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 지식

대사성 산증(Metabolic Acidosis)에서의 중탄산나트륨(Bicarbonate, NaHCO₃) 투여

비비닥 2025. 2. 26. 23:56
반응형

대사성 산증은 혈액의 pH가 낮아지고(HCO₃⁻ 감소), 신체의 항상성이 깨지는 상태로, 원인에 따라 치료 전략이 달라집니다. 중탄산나트륨(비본, NaHCO₃) 투여는 대사성 산증 치료에서 흔히 고려되지만, 모든 경우에 적합한 것은 아니며 신중한 사용이 필요합니다.

대사성 산증(Metabolic Acidosis)에서의 중탄산나트륨(Bicarbonate, NaHCO₃) 투여


🔬 1. 대사성 산증의 원인에 따른 중탄산나트륨 투여 적응증

원인 투여 적응증  설명
고양음차(High Anion Gap) 대사성 산증 일반적으로 비권장 산증 원인(젖산, 케톤, 독성 물질 등) 제거가 중요
젖산산증(Lactic Acidosis) 저산소증, 패혈증 원인 치료 우선
케톤산증(Diabetic Ketoacidosis, DKA) 인슐린 + 수액 치료가 우선
신부전성 대사성 산증(Renal Failure Acidosis) 만성 신부전에서는 사용 가능 투석이 불가능한 경우 NaHCO₃ 투여 가능
중독(Toxin-induced Acidosis, 살리실산, 메탄올, 에틸렌글리콜 중독) 특정 상황에서 사용 혈액투석이 주된 치료이나 보조적으로 사용 가능
정상 음이온차(Normal Anion Gap) 대사성 산증 사용 가능 신장 손실(NaHCO₃ 감소)이 원인이므로 보충 필요

NaHCO₃ 투여가 적절한 경우

  • 중증 대사성 산증(pH < 7.1, HCO₃⁻ < 10 mmol/L)
  • 만성 신부전으로 인해 HCO₃⁻ 저하가 지속되는 경우
  • 살리실산, 메탄올, 에틸렌글리콜 중독 시 보조 치료

🚫 NaHCO₃가 도움이 되지 않는 경우

  • DKA(당뇨병성 케톤산증), 젖산산증, 패혈증 산증근본적인 원인 치료가 더 중요

💉 2. 중탄산나트륨 투여 방법 (Dosage & Administration)

1) 급성 중증 산증 (pH < 7.1, HCO₃⁻ < 10 mmol/L)에서의 계산식
NaHCO₃ 필요량 (mEq) = (24 - 현재 HCO₃⁻) × 체중(kg) × 0.5

  • 50% 보충 후 혈액가스(ABGA) 재평가
  • 1~2시간 동안 천천히 주입

2) 경증~중등도 대사성 산증에서의 투여

  • 8.4% NaHCO₃ 50mEq (1앰플) IV 천천히 주입
  • 필요 시 3~6시간마다 반복
  • 만성 신부전에서는 경구 중탄산나트륨(650mg 1일 3회) 고려

🚨 주의할 점

  • 과량 투여 시 대사성 알칼리증, 저칼륨혈증(K⁺ 감소) 위험
  • 부종, 폐부종 위험(나트륨 과부하 가능)
  • Ca²⁺ 감소로 인한 심장 기능 저하 가능

⚠️ 3. 중탄산나트륨 투여 시 주의할 점

부작용 설명
대사성 알칼리증 과량 투여 시 pH > 7.45 상승 위험
저칼륨혈증(K⁺ 감소) NaHCO₃ 투여 시 칼륨이 세포 내로 이동하여 저칼륨혈증 발생 가능
부종 및 폐부종 나트륨 과다 유입으로 심부전 및 신부전 환자에서 부종 위험 증가
전해질 불균형 칼슘(Ca²⁺) 감소 → 근육 경련, 테타니 발생 가능

🧐 4. Q&A

Q1. 모든 대사성 산증에서 중탄산나트륨을 투여해야 하나요?
✅ 아니요. pH < 7.1, HCO₃⁻ < 10 mmol/L인 경우에만 신중하게 사용해야 합니다.

Q2. DKA에서 중탄산나트륨을 사용할 수 있나요?
❌ 보통 사용하지 않습니다. 인슐린과 수액 치료가 더 중요하며, NaHCO₃는 심한 경우(pH < 6.9)에서만 고려합니다.

Q3. 신부전 환자에서 NaHCO₃ 투여는 언제 하나요?
만성 신부전(CKD)에서 HCO₃⁻ < 22 mmol/L인 경우 경구 투여 가능.
급성 신부전에서 pH < 7.1일 경우 IV NaHCO₃ 투여 가능.

Q4. NaHCO₃를 너무 많이 투여하면 어떤 문제가 생기나요?
⚠️ 대사성 알칼리증, 저칼륨혈증, 부종 및 폐부종 위험이 증가합니다.

Q5. 대사성 산증 치료의 가장 중요한 원칙은 무엇인가요?
근본적인 원인 치료가 가장 중요하며, NaHCO₃는 보조적 치료로 신중하게 사용해야 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