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Blood culture(혈액 배양 검사)는 정맥혈(venous blood) 채취가 원칙이며, 동맥혈(arterial blood)로 시행하는 것은 권장되지 않습니다.
📌 왜 동맥혈로 혈액 배양 검사를 하지 않을까?
✅ 1) 정맥혈이 감염 검출에 더 적합
- 패혈증(sepsis) 또는 균혈증(bacteremia)은 주로 정맥계를 통해 순환하며, 감염균이 정맥혈에서 더 높은 확률로 검출됩니다.
- 동맥혈은 상대적으로 산소 농도가 높고, 균이 생존하기 어려운 환경이므로 배양 검출률이 낮아질 수 있음.
✅ 2) 동맥혈 채취 시 감염 위험 증가
- 동맥 채혈(예: 요골동맥, 대퇴동맥)은 침습적 시술이며, 출혈이나 혈관 손상의 위험이 있음.
- 패혈증 환자에서 동맥혈 채혈 시, 감염을 전신으로 퍼뜨릴 가능성이 있음.
✅ 3) 항응고제(Heparin) 오염 가능성
- 동맥혈은 일반적으로 **혈액가스 분석(ABGA, Arterial Blood Gas Analysis)**을 위해 채취되며, 헤파린(Heparin)이 포함된 주사기를 사용할 수 있음.
- 헤파린이 혈액 배양 검사 결과를 방해할 가능성이 있음.
📌 예외적으로 동맥혈 배양이 고려될 수 있는 경우
✔ 패혈증(Sepsis) 또는 균혈증(Bacteremia)에서, 기존 정맥혈 배양이 음성이면서 감염이 의심될 때
✔ 혈행 감염성 심내막염(Infective Endocarditis) 의심 시, 동맥혈에서도 배양을 시도할 수 있음
✔ 정맥혈 확보가 어려운 경우(예: 심한 저혈압, 쇼크 상태)
✅ 하지만, 이러한 경우에도 정맥혈 배양이 우선이며, 동맥혈 배양은 보조적인 방법으로만 시행해야 합니다.
📌 결론: Blood Culture는 반드시 정맥혈로 채취해야 합니다!
❌ 동맥혈(Arterial Blood)로 시행하는 것은 비효율적이며, 오히려 감염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음.
⭕ 정맥혈(Venous Blood) 배양이 표준 방법이며, 2세트(4병) 이상 채취하는 것이 권장됨.
반응형
'의학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항경련제의 작용 기전에 따른 분류 (0) | 2025.02.27 |
---|---|
대사성 산증(Metabolic Acidosis)에서의 중탄산나트륨(Bicarbonate, NaHCO₃) 투여 (0) | 2025.02.26 |
생리식염수(Normal Saline, NS)는 왜 산성일까? 그리고 다량 투여 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들 (0) | 2025.02.26 |
대사성 산증(Metabolic Acidosis)에서 Anion Gap(음이온차, AG)의 의미 (0) | 2025.02.26 |
모르핀(Morphine), 하이드로모르폰(Hydromorphone), 펜타닐(Fentanyl) 비교: 적응증 및 금기 (0) | 2025.02.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