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바펜틴과 프레가발린은 원래 항경련제(항뇌전증제, AEDs)로 개발되었지만, 현재는 주로 신경병증성 통증(Neuropathic Pain) 치료에 사용됩니다.
이들이 신경통에만 효과적인 이유는 칼슘 채널의 특정 서브유닛(α2δ)을 차단하는 특이적인 작용 기전 때문입니다.
🔹 1. 가바펜틴과 프레가발린의 작용 기전
이 두 약물은 GABA(γ-아미노부티르산) 수용체에 직접 작용하는 것이 아니라, 칼슘 채널의 α2δ 서브유닛에 결합하여 신경 흥분을 억제합니다.
🔬 작용 기전:
✅ 신경세포의 전압 의존성 칼슘 채널(Voltage-Gated Calcium Channel, VGCC) 차단
✅ 칼슘 유입 감소 → 신경전달물질(특히 글루탐산, 노르에피네프린, 서브스턴스 P) 방출 감소
✅ 신경세포의 과흥분 억제 → 통증 신호 전달 차단
⚠️ 뇌전증(간질) 발작과 신경병증성 통증의 공통점?
- 두 질환 모두 과도한 신경 흥분이 원인이므로, 신경 흥분을 억제하는 약물이 효과적일 수 있음
- 하지만, 가바펜틴과 프레가발린은 경련 억제 효과가 약해 주로 신경통 치료에 사용됨
🔹 2. 왜 신경통에만 효과적인가?
✅ 말초 및 중추 신경계에서 신경손상 후 과발현되는 α2δ 서브유닛을 타겟
✅ 정상적인 신경세포에는 거의 영향을 주지 않음 → 일반적인 통증(예: 근육통, 관절통)에는 효과 없음
✅ 통증 신경전달물질(글루탐산, 서브스턴스 P) 분비 감소 → 신경병증성 통증 완화
🛑 일반적인 소염진통제(NSAIDs)나 마약성 진통제와의 차이점
약물 | 작용 기전 | 신경통 효과 | 일반 통증 효과 |
가바펜틴, 프레가발린 | 칼슘 채널 α2δ 차단 | ✅ 있음 | ❌ 없음 |
NSAIDs (이부프로펜 등) | COX 억제 → 염증 완화 | ❌ 없음 | ✅ 있음 |
마약성 진통제(트라마돌 등) | 아편유사체 수용체 작용 | ✅ 있음 | ✅ 있음 |
➡️ 즉, 신경 손상으로 인한 통증(예: 대상포진 후 신경통, 당뇨병성 신경병증)에는 효과적이지만, 근육통·관절통·염증성 통증에는 효과가 없음
🔹 3. 어떤 신경통에 효과가 있을까?
🩹 가바펜틴과 프레가발린이 효과적인 신경병증성 통증
✅ 대상포진 후 신경통 (Postherpetic Neuralgia)
✅ 당뇨병성 신경병증 (Diabetic Neuropathy)
✅ 척수손상 후 통증
✅ 좌골신경통, 디스크로 인한 신경통
✅ 섬유근육통 (Fibromyalgia)
하지만 염증성 통증(관절염, 근육통)에는 효과가 없으며, 이 경우에는 NSAIDs나 스테로이드가 더 효과적입니다.
🔹 4. 결론
✔ 가바펜틴과 프레가발린은 칼슘 채널 α2δ 서브유닛을 차단하여 신경흥분을 억제
✔ 신경 손상으로 인한 통증(신경병증성 통증)에만 효과
✔ 일반적인 염증성 통증, 근육통, 관절통에는 효과 없음
✔ 이부프로펜 같은 소염진통제(NSAIDs)나 마약성 진통제와 작용 기전이 다름
즉, "신경이 손상된 경우"에만 효과적인 진통제! 🎯
'의학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급성 심근경색 환자의 시술 전 처치 및 약물 투여 (0) | 2025.02.27 |
---|---|
안정형 협심증(Stable Angina) vs. 불안정형 협심증(Unstable Angina) (0) | 2025.02.27 |
항경련제의 작용 기전에 따른 분류 (0) | 2025.02.27 |
대사성 산증(Metabolic Acidosis)에서의 중탄산나트륨(Bicarbonate, NaHCO₃) 투여 (0) | 2025.02.26 |
혈액 배양 검사를 동맥혈로 할 수 있을까? 정맥혈과 비교 분석 (0) | 2025.02.26 |