 어두운 색 소변, 회색 변
💡 잠복기: 약 15~50일 (평균 28일)
💡 주 감염 경로: 오염된 음식 섭취, 감염자와의 접촉
🛡 예방법
✅ A형 간염 예방접종(2회, 6개월 간격) 필수
✅ 음식 섭취 전 손 씻기(비누 + 흐르는 물 30초 이상)
✅ 익히지 않은 조개류 섭취 자제 (85℃ 이상에서 1분 이상 가열)
✅ 개인위생 철저히 유지 (특히 화장실 사용 후 손 씻기)
2️⃣ 수두(Varicella) 🏥
수두는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varicella-zoster virus)에 의해 발생하는 전염성이 강한 감염병입니다.
봄철 유치원, 초등학교 등에서 집단 발병 위험이 높으며, 면역력이 약한 소아에서 흔히 발생합니다.
✅ 주요 증상
✔ 미열(38~39℃)과 피로감
✔ 온몸에 가려운 발진과 물집(수포) 발생
✔ 물집이 터지고 딱지로 변하면서 회복
💡 잠복기: 약 10~21일
💡 주 감염 경로: 공기 중 전파, 감염자의 피부 접촉
🛡 예방법
✅ 수두 예방접종(생후 12~15개월, 1회 접종) 필수
✅ 감염자와의 접촉 피하기 (수두 환자는 발진 발생 후 5~7일간 격리 필요)
✅ 개인위생 철저히 유지 (손 씻기, 기침 예절 준수)
✅ 집단생활(학교, 유치원)에서 발병 시 신속한 격리 조치
3️⃣ 홍역(Measles) 🤒
홍역은 홍역 바이러스(measles virus)에 의해 발생하는 매우 전염성이 강한 감염병입니다.
봄철 해외여행객 증가와 집단생활(학교, 학원 등)에서 감염 확산 위험이 높습니다.
✅ 주요 증상
✔ 초기 감기 증상(기침, 콧물, 결막염, 고열)
✔ 입 안에 작은 흰색 반점(코플릭 반점, Koplik spots) 발생
✔ 얼굴에서 시작해 온몸으로 퍼지는 붉은 발진
💡 잠복기: 약 7~21일
💡 주 감염 경로: 공기 중 전파, 감염자의 침방울(비말)
🛡 예방법
✅ MMR(홍역-유행성이하선염-풍진) 예방접종 필수 (생후 1215개월 1차, 만 46세 2차)
✅ 해외여행 전 예방접종 확인 (특히 홍역 유행 국가 방문 시)
✅ 감염자와의 접촉 피하기 (홍역은 공기 중 감염이 가능하여 예방 조치 필수)
✅ 기침 예절 준수 (마스크 착용, 옷소매로 입 가리기)
4️⃣ 식중독(Food Poisoning) 🍱🤢
봄철에는 기온이 상승하면서 음식물 보관 및 조리 과정에서 세균 번식 위험이 증가합니다.
대표적인 원인균으로는 살모넬라균, 병원성 대장균, 황색포도상구균, 캠필로박터균 등이 있습니다.
✅ 주요 증상
✔ 복통, 설사, 구토, 발열
✔ 심한 경우 탈수, 전신 쇠약감
💡 잠복기: 원인균에 따라 수시간~며칠
💡 주 감염 경로: 오염된 음식 섭취
🛡 예방법
✅ 손 씻기(음식 조리 전후, 식사 전 필수!)
✅ 익히지 않은 육류, 생선, 계란 섭취 주의
✅ 음식은 충분히 익혀 먹고, 보관 온도(냉장: 5℃ 이하, 냉동: -18℃ 이하) 유지
✅ 유통기한 확인 후 섭취
5️⃣ 진드기 매개 감염병(SFTS, 라임병 등) 🕷
봄철 야외활동(등산, 캠핑, 농작업 등)이 증가하면서 진드기를 통한 감염병 발생 위험이 높아집니다.
대표적인 감염병으로는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라임병, 쯔쯔가무시병 등이 있습니다.
✅ 주요 증상
✔ 고열(38~40℃), 근육통, 피로감
✔ 식욕 저하, 오심, 구토, 설사
✔ 심한 경우 혈소판 감소로 출혈 경향 증가
💡 잠복기: 5~14일
💡 주 감염 경로: 진드기 물림
🛡 예방법
✅ 야외활동 시 긴 옷 착용(소매, 긴 바지, 양말, 모자 필수)
✅ 기피제(디에틸톨루아미드, DEET) 사용
✅ 야외 활동 후 샤워 및 옷 세탁
✅ 풀밭에 눕거나 앉지 않기
🌸 결론: 봄철 감염병, 예방이 최선의 치료!
✅ 봄철 유행 감염병 5가지
1️⃣ A형 간염 → 음식, 물 오염 예방 🚰
2️⃣ 수두 → 예방접종 필수 💉
3️⃣ 홍역 → 공기 감염, 해외여행 전 접종 확인 ✈️
4️⃣ 식중독 → 손 씻기, 음식물 보관 주의 🍲
5️⃣ 진드기 매개 감염병 → 야외활동 시 보호장비 필수 🏕
🌟 예방접종, 개인위생, 식습관 관리로 봄철 감염병을 예방하세요! 🌟
'생활 속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건 식단의 장점과 단점: 건강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0) | 2025.02.08 |
---|---|
수면과 성장호르몬의 관계 (0) | 2025.02.08 |
겨울철 밤에 피부가 가려운 이유 6가지 (0) | 2025.02.07 |
피부묘기증 완화를 위한 7가지 방법 (0) | 2025.02.07 |
겨울철 코가 빨개지는 이유는? (0) | 2025.0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